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신불(法身佛) 법신불(法身佛)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3身佛의 하나. 법의 性品인 萬有諸法의 本體를 法身이라 하고, 法性에 覺知하는 德이 있으므로 佛이라 한다. 참고 삼신불(三身佛) : 佛身을 셋으로 나눔. ① (1) 法身. 法은 영원불변한 萬有의 本體이고, 身은 積聚의 뜻으로, 本.. 불신(佛身) 2017.05.27
언설법신(言說法身) 언설법신(言說法身)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2종法身의 하나. 證得法身의 對語. 如來의 法身은 본래 言說과 모양을 초월한 경계이지만 그것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言說의 방편을 베풀어야 하므로 이렇게 말함. 또 經典은 言說法身이고 수행을 통해 깨달은 法身을 證得.. 불신(佛身) 2017.04.24
무생신(無生身) 무생신(無生身)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生滅이 없는 불타의 法身을 말함. 열반 곧 無生의 진리를 證悟한 것. 여기에 分과 圓이 있다. 그 一分을 깨달아 얻은 이가 菩薩位이고 원만하게 그 전부를 깨달아 얻은 이가 佛果. ② 永久의 몸. 극락정토에서 얻어진다. 출전 .. 불신(佛身) 2016.03.20
법신체성(法身體性) 법신체성(法身體性)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법신의 체성은 각 유파가 다르다. (1) 소승은 理性을 論하지 않고 다만 五分功德(戒 ∙ 定 ∙ 慧 ∙ 解脫 ∙ 知見)으로 法身을 삼아 五分法身이라 한 다. (2) 대승의 三論宗은 實相으로 法身을 삼는다. (3) 法相宗은.. 불신(佛身) 2016.03.05
육신을 죽이더라도 법신을 보라 육신을 죽이더라도 법신을 보라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코사라>국의 깊은 산중에 두 비구가 살고 있었습니다. 그들은 부처님의 직접 제자가 아니고 <카사파>의 제자였기 때문에, 아직 한 번도 부처님을 뵙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그들은 자기들의 교주(敎主).. 불신(佛身) 2016.02.21
보신(報身) 보신(報身)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三身의 하나로 과보와 수행의 결과 주어진 佛身 즉, 오랜 수행의 과정을 겪어 무궁무진한 공덕이 갖추어진 몸을 의미한다. 이러한 공덕을 갖춘 전형적인 예가 바로 불신의 특징인 32상 80종호로 나타난다. 32상 80종호는 인간이 갖출 수 있는 가장 완벽한.. 불신(佛身) 2015.10.17
응신(應身) 응신(應身)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nirmana-kaya의 번역. ① 應現한 身體란 뜻. 중생의 機感에 따라 나타낸 佛身.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 본래 시간 · 공간의 한계를 초월한 無限의 佛境界로부터 거짓으로 際限의 時空的 형상을 나타낸 佛身. 또 應化身 · 化身 · 變化身이라고도 함. .. 불신(佛身) 2015.10.16
화신(化身) 화신(化身)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부처님의 三身의 하나. 또는 應化身. 또는 변화신이라고도 함. 중생을 교화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형상으로 변화하는 佛身을 말함. 이것은 報身처럼 十方三世에 걸쳐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완전 · 원만한 이상적인 佛身이 아니라, 특정한 시대와 지역.. 불신(佛身) 2015.10.15
법신(法身) 법신(法身)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dharma-kaya의 음역. 3身의 하나. 또 法佛 · 法身佛 · 自性身 · 法性身 · 寶佛 등이라고 한다. 說一切有部에서는, 佛陀가 說한 正法, 혹은 十力 등의 功德法을 말함. 法의 集會. 대승에서는 究極 · 絶對의 존재를 말하고, 일체의 존재는 그것의 나.. 불신(佛身) 2015.10.14
불신(佛身) 불신(佛身)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buddha-kaya의 번역. 佛身. ① 佛身에 대해서는 불교도 사이에 여러 가지로 고찰되었다. 이것을 佛身論이라고 한다. 이미 釋尊의 在世時, 혹은 滅後 얼마 안되는 무렵부터, 석존은 보통인간이 아니고, 그 佛身은 보통 사람의 신체를 넘어선 원만함, 거.. 불신(佛身) 2015.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