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이 經의 이름은「부처의 華嚴이라고 이름하는 大方廣의 經」으로 漢譯하여 大方廣佛華嚴經이다. 이 經의 이름 7자를 규봉스님의 문인되는 전오대사가 저술한 화엄경 관심석에 보면 다음과 같다. 大字는 마.. ㄱ(기역)~ㄴㄷ(디귿) 2018.01.13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금강반야경> <금강경>이라고도 한다. 姚秦의 구마라집이 번역(402년)한 것으로, 玄奘譯 <大般若>의 제 1부에서 제 5부까지는 거의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대하여 제 6부 이하는 같은 .. ㄱ(기역)~ㄴㄷ(디귿) 2018.01.13
공양(供養) 공양(供養)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供施 · 供給 · 供이라고도 한다. 食物이나 의복을 佛法僧의 三寶 · 父母 · 師長 · 亡者에게 공급하는 일. 공양물의 종류, 공양의 방법, 공양의 대상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된다(공양이란 말은 또 원래 주로 신체적 행위를 말.. ㄱ(기역)~ㄴㄷ(디귿) 2018.01.13
고구려불교(高句麗佛敎) 고구려불교(高句麗佛敎)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가 처음 고구려에 들어온 것은 소수림왕 2(372)년 前秦의 왕 符堅의 명으로 順道스님이 불경과 불상을 가져왔고, 2년 후인 374년에는 동진의 阿道스님이 입국하였고, 그 다음해에 省門寺와 伊弗蘭寺를 세워 順道와 .. ㄱ(기역)~ㄴㄷ(디귿) 2018.01.13
고려불교(高麗佛敎) 고려불교(高麗佛敎)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太祖 이래 불교를 국교로 숭상함으로써 정치 · 사회의 지도이념이 되었으며, 수도 개성을 위시하여 전국에 많은 사찰이 있었다. 신하들뿐 아니라 王家에서도 출가하여 승려가 되는 일이 허다하였으니 출가한 왕자를 小.. ㄱ(기역)~ㄴㄷ(디귿) 2018.01.13
대승(大乘) 대승(大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摩訶衍那·摩訶衍이라 음역하며, 上衍, 上乘이라고도 한다. 乘은 타는 것이란 뜻이며, 迷惑의 此岸으로부터 깨달음의 彼岸에 이르는 敎法을 가리킨다. ① 阿含經에서는 불타의 가르침을 존중하여 大乘이라 했다. ② 대승·소승이.. ㄱ(기역)~ㄴㄷ(디귿) 2018.01.12
도(道) 도(道)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marga의 번역으로 末伽라고 음역하며 목적지에 이르게 하는 通路. 밟아 행해야 할 길(軌路)을 뜻하는 말이다. 俱舍論卷二十五에는, 道라 함은 涅槃(깨달음)으로 가는 길이고 열반의 果를 얻기 위해 마땅히 의지할 바라고 했다. 이와 .. ㄱ(기역)~ㄴㄷ(디귿) 2018.01.12
과보(果報) 과보(果報)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異熟이라고도 한다. 因으로서의 業 곧 業因으로 말미암아 얻는 보답의 결과. 여기에 二報가 있다. (1) 總報는 引業(總報業)에 의하여 引出되는 總體로서의 果報를 말한다. 예를 들면 일단 인간으로 태어나면 누구나 그 인간으로서의.. ㄱ(기역)~ㄴㄷ(디귿) 2018.01.12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고려시대에 불경과 章疏를 모아 집대성해서 印刊한 불경. 이 거대한 役事는 불교를 興旺시키는 목적도 있었지만 문화국으로서의 위력을 이웃 나라에 선양하고, 부처님의 위신력으로 國難을 타개해서 호국하려는 큰 .. ㄱ(기역)~ㄴㄷ(디귿) 2018.01.11
공안(公案) 공안(公案)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公府案牘의 약칭. 선종에서 修學人에게 깨달음을 열어주기 위해 주는 문제. 곧 예로부터 祖師가 보여온 언어 또는 그 행위의 宗要를 모아 참선하는 사람들에게 공부의 과제로 주었다. 부처와 조사가 그 깨달음을 열어 진리를 나타.. ㄱ(기역)~ㄴㄷ(디귿) 2018.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