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뇌! 번뇌(煩惱)가 무엇인가? 51

오결(五結,1786)-뉴사전

오결(五結,1786)-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중생을 결박하여 삼계(三界)에 유전(流轉)시키는 5가지 번뇌. 탐결(貪結)·에결(恚結)·만결(慢結)·질결(嫉結)·간결(慳結)임. 참고 결(結,81)-뉴사전 : ① 매어두는 것. 속박하는 것. 번뇌의 속박. 번뇌의 맺힘. 「結所繫法」(속박(束縛)을 만들만한 일) 팔, sannojaniya dhamma ② 번뇌. 신심(身心)을 묶어 속박하는 것. 미혹. 중생을 속박하고 해탈시키지 않기 때문에 이렇게 말함. 마음이 묶임. 족쇄. 중생을 생사에 매어두고, 가두어두는 여러 요소의 일. 또 결사(結使)라고도 함. 산, samyojana 「盡諸有結」(여러 가지 탐욕을 풀어내다) 산, pariksina-bhava-samyojana (해석예) 번뇌의..

자박(子縛,2186)-뉴사전

자박(子縛,2186)-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번뇌의 씨. 자(子)는 번뇌라는 것. 번뇌가 몸을 속박하기 때문에 이렇게 말함. 참고 박(縛,738)-뉴사전 : 속박하는 것. 속박. 번뇌의 다른 이름. 마음을 구속하여 진실을 인식 내지 활동하지 못하게 하고, 괴로운 생사의 세계에 침윤(沈淪)시키는 번뇌. 삼박(三縛)·삼독(三毒)·삼불선(三不善)이라 칭하는 탐(貪)·진(瞋)·치(癡)를 말함. 팔, gantha 결박시키다. 산, badhyate 산, badhnati 번뇌(煩惱,789)-뉴사전 : 나쁜 마음의 작용. 번요뇌란(煩擾惱亂)의 뜻. 고민 걱정. 몸과 마음을 번거롭게 하고 괴롭히는 정신작용. 몸과 마음을 성가시게 하는 작용. 몸과 마음을 괴롭히는 마음의 더럽혀짐. 부정함. 그릇..

사결(四結,1043)-뉴사전

사결(四結,1043)-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산, samyojana. 해와 달의 빛을 장애하는 구름·연기·풍진(風塵)·아수라 등 네가지를 사결(四結)에 비유한 것. (1) 구름은 욕결(欲結), (2) 풍진은 진결(瞋結), (3) 연기는 치결(癡結), (4) 아수륜(阿須輪)은 이양(利養)임. 구름 등은 해와 달의 빛을 가리고, 사결(四結)은 사람의 마음을 덮어 개해(開解)하지 못하게 한다.→번뇌 참고 결(結,81)-뉴사전 : ① 매어두는 것. 속박하는 것. 번뇌의 속박. 번뇌의 맺힘. 「結所繫法」(속박(束縛)을 만들만한 일) 팔, sannojaniya dhamma ② 번뇌. 신심(身心)을 묶어 속박하는 것. 미혹. 중생을 속박하고 해탈시키지 않기 때문에 이렇게 말함. 마음이 묶임..

본혹(本惑,918)-뉴사전

본혹(本惑,918)-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수혹(隨惑)의 댓구. 탐(貪)·진(瞋)·치(癡)·만(慢)·의(疑)·악견(惡見)의 6종의 근본적인 번뇌.→번뇌 참고 수혹(隨惑,1458)-뉴사전 : 수번뇌(隨煩惱)와 같음.→수번뇌 산, upaklesa ...수번뇌(隨煩惱,1434)-뉴사전 : 수반하여 일어나는 번뇌. 근본번뇌(根本煩惱)에 수반하는 제2의적(第二義的) 번뇌. 수혹(隨惑)이라고도 함. ① 俱舍論에서는 두가지 뜻이 있다. (1) 일체의 번뇌를 가리킴. 마음에 따라서 일어나고 뇌란(惱亂)의 작용을 하기 때문. (2) 6수면의 근본번뇌에 대하여 그것에 따라 일어나는 다른 번뇌를 지말혹(枝末惑)이라고 이름한다. 방일(放逸)·해태(懈怠)·불신(不信)·혼침(昏沈)·도거(掉擧)·무참(無..

오상분결(五上分結,1806)-뉴사전

오상분결(五上分結,1806)-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속세에 묶이는 5가지의 속박. 결(結 산, samyojana)이란 번뇌의 다른 이름. 상분(上分)은 색계(色界)·무색계(無色界)를 말함. 삼계(三界)중 상이계(上二界)인 색계(色界)와 무색계(無色界)에 중생을 결박하는 다섯 종류의 번뇌(색탐(色貪)·무색탐(無色貪)·도거(掉擧)·만(慢)·무명(無明)). 또는 색애(色愛)·무색애(無色愛)·도(掉)·만(慢)·무명(無明))이라고도 함. 중생을 색계(色界)와 무색계(無色界)에 연결하여 해탈시킬 수 없는 번뇌이기 때문에 상분결(上分結)이라 함. 이것을 끊으면 아라한과(阿羅漢果)를 얻는 것임. 산, panca-urdhva-bhagiya-samyojanani 팔, panc’uddham-bha..

수혹(修惑,1457)-뉴사전

수혹(修惑,1457)-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또는 사혹(思惑)이라고도 함. 여러 가지 올바른 수행에 의해 없앨 수 있는 번뇌. 태어나면서부터 갖추어져 있는 번뇌임. 수도(修道)에 있어서 끊을 수 있는 탐(貪)·진(瞋)·치(癡) 등의 미혹한 것을 혹(惑)이라 함.→사혹 참고 사혹(思惑,1145)-뉴사전 : 미사(迷事)의 혹(惑). 사(事 : 현상)에 미혹한 혹으로 81품이 있다. 수혹(修惑). 감각적·육체적인 미혹. 정의적(情意的)인 혹(惑). 점단(漸斷)임. ...미사(迷事,711)-뉴사전 : 미사혹(迷事惑)과 같음. ...미사혹(迷事惑,711)-뉴사전 : 미리혹(迷理惑)의 댓구. 만물의 사상(事相 : 現象面)에서 방황하는 번뇌. 수혹(修惑)을 가리킴. 혹(惑)은 번뇌와 같음...

육대번뇌(六大煩惱,1970)-뉴사전

육대번뇌(六大煩惱,1970)-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탐(貪)·진(瞋)·치(癡)·만(慢)·의(疑)·악견(惡見)의 여섯 종류의 근본 번뇌.→번뇌 참고 탐(貪,2630)-뉴사전 : ① 미혹의 생존의 근원으로서의 탐욕. 욕심. 탐애. 탐하고 집착하는 것. 격렬한 욕망. 팔, raga 탐(貪)이라고 하는 것은 만물을 탐하지만 더 바라는 마음이고, 탐(貪)의 유력(有力)은 위(威)를 취하며, 무력(無力)은 다른이에 쫓아 구한다. 애욕. 탐염(貪染). ② 분노(산, dvesa)에 대함.→진(瞋) ③ 삼독(三毒)의 하나.→삼독 ④ 아비달마에서는 마음의 작용 중 부정지법(不定地法)의 하나. 마음에 꼭맞는 대상을 욕구하는 것. ⑤ 욕심 부리는 자. ⑥ 행음(行陰)을 말함.→행음 진(瞋,2450)..

견애번뇌(見愛煩惱,77)-뉴사전

견애번뇌(見愛煩惱,77)-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진실한 이법(理法)에 헤매이는 지적인 번뇌와 구체적인 개개의 사상(事象)에 사로잡혀 방황하는 정의(情意)의 번뇌. 견(見)은 견혹(見惑)으로 미리(迷理)의 혹(惑), 견도(見道)로 끊어진 번뇌. 애(愛)는 수혹(修惑)으로 미사(迷事)의 혹(惑), 견도(見道)의 다음의 수도(修道)로 끊어진 번뇌. 견도(見道)는 보살의 초지(初地), 수도(修道)는 그 이후. 참고 견애(見愛,76)-뉴사전 : 견(見)은 일체의 견혹(見惑), 애(愛)는 일체의 수혹(修惑)을 말함. 견애이행(見愛二行,77)-뉴사전 : ① 견행(見行)과 애행(愛行)의 두가지. 행은 행업(行業)이라는 뜻. 견행(見行)은 다른 이의 가르침을 따르지 않고 자기 소견대로 하려는 ..

오주지번뇌(五住地煩惱,1832)-뉴사전

오주지번뇌(五住地煩惱,1832)-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견혹(見惑)·사혹(思惑)·무명(無明)의 번뇌를 5종에 나눈 것. (1) 견일처주지(見一處住地). 또는 일체견주지(一切見住地). 견은 욕계·색계·무색계의 견혹. 이것은 지적(智的)인 미(迷)로서 견도(見道)에 들어갈 때 일시에 끊으므로 견일처라 하고, 주지(住地)는 이 번뇌가 근본이 되어 온갖 번뇌의 의지가 되며, 또 번뇌를 내는 것이므로 주지라 한다. (2) 애욕주지(愛欲住地). 욕은 욕계(欲界), 애(愛)는 탐애(貪愛) 곧 사혹(思惑). 사혹은 탐(貪)·진(瞋)·치(癡)·만(慢)의 4에 통하거니와 탐애는 다음 생(生)을 받는 뜻이 가장 강함으로, 탐애로써 사혹을 나타냄. 주지는 위와 같다. (3) 색애주지(色愛住地). 색..

수번뇌(隨煩惱,1434)-뉴사전

수번뇌(隨煩惱,1434)-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수반하여 일어나는 번뇌. 근본번뇌(根本煩惱)에 수반하는 제2의적(第二義的) 번뇌. 수혹(隨惑)이라고도 함. ① 俱舍論에서는 두가지 뜻이 있다. (1) 일체의 번뇌를 가리킴. 마음에 따라서 일어나고 뇌란(惱亂)의 작용을 하기 때문. (2) 6수면의 근본번뇌에 대하여 그것에 따라 일어나는 다른 번뇌를 지말혹(枝末惑)이라고 이름한다. 방일(放逸)·해태(懈怠)·불신(不信)·혼침(昏沈)·도거(掉擧)·무참(無慚)·무괴(無愧)·분(忿)·부(覆)·간(慳)·질(嫉)·뇌(惱)·해(害)·한(恨)·첨(諂)·광(誑)·교(憍)·수면(睡眠)·회(悔)의 19종을 헤아린다.→오위칠십오법 ② 유식(唯識)의 교의(敎義)에서는 근본번뇌인 6대혹(大惑)에 대해, 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