국사(國師) 국사(國師)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德行이 높은 승려에게 주던 칭호의 하나. 고려 광종이 惠居대사에게 국사의 칭호를 내린 것이 그 시초였다. 王師가 국왕의 스승의 지위인데 비해 국사는 국가의 師表로서 왕사보다도 높은 최고의 僧職이었다. 광종 25(974)년 혜거.. 한국불교 2017.06.19
왕사(王師) 왕사(王師)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고려시대의 승직으로 제4대 光宗 때 제정된 것. 國師와 더불어 최고의 승직이었다. 왕사나 국사는 교종이나 선종의 최고위 법계인 僧統 · 大禪師 중에서 선출되는 것이 보통인데, 東文選에 「夫王師者 · 特一王之攸範 ·國師者 .. 한국불교 2017.05.14
도첩(度牒) 도첩(度牒)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출가 得度한 자에게 주는 것을 도첩(尙書省의 祠部司에서 발행했기 때문에 祠部牒이라고도 한다). 또 受戒한 자에게 주는 것을 戒牒이라고 한다. 도첩을 갖지 않은 중을 私度僧이라고 하여 公的으로는 그 승려의 신분을 인정받지 .. 한국불교 2017.04.27
보현행원가(普賢行願歌) 보현행원가(普賢行願歌)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고려 승려 균여대사가 지은 불교가요. 전체 11首로 되어 있으며 이두문자로 표기하고 있다. 삼국유사에 실린 신라가요인 14수와 더불어 훌륭한 향가문학으로 간주되고 있다. 이 노래는 본래 화엄경, 특히 40화엄의 보현.. 한국불교 2017.04.21
진호국가(鎭護國家) 진호국가(鎭護國家)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敎法으로 국가를 수호한다는 뜻. 國難을 쉬게 하고 국가를 태평하게 하기 위해 修法하는 것. 仁王般若經이나 金光明經에 의하면, 국왕이나 인민이 이 經을 受持하고 讀誦하면 七難을 소멸하여 국가를 鎭護한다고 說해 있.. 한국불교 2017.01.18
백제불교(百濟佛敎) 백제불교(百濟佛敎)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백제에는 東明神(주몽) · 國母神(유화부인) · 仇台神(고이왕) 및 민간신앙이 있었으나, 佛敎가 384년(침류왕 1) 東晋으로부터 인도의 승려 摩羅難陀가 처음으로 전래하고 385년 廣州에 漢山寺를 세워 차차 전파되었다. 불.. 한국불교 2017.01.06
안민가(安民歌) 안민가(安民歌)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신라 제35대 경덕왕 때의 승려 忠談師가 지은 十句體 鄕歌. 삼국유사 권2에 실려 있다. 경덕왕이 歸正門에 올라 신하들에게 거리에 나가 훌륭한 스님을 한 분 모셔오라 하였다. 신하들이 한 名僧을 모셔 왔으나, 왕은 자기가 찾.. 한국불교 2017.01.04
고구려불교(高句麗佛敎) 고구려불교(高句麗佛敎)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가 처음 고구려에 들어온 것은 소수림왕 2(372)년 前秦의 왕 符堅의 명으로 順道스님이 불경과 불상을 가져왔고, 2년 후인 374년에는 동진의 阿道스님이 입국하였고, 그 다음해에 省門寺와 伊弗蘭寺를 세워 順道와 .. 한국불교 2016.12.23
가사(袈裟) 가사(袈裟)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kasaya. 또는 袈裟野 · 迦邏沙臾라고도 쓰며, 離塵服 · 消瘦衣 · 間色衣 · 無垢衣 · 功德衣 · 忍鎧 · 蓮華服 · 福田衣 · 田文相이라고도 한다. 가사는 수행승이 입는 法衣의 하나로, 애초에는 사람이 내버린 옷 또는 죽.. 한국불교 2016.08.26
묘청(妙淸) 묘청(妙淸)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고려 때 승려. 西京사람으로 風水를 잘 알아 인종에게 권하여 평양에 궁궐을 짓게 하고 임원 궁성을 쌓게 하였다. 또 임금에게 황제가 되어 연호를 세우고 서경으로 천도할 것을 주청하다가 유신 김부식 등의 반대로 뜻을 이룰 수 .. 한국불교 2016.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