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修行,공부) 60

마음 갈 곳이 없도록 하라(참선경어-제1장-32-49페)

마음 갈 곳이 없도록 하라(참선경어-제1장-32-49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32. 마음 갈 곳이 없도록 하라 참선하는 데에는 어디에고 마음 쓸 곳이 없어야(心行處滅) 한다. 그런 중에 옛사람들이 도를 묻고 대답한 기연(機緣)을 생각하는 데 마음을 쏟아서는 절대로 안된다. 동산(洞山 : 807~869)스님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갖가지 묘한 경계를 체험하고도 근본 종지(宗旨)를 잃어버려서 본말조차 알아보지 못하는 근기가 되면 함께 도를 이야기할 자격이 없다.” 만일 도리를 깨달았으면 하나하나가 모두 삼매(三昧)여서 자기 마음속에서 흘러 나오게 되니 이러한 깨달음은 사유 조작과는 천지차이 정도가 아니다. 참고 심행처멸(心行處滅,1556)-뉴사전 : 진리는 깊고 심오한 것으로, 사..

청정식(淸淨識,2533)-뉴사전

청정식(淸淨識,2533)-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제9의 아마라식(阿摩羅識)의 구역(舊譯). 또는 무구식(無垢識)이라고도 함. 수행에 의해 깨끗해진 마음. 더러움이 없어진 아뢰야식. 산, amala-vijnana 참고 제구식(第九識,2313)-뉴사전 : 아마라식(阿摩羅識)을 말함.→아마라식 아마라식(阿摩羅識,1627)-뉴사전 : 아마라는 산, amala-vijnana의 전반 산, amala의 음역. 식(識)은 산, vijnana의 한역. 또는 산, amala는 아말라(阿末羅)·암마라(庵摩羅)라고도 음역. 무구식(無垢識)·청정식(淸淨識)이라고 번역. 아뢰야식이 미혹을 버리고 깨달음의 모습으로 전환한 위(位)에 이른 것을 말함. 곧 우리들의 마음은 본연의 모습에 있어서 미망을 여읜 ..

성도문(聖道門,1354)-뉴사전

성도문(聖道門,1354)-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스스로의 능력에 의지하여 수행해서 이 세상에서 깨달음을 얻으려고 하는 실천. 정토문의 반대. 정토교에서는 이것을 범부에게는 맞지 않는 자력문(自力門)이라고 하여 멀리함. 구체적으로는 밀교 및 천태종·화엄종·선종 등을 가리켜 말함.→성정이문(聖淨二門) (해석예) 번뇌즉보리 생사즉열반(煩惱即菩提 生死即涅槃)이라고 이야기한다. 참고 자력(自力,2183)-뉴사전 : ① 자신의 힘. 스스로의 깨달음의 힘. 스스로 닦아서 얻은 공덕력(功德力). 자기의 지해(智解), 분별력을 말함. ② 정신력. 산, virya 팔, viriya ③ 내적인 힘. ④ 자력을 가지고 계획하는 것. 타력의 구제를 의심하고, 자신이 닦은 작은 선(善)을 회향(廻向)하..

수행(修行,1456)-뉴사전

수행(修行,1456)-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실천하는 것. 행하는 것. ② 노력하는 것. ③ 난행. ④ 요가에 힘쓰는 것.→여실수행. ⑤ 지계(持戒)를 말함. (해석예) 행함. 행하기. 참고 수행(修行,1410)-국어사전 : ① 행실을 바르게 닦음. ② 불도를 닦음. 실천(實踐,1479)-국어사전 : 실제로 이행함. ↔이론 행(行,2587)-국어사전 : ① 스스로 수행하여 부처의 가르침을 실천하는 것. ② 부처가 되는 수행. 행(行,2762)-뉴사전 : ① 행하는 것. 산, gamana ② 열(列)·군(群). ③ 상점이 나란히 늘어서 있는 것.→부인행 ④ 물건이 있어야 할 위치. 운동장. ⑤ 행함. 범함. ⑥ 행하지 않는다. 근행, 수행의 준말. 불법수행의「行」에서 유래한 ..

오직 수행만이 혼탁한 세상을 맑힐 수 있다(중생이라는 이름의 부처에게)

오직 수행만이 혼탁한 세상을 맑힐 수 있다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저의 은사스님인 한암 큰스님께서는 무섭게 공부하셨지요. 요즈음은 옛날과 많이 다른 것 같습니다. 무섭게 공부를 시키는 스님도 없고, 공부를 하려고 하는 스님도 만나기 어렵습니다. 전반적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