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修行,공부) 60

사병(四病,1077)-뉴사전

사병(四病,1077)-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잘못 생각된 네 종류의 변화상(變化相).「원각경」에 말한 4종의 병. (1) 작병(作病). 작은 마음으로 조작하는 것. 마음으로 여러 가지 행을 지어서 원각(圓覺)을 구하려는 것. (2) 임병(任病). 임은 연(緣)에 따라 자성에 맡긴다는 것. 생사를 끊지도 않고 열반을 구하지 않고, 일체(一切)에 맡겨서 원각을 구하려는 것. (3) 지병(止病). 지는 허망한 것을 그치면 곧 참이라는 뜻. 모든 생각을 그치고, 고요하고 평등하게 하여 원각을 구하려는 것. (4) 멸병(滅病). 멸은 적멸, 온갖 번뇌를 소멸하고 근(根)과 진(塵)을 고요하게 하여 원각을 구하려는 것. 참고 변화(變化,1009)-국어사전 : 사물의 모양·성질·상태 등이 ..

행업(行業,2767)-뉴사전

행업(行業,2767)-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바이세시카 철학에서 내세우는 업(業)중, 다섯 번째. 각각의 움직임이 되는 진행운동. 산, gamana「모든 질애(質碍)의 실(實)에 화합하고, 하나의 실(實)을 의존하여, 합(合)과 이(離)와 인(因)이 됨」 ② 행함. 행위(行爲). 신(身)·구(口)·의(意)의 소작(所作). ③ 수행을 행함. 수행. ④ (해석예) 왕생의 원인이 되는 행. 참고 바이세시카 학파(736)-뉴사전 : [산, Vaisesika] 위세사(衛世師)라고 음역. 승론(勝論)이라고 한역함. 이른바 인도 육파철학의 하나. 실재론적 경향을 가지고, 모든 개념 그 자체를 모두 실제로 간주하고, 이것을 6개의 원리 또는 범주(산, padartha 句義)로 나누어 세계..

삼수(三修,1198)-뉴사전

삼수(三修,1198)-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열반경」에서 설하는 수행의 3종류. ① 열(劣)의 3수(修). (1) 무상수(無常修). 여러 사물의 무상(無常)을 관(觀)함. (2) 비락수(非樂修). 어떠한 것도 고(苦)라는 것을 관(觀)함. (3) 무아수(無我修). 5온(蘊)의 공(空)이라는 것을 관(觀)함. 성문(聲聞)의 수행(修行). ② 승(勝)의 3수(修). (1) 상수(常修). 법신(法身)의 몸이 상주불멸(常住不滅)함을 알고 소승의 무상(無常)의 집착을 물리침. (2) 낙수(樂修). 제사물(諸事物)속에 자연히 열반적멸(涅槃寂滅)의 낙(樂)이 있다는 것을 알고, 소승의 고(苦)의 집착을 물리침. (3) 아수(我修). 무아(無我)한 제사물(諸事物)속에 자연히 진아(眞我)의 ..

아란야(阿蘭若aranya범,1510)-국어사전

아란야(阿蘭若aranya범,1510)-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시끄럽지 아니하여 수행하기에 알맞은 한적한 숲속이나 넓은 들 등을 이르는 말. 참고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乘)을 주지(主旨)로 하는 불교 종파를 통틀어 이르는 말. [주로, 우리나라..

자력(自力,1944)-국어사전

자력(自力,1944)-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자기 혼자의 힘.↔타력(他力). ② 불교에서, 자기 자신의 행업(行業)에 의하여 깨달음을 얻으려고 하는 일을 이르는 말. 참고 역(力,1727)-뉴사전 : ① 힘. 산, bala ② 능력. ③ 훌륭한 활동을 초래하는 기능. ④ 십팔불공법(十八不共法)의 첫 번째. 십력(十力)이라는 것. 열가지 지혜의 힘. ⑤ 폭력. ⑥ 세력. 위력. ⑦ 신통(神通)의 위력. 신비적인 힘. ⑧ (5종류의) 힘. 5종류의 근본에 대응함. (해석예) (十如是의 하나) 힘. ...역(力,27)-한자사전 : 힘력,힘쓸력,일할력,심할력. .....십팔불공법(十八不共法,1606)-뉴사전 : 부처님에게만 있는 특유한 불공(不共). 즉 남과 공통하지 않는 18가..

오십이위(五十二位,1708)-국어사전

오십이위(五十二位,1708)-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보살 수행의 52단계. 곧, 십신(十信)·십주(十住)·십행(十行)·십회향(十廻向)·십지(十地)와 등각(等覺)·묘각(妙覺)을 이름. 참고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乘)을 주지(主旨)로 하는 불교 ..

오안(五眼,1708)-국어사전

오안(五眼,1708)-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수행에 따라 성도(成道)에 이르는 순서를 보인 다섯 안력(眼力). 곧, 육안(肉眼)·천안(天眼)·법안(法眼)·혜안(慧眼)·불안(佛眼). 참고 눈(500)-국어사전 : ① (사람이나 동물의) 물건을 보는 감각 기관. 목자(目子). [빛의 자극으로 보는 기능이 생김.] ② 물체를 볼 수 있는 능력. 시력. ③ 어떤 사물을 보고, 그 사물의 옳고 그름이나 좋고 나쁨 따위를 가려내는 능력. ④ 눈길. ⑤ 어떤 사물에 대해 갖는 생각이나 태도. ...안(眼,1658)-뉴사전 : ① 시각기관. 5근(根)·6근의 하나. 안식(眼識)의 기반이 된다. ② 시각작용. 시각기관. 보는 기능. ③ 긴요한 점. (해석예) 사물의 긴요한 것. 불..

수증불이(修證不二,1452)-뉴사전

수증불이(修證不二,1452)-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선종에서 좌선의 깊은 뜻을 밝힌 말. 수행과 증(證)이 둘이 아니란 뜻. 좌선은 증을 얻기 위한 방편으로서의 수행이 아니고,“본래성불(本來成佛)과 취도역량(取道力量)”이 있으므로 수행하는 것. 곧 증이 수행이요, 수행이 증이다. 이를 수증일등(修證一等)이라 함. 참고 수(修,1415)-뉴사전 : ① 수행. 수행하는 것. 넓게는 선(善)을 닦고 좁게는 선정(禪定)을 닦는 것. 명상. 원래부터 어떤 것을「성(性)」으로 하는 것에 대해, 수행에 의해 성취하는 것을「수(修)」라 함. 되풀이 마음으로 생각하여 실천하고, 덕을 실현하는 것. 수습(修習)이라고도 함.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에서는 사종(四種)의 수(修)를 인정함.→사수(四修..

사종이류(四種異類,1130)-뉴사전

사종이류(四種異類,1130)-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조산(曹山)이 처음으로 주장한 교설의 하나. (1) 왕래이류(往來異類). 수행자가 수행에 임하여 이류(異類 : 인간 이외의 생물의 세계, 아귀·축생 등>의 속에까지 도를 찾아 향하는 것. (2) 보살동이류(菩薩同異類). 깨달은 후, 다른 이류(異類) 속으로 향하여 가서 많은 인간·아귀·축생 등을 가르쳐 구원하는 것. (3) 사문이류(沙門異類). 깨달음을 열고, 게다가 그것에 의식을 멈추지 않고, 담담하게 도를 행하는 것. (4) 종문중이류(宗門中異類). 유무(有無)·시비(是非) 등의 대립이 있는 현상세계를 부정하는 일 없이, 모든 존재에 입각하면서도, 그것에 사로잡히지 않는 경지에 안주하는 것. 선승이 지켜야하는 4종류인 동시..

사의팔정(四依八正,1111)-뉴사전

사의팔정(四依八正,1111)-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행(行)의 4의(依)와 8정도(正道). 4의(四依)와 팔정도를 행하는 것. 분소의(糞掃衣) 등 출가한 수행인이 닦아야 할 네 가지 법인 4의(四依)와 불교의 실천을 수행하는 중요한 종목을 8종으로 나눈 팔정도가 인(因)이 되어 증과(證果)를 득하는 것.→사의 참고 사의(四依,1110)-뉴사전 : ① 의(依)라는 것은 소의(所依)인 것. 또는 도리(道理)라는 뜻. 악한 것을 멀리하고, 선한 것을 수용하고, 탐(貪)·진(瞋)·치(癡)를 멀리하고, 게을리 하지 않고 정진하는 것을 4가지의 의(依)라고 함. 불도를 이룰 수 있는 정법에만 의지하고, 그렇지 않은 것에는 의지하지 않는 것. (1) 법에 의지하고, 사람에게 의지하지 않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