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修行,공부) 60

신해행증(信解行證,1528)-뉴사전

신해행증(信解行證,1528)-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도 수행의 1기(期). 먼저 법을 믿고, 다음에 그 법을 요해(了解)하고, 그 법에 의지하여 행을 닦아 마침내 과(果)를 증득. 참고 불도(佛道,1093)-국어사전 : ① 부처의 깨달음에 이르기까지의 가르침이나 수행. 보리. ② 부처의 가르침. 법도(法道). 비) 불법(佛法). ...불도(佛道,961)-뉴사전 : 부처님의 도. 부처가 되기 위한 가르침. 깨달음에 이르러야 할 도. 부처님의 깨달음. 부처님이 설한 가르침. 불교. 불교의 수행. 깨달음. 부처님이 설한 실천 방법. 불법과 동일. 산, agra-bodhi(최고의 깨달음). (해석예) 보살의 상구보리하화중생(上求菩提下化衆生)의 것이다. 무상열반도(無上涅槃道)이다. 불..

법험(法驗,997)-국어사전

법험(法驗,997)-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법(佛法)의 영험. 수도를 함으로써 나타나는 효험. 참고 법(法,992)-국어사전 : ① 국가의 강제력이 따르는 온갖 규범. ② [불교에서] ㉠ 삼보(三寶)의 하나. ㉡ 물(物)·심(心)·선(善)·악(惡)의 모든 사상. ...법(法,804)-뉴사전 : (Ⅰ) 보통은 dharma의 한역. 법(*산. dharma)은 *산. dhr에서 유래하고,「지키는 것, 유지하는 것」, 특히「인간의 행위를 유지하는 것」이 원래의 뜻이라 생각됨. 인도의 일반인들에게 다음과 같은 뜻으로 사용되고 있음. ① 관례. 습관. 풍습. 행위의 규범. ② 해야할 것. 도리. 의무. 사리. ③ 사회적 질서. 사회제도. ④ 선. 선한 행위. 덕. ⑤ 진리. 진실. 이..

삼력(三力,1172)-뉴사전

삼력(三力,1172)-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경문에 여러 가지 설(說)이 있지만 보통은, (1) 아공덕력(我功德力). 수행자가 닦는 신(身)·구(口)·의(意)의 3밀(三密)의 힘. (2) 여래가지력(如來加持力). 부처님이 중생의 믿음에 주는 자비의 힘. (3) 법계력(法界力). 불성(佛性)의 일여평등(一如平等)의 힘을 말함. 수행자 자신의 자력의 수행, 여래의 가지(加持), 자기마음에 지니고 있는 불성(佛性)을 세 개의 힘이라고 한 것. 「以我功德力故, 以如來加持力故, 以法界平等力故, 以此三緣故, 則能成就不可思議業也」 참고 신구의(身口意,1510)-뉴사전 : 몸가짐과 말과 정신. 곧 일상생활의 모든 행위. 삼밀(三密,1221)-국어사전 : 불교에서, 손으로 인계(印契)를 맺는 ..

후광(後光,2673)-국어사전

후광(後光,2673)-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불교에서, 부처의 몸에서 비치는 광명의 빛, 또는 그것을 형상화한 불상 뒤의 둥근 금빛의 테. 광배(光背). 배광(背光). 원광(圓光). ② 기독교에서, 성화(聖畵) 중의 인물을 감싸는 금빛. ③ 어떤 인물 또는 사물을 더욱 빛나게 하는 배경. 참고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직관(直觀,2208)-국어사전

직관(直觀,2208)-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판단·추리·경험 따위의 간접 수단에 따르지 않고 대상을 직접 파악하는 일, 또는 그 작용. 직각(直覺). 참고 판단(判斷,2467)-국어사전 : 전후 사정을 종합하여 사물에 대한 자기의 생각을 마음속으로 정함, 또는 그렇게 정한 내용. 추리(推理,2332)-국어사전 : ① (밝혀진 사실을 근거로 하여) 아직 밝혀지지 않은 일을 미루어 헤아림. ② 몇 가지 전제에서 결론을 끌어냄. 추론(推論). 경험(經驗,168)-국어사전 : ① 실지로 보고 듣고 겪는 일, 또는 그 과정 및 과정에서 얻는 지식이나 기능. ② 감각이나 내성(內省)을 통하여 얻게 되는 주관적 의식(意識). 간접(間接,47)-국어사전 : 사이에 든 다른 것을 통하여 연결..

수법(修法,1393)-국어사전

수법(修法,1393)-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수도(修道)하는 방법. ② 불교의 밀교(密敎)에서, 본존을 단 위에 안치하고 불보살을 생각하며 법을 닦는 일. 참고 수도(修道,1388)-국어사전 : 도를 닦음. ...수도(修道,1426)-뉴사전 : ① 견도(見道)후에 더욱 구체적인 사상(事象)에 대처(對處)하여 몇 번이고 반복하여 수습(修習)하는 단계를 말함. 삼도(三道 : 견도(見道)·수도(修道)·무학도(無學道)의 하나. 견도(見道)에서 본 진리를 여러 차례 되풀이해서 보는 지위. 사제(四諦)를 관찰하는 것을 되풀이해 가는 단계. 수소단(修所斷)의 번뇌를 끊는 과정. 산, bhavana marga ② 수도의 수행에 의해 도달하는 결과. ③ 불도를 수행하는 것. 불교(佛敎,1..

영원한 자유-101(성철큰스님,328페)-끝

영원한 자유-101(성철큰스님,328페)-끝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엮은이의 말- 이 법어집은 성철 큰스님께서 일찍이, 영원한 자유를 누리는 삶에 대하여, 대학생 및 사부 대중에게 몇 차례 설법하신 내용을 정리하여 엮은 책입니다. 큰스님께서 지금으로부터 스무 해 전인 1967년 가을에 해인총림 방장에 취임하시고서, 그해 겨울 동안거의 백여 일 동안 대중들을 위해 선(禪)-교(敎)에 걸친 부처님의 일관된 사상은‘중도사상(中道思想)’임을 밝히는 설법을 하셨던 바, 산문(山門)에서는 큰스님의‘백일법문(百日法門)’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 해 여름의 하안거에서는, 전국대학생불교 연합회 하기수련대회가 해인사에서 개최되어, 큰스님께서 불교의 현대적 고찰이라는 주제로 하루 두 시간씩 한..

영원한 자유-100(성철큰스님,223페)

영원한 자유-100(성철큰스님,223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윤회하는 인생을 이해하고 공부합시다- 큰스님께서 동서고금의 여러 가지 실례를 들면서 자세하게 윤회에 대한 법문을 하셨습니다만, 좀더 과학적이며 현실적인 윤회의 확증을 알고 싶어하는 독자들을 위해, 그에 관한 두 책-「윤회를 나타내는 스무 가지 사례」와「한번 이상 사는가?」-의 내용을 짤막하게 간추린 것을 부록으로 엮어 소개합니다. 「윤회를 나타내는 스무 가지 사례」는 미국의 이안 스티븐슨 교수가 세계 여러 나라에서 윤회에 대한 사례를 1973년까지 약 2,000건을 수집 연구한 것들 가운데서 가장 중요한 스무 가지를 수록한 것입니다. 이 책은 근년에 우리나라에서「전생을 기억하는 어린아이들 上·下」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어 ..

영원한 자유-99(성철큰스님,217페)

영원한 자유-99(성철큰스님,217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맺는 말- 이제 지금까지의 내용을 총정리하면서 결론을 이야기하겠습니다. 종교의 목표는 상대·유한의 세계에서 절대·무한의 세계로 가는 것입니다. 불교에서는 이를 일체고(一切苦)에서 벗어나 구경락(究竟樂)을 얻는 것이라고 합니다. 대개의 종교는 초월신을 전제로 하고 그것을 현실에서 찾는 것이 아니라 이상세계에 둡니다. 그러나 오늘날과 같은 우주과학시대에 있어서는 그러한 초월신은 도저히 성립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초월신을 전제로 한 종교는 새로운 활로를 개척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습니다. 그러지 않으면 다만 역사의 한 면을 장식하는 데 그치고 맙니다. 불교는 본래부터 초월신을 부정합니다. 상대적이고 유한한 이 현실세계가 그대..

영원한 자유-72(성철큰스님,208페)

영원한 자유-72(성철큰스님,208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영원한 자유인- -법수(法秀)- 법수(法秀)는 당나라 때 사람입니다. 그가 현종(玄宗) 개원(開元) 26(738)년에 꿈에 이상한 스님을 만났는데 가사(袈裟) 오백 벌만 지어 회향사(廻向寺)에 보내라 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리하여 법수가 곧 가사를 만들어 회향사를 찾아가려 하였지만, 아무리 찾아도 찾을 수가 없었습니다. 하루는 길에서 꿈에서 본 그 스님을 만나게 되었습니다. “부탁한 가사는 어떻게 되었는가?” 스님은 대뜸 이렇게 물었습니다. “가사는 다 되었으나 회향사를 찾지 못하겠습니다.” 법수가 대답하자, 그 스님이 “따라오라.” 하기에, 며칠 동안 따라가다 종남산(終南山)으로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아주 궁벽한 곳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