ㄱ(기역)~ㄴㄷ(디귿)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

근와(槿瓦) 2018. 1. 13. 01:26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금강반야경> <금강경>이라고도 한다. 姚秦의 구마라집이 번역(402)한 것으로, 玄奘譯 <大般若>의 제 1부에서 제 5부까지는 거의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대하여 제 6부 이하는 같은 반야사상을 내용으로 하면서도 취급 방법이 각각 다르며, 9<금강>의 범어원전은 인도내의 여러 곳에 따로따로 보존되어 있다. 그 내용은 석존께서 사위국에 있는 기원정사에서 須菩提 등을 위하여 처음에 境界함을 말하고, 다음에 함을 보이고, 뒤에 菩薩空을 밝힌 것으로 空慧로써 를 삼고 一切法 無我의 이치를 말한 것이다.

 

은 널리 퍼져서 많은 사람들이 講說하였고 특히 禪宗에서 중요시 여긴 것으로 라집 이외에 여러 사람이 번역을 하였는데, 北魏菩提流支譯, (같은 이름) 達磨笈多譯<金剛能斷般若波羅蜜經>, 眞諦譯(같은 제목) 玄奘<能斷金剛分>, 義淨 <能斷金剛般若波羅蜜經> 등의 5가지가 있으며, 이는 인도에서도 특히 喩伽師派에서 연구되어 그 주석서가 여러 종류로서 범어원전, 한역, 서장어역 등이 현재 전하고 있다.

 

참고

금강경의 32에 대한 자세한 말씀은 카테고리 금강경(金剛般若波羅蜜經)”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ㄱ(기역)~ㄴㄷ(디귿)'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장경(大藏經)   (0) 2018.01.14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0) 2018.01.13
공양(供養)   (0) 2018.01.13
고구려불교(高句麗佛敎)  (0) 2018.01.13
고려불교(高麗佛敎)  (0) 2018.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