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효(聖典)-30-신앙문29 원효(聖典)-30-신앙문29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제2절 초발심의 공덕 그 때 법혜(法慧)보살은 온 허공계의 시방 국토에 있는 모든 대중들을 두루 관찰하고 모든 중생을 다 성취하기 위해 모든 업과 과보를 다 깨끗이 다스리기 위해 청정한 법계를 모두 나타내려 하기 위.. 원효(元曉) 2016.02.14
원효(성전)-29-신앙문28 원효(성전)-29-신앙문28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제4장 보살의 예찬(菩薩禮讚) 제1절 「초발심」 보살의 공덕 이 때에 문수사리 보살은 흐리지 않고 청정한 행의 큰 공덕을 말한 뒤에「보리심」의 공덕을 보이려고 게송으로 현수(賢首)보살에게 물었다. 「내 이제 모든 .. 원효(元曉) 2016.02.13
원효(聖典)-28-신앙문27 원효(聖典)-28-신앙문27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제10절 부처님 경계는 어떤 것인가 그 때에 여러 보살들은 문수사리 보살에게 여쭈었다. 「불자님, 우리들의 아는 것을 각기 말하였거니와 바라건대 당신은 묘한 말솜씨로 여래의 경계를 연설하시오. 어떤 것이 부처님의.. 원효(元曉) 2016.02.12
원효(聖典)-27-신앙문26 원효(聖典)-27-신앙문26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제9절 佛道는 하나인데 佛事는 왜 다른가 그 때에 문수사리 보살은 현수(賢首)보살에게 물었다. 「불자여, 모든 부처님은 오직 한 길로 생ㆍ사에서 벗어나거늘 왜 이제 여러 부처님 국토에 제도하시는 일은 같지 않습니.. 원효(元曉) 2016.02.11
원효(聖典)-26-신앙문25 원효(聖典)-26-신앙문25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제8절 지혜가 으뜸인데 왜 다른 법을 찬탄하는가 그 때에 문수사리 보살은 지수(智首)보살에게 물었다. 「불자여, 불법은 지혜로 으뜸을 삼는데 여래께서 무슨 까닭에 때로는「보시」를 칭찬하시고 때로는 계율 지님을 .. 원효(元曉) 2016.02.10
원효(聖典)-25-신앙문24 원효(聖典)-25-신앙문24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제7절 정법(正法)을 지니고도 왜 번뇌가 있는가 그 때에 문수사리 보살은 법수(法首)보살에게 물었다. 「불자여, 부처님의 말씀과 같이 만일 중생이 바른 법(法)을 받아 지니면 모두 온갖 번뇌를 끊어버릴 것이어늘 무슨 .. 원효(元曉) 2016.02.09
원효(성전)-24-신앙문23 원효(성전)-24-신앙문23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제6절 부처님의 가르침은 하나인데 결과는 왜 다른가 그 때에 문수사리 보살은 근수(勤首)보살에게 물었다. 「불자여, 부처님의 가르침은 하나인데 어찌하여 중생이「불교」를 만나도 번뇌의 얽매임을 끊고 벗어나지 못.. 원효(元曉) 2016.02.08
원효(聖典)-23-신앙문22 원효(聖典)-23-신앙문22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제5절 같은 복밭(福田)에 과보가 왜 다른가 문수사리 보살은 목수(目首)보살에게 물었다. 「불자여, 여래의「복밭(福田)」은 꼭 같이 다름이 없거늘 어찌하여 중생들이 보시하는데 그 과보가 같지 않습니까. 말하자면 갖.. 원효(元曉) 2016.02.07
원효(성전)-22-신앙문21 원효(성전)-22-신앙문21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제4절 한 법의 한량없는 작용 그 때에 문수보살은 덕수(德首)보살에게 물었다. 「불자여, 여래의 깨달으신 법은 오직 한가지 법인데 어찌하여 한량없는 법을 말씀하시고 한량없는 세계를 나타내시며 한량없는 중생을 교.. 원효(元曉) 2016.02.06
원효(聖典)-21-신앙문20 원효(聖典)-21-신앙문20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제3절 차별의 업보와 평등의 원리 그 때에 문수사리 보살은 보수(寶首)보살에게 물었다. 「불자여, 온 중생들은 다같이「사대(四大)」가 있지만「나」가 없고「내것」이 없거늘 어찌하여 괴로움을 받고 즐거움을 받으며.. 원효(元曉) 2016.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