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과(因果) 31

영원한 자유-18(성철큰스님,127페)

영원한 자유-18(성철큰스님,127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전생요법- 심리학에서는 인간의 정신 상태를 세 가지 단계로 나눕니다. 우리가 모여서 지금 이렇게 이야기하는 것은 의식상태입니다. 의식상태 안에 잠재의식이 있고 잠재의식 속에 무의식상태가 있습니다. 무의식상태는 의식이 완전히 끊어진 상태입니다. 프로이드 Sigmund Freud가 잠재의식은 웬만큼 연구하여 발표하였지만, 무의식에 대해서는 뚜렷한 연구 결과를 내지 못했습니다. 이 무의식 상태에 대해 큰 공을 세운 사람이 바로 앞에서 말한 바 있는 영국의 캐논 Sir Alexander Cannon 박사입니다. 그의 가장 큰 공적은 전생조사에 있습니다. 그도 처음에는 과학자의 입장에서 영혼도 있을 수 없고, 윤회도 없다고 철두철..

인과(因果) 2023.04.15

지장경(地藏經,정일선사법어집,96페)

지장경(地藏經,정일선사법어집,96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광명진언을 마친 후 천도재를 올리고 나서는「지장경」300독(讀)을 하면 됩니다.「지장경」은 인과의 도리를 세밀히 드러낸 경전입니다. 「지장경」을 10독 하고 천도재를 올리고, 다시 90독 하고 천도재를 올리고, 다시 100독 하고 천도재를 올리고, 다시 100독 하고 천도재를 올리면 300독을 모두 마치게 됩니다. 특히 중요한 것은 하루 한 줄이라도 반드시 읽어 거르지 않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300독을 하는 기간 중에 하루라도 거르면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합니다. 또 경전을 읽다가 한 독(讀)을 완전히 마치기 전에 바쁜 일이 있어 경전을 덮었을 경우, 새로 읽을 때는 읽던 자리에서부터 계속 이어서 읽되 광명진언을 일곱 번..

인과(因果) 2023.03.04

무위법(無爲法,852)-국어사전

무위법(無爲法,852)-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인과 관계를 떠나 생멸(生滅) 변화함이 없는 참된 법을 이르는 말. 멸법(滅法). 참고 무위(無爲,852)-국어사전 : ① 아무것도 하는 일이 없음. ② 사람의 지혜나 힘을 더하지 아니함. ③ 불교에서, 현상을 초월하여 상주(常住) 불변하는 존재를 이르는 말. ...무위(無爲,672)-뉴사전 : ① 만들어진 것이 아닌 것. 각종의 원인·조건(인연)에 의해 생성된 것이 아닌 존재. 인과관계를 떠나 있는 존재. 성립·파괴를 넘은 초시간적인 존재. 생멸(生滅)변화를 넘은 상주절대(常住絶對)의 진실. 현상을 떠난 절대적인 것. 무한정한 것을 가리키는 말. 열반의 다른 이름. 소승의 아비달마 교학에서는 여기서 3종류를 가르침. ..

인과(因果) 2022.10.23

인과(因果,1897)-국어사전

인과(因果,1897)-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원인과 결과. ② 원인이 있으면 반드시 결과가 있게 마련이고, 결과가 있으면 반드시 그 원인이 있다는 이치. ③ 불교에서 이르는, 선악의 행위에는 반드시 그 업보(갚음)가 있다는 이치. 참고 인과(因果,2104)-뉴사전 : ① 원인과 결과. 어떠한 것이라도 일으키는 것을 인(因)이라고 하고 그 일어난 것을 과(果)라고 한다. 사상(事象)을 성립시키는 것과 성립된 사상(事象). ② 원인이 있으면 반드시 결과가 있고, 결과가 있으면 반드시 원인이 있다고 하는 것이 인과의 이치. 모든 것은 인과의 법칙에 의해 생성·소멸·변화한다. ③ 선악의 행위에는 반드시 그 과보가 있다고 하는 도리.「구사론」에서는 4연(緣)·6인(因)·5과(果)를..

인과(因果) 2022.03.06

선인선과(善因善果,1306)-국어사전

선인선과(善因善果,1306)-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착한 일을 하면 그로 말미암아 반드시 좋은 과보(果報)를 얻게 됨을 이르는 말. 복인복과(福因福果).↔악인악과. 참고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석가모니(釋迦牟尼←Sakyamuni범,1290)-국어사전 : 불교의 개조(開祖). 세계 4대 성인 가운데 한 사람. 석씨. 준) 석가. ...대승불교(大乘佛敎,580)-국어사전 : 대승(大乘)을 주지(主旨)로 하는 불교 종파를 통틀어 이르..

인과(因果) 2022.02.10

단미리(檀彌離,395)-뉴사전

단미리(檀彌離,395)-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장자(長者)의 이름. 옛날 다섯 비구가 함께 산에 들어가 도(道)를 닦았다. 그 때에 서로 말하기를“우리 중에 한 사람만 걸식(乞食)해 오고 나머지 네 사람은 공부만 하자”하니, 한 비구가 스스로 자원하여 마을에 가서 여러 시주에게 권하여 날마다 음식을 보내게 하였다. 네 사람은 수행을 잘하여 한 여름 동안에 도과(道果)를 성취하였다. 모두 그 비구에게 말하기를“우리들이 너의 은혜로 목적을 달성하였다. 그러니 그대의 소원은 무엇인가”하니, 비구가 말하기를“나를 천상에 태어나 부귀를 누리게 한 후에 발심하여 도를 얻게 해달라”하였다. 이 비구가 죽은 후에 91겁 동안 항상 천상에 태어나 부귀를 누리다가 이제 다시 구살라국의 장자집에 ..

인과(因果) 2021.12.21

인문육의(因門六義,2110)-뉴사전

인문육의(因門六義,2110)-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유식종(唯識宗)의 종자의 6의(義)와 같다. (1) 공유력부대연(空有力不待緣). 종자는 찰나에 멸함으로 공(空), 만유를 냄으로 유력(有力), 다른 연(緣)을 가자하지 않고, 스스로 찰나에 멸함을 말하는 것. 찰나멸(刹那滅)과 같다. (2) 공유력대연(空有力待緣). 종자는 결과와 동시에 함께 있는 것이므로 뿌리가 없으면 꽃이 없는 것 같이 그 자체만에 대하면 공(空), 공의 뜻이 있는 종자도 연을 만나면 만유를 내므로 유력(有力)과 대연(待緣)의 뜻이 있으니, 과구유(果俱有)와 같다. (3) 공무력대연(空無力待緣). 종자의 자체는 결과가 있어야 비로소 존재하므로 공, 다른 연을 기다려야 만유를 내므로 무력(無力)과 대연(待緣)..

인과(因果) 2021.10.22

극식(剋識,267)-뉴사전

극식(剋識,267)-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➀ 마음에 새겨 기억하는 것. 우리 마음에 깊게 새겨서 잊혀지지 않는 것. 새겨넣어지는 것. 확실히 기록함. 기록함. ➁ 극(剋)은 반드시의 뜻. 식(識)은 기록하는 것. 천신(天神)이 반드시 사람의 선악을 기록하는 것을 말함. 참고 마음(742)-국어사전 : ① 사람의 몸에 깃들여서 지식·감정·의지 등의 정신 활동을 하는 것, 또는 그 바탕이 되는 것. ② 거짓 없는 생각. ③ (외부로부터의 자극에 대하여 일어나는) 기분. 느낌. ④ (어떤 사물이나 행동에 대하여) 속으로 꾀한 뜻. ⑤ 심정(心情). ⑥ 사랑하는 정. ⑦ 성의. 정성. 준말 : 맘. ...마음(713)-국어사전 : ① 사람의 지(智)·정(情)·의(意)의 움직임. 또,..

인과(因果) 2021.04.02

이숙습기(異熟習氣,2065)-뉴사전

이숙습기(異熟習氣,2065)-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이숙과(異熟果)를 가져온 습기. 무기성(無記性)인 우리들의 신체를 나게 한 선·악의 업종자와 같은 것. 유식가(唯識家)에서는 제6식으로 선악의 업을 지을 때에 그 업은 그대로 소멸하지 않고, 반드시 장래의 결과를 가져 올 종자를 제8식에 훈습(熏習)하여 둔다고 한다. 이것은 역시 제8 이숙식(異熟識)을 불러오는 증상연(增上緣).→습기. 참고 이숙과(異熟果,2065)-뉴사전 : 이숙인(異熟因)의 결과. 선 또는 악의 업력(業力)에 의해 생겨난 무기(無記)의 결과. 원인은 선 또는 악이지만, 그 성숙해져 얻어진 결과는 무기이므로 이숙(異熟)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우리들의 존재는 무기이고, 선악의 업력에 의해 생기는 까닭에 신체..

인과(因果) 2020.10.06

인과(因果,2104)-뉴사전

인과(因果,2104)-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원인과 결과. 어떠한 것이라도 일으키는 것을 인(因)이라고 하고 그 일어난 것을 과(果)라고 한다. 사상(事象)을 성립시키는 것과 성립된 사상(事象). ② 원인이 있으면 반드시 결과가 있고, 결과가 있으면 반드시 원인이 있다고 하는 것이 인과의 이치. 모든 것은 인과의 법칙에 의해 생성·소멸·변화한다. ③ 선악의 행위에는 반드시 그 과보가 있다고 하는 도리.「구사론」에서는 4연(緣)·6인(因)·5과(果)를 들고,「유식론」에서는 4연·10인·5과를 들었다. 일체 만상의 생성 괴멸(生成壞滅)하는 미오(迷悟)의 세계의 모양들은 하나도 인과 관계에 말미암지 않는 것이 없다 함. 참고 인(因,2101)-뉴사전 : ① 원인이 되는 것. 결과..

인과(因果) 2020.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