ᄉ~ㅇ(시옷~이응)

수다원과(須陀洹果)

근와(槿瓦) 2018. 8. 8. 00:25

수다원과(須陀洹果)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성문승 四果의 제1. 바르게 三界見惑을 끊고 果位를 증득하는 것.

 

참고

성문승(聲聞乘) : 三乘의 하나. 聲聞 지위에 있는 이가 證果에 이르기 위하여 닦는 교법. ···四諦法. 뒤에는 변해져서 성문의 機類도 성문승이라 한다.

 

사과(四果) : 소승 證果4계위. 無漏智가 생기는 지위. 舊譯須陀洹果, 斯陀含果, 阿那含果, 阿羅漢果라 하며, 新譯에는 앞 三果를 번역하여 預流果 · 一來果 · 不還果라 하고, 아라한과는 舊譯대로 함.

(1) 수다원과(須陀洹果). 入流 또는 逆流라 번역한다. 入流預流와 같은 뜻으로 범부를 버리고 처음으로 聖道法流에 들어감을 말한다. 逆流聖位에 들어가 生死暴流를 거스름을 말한다. 三界見惑을 완전히 끊는 자리이다.

(2) 사다함과(斯陀含果). 一來라 번역하며 欲界 九地思惑 가운데 앞의 六品을 끊고, 뒤의 三品을 남긴 것. 後三品思惑이 되어 오히려 욕계의 인간과 天界(六欲天)一度受生하므로 一來라 한다. 一來一度往來의 뜻이다.

(3) 아나함과(阿那含果). 舊譯에서는 不來라 하고, 新譯에서는 不還이라 한다. 욕계에서 죽어 색계와 무색계에 나고는 번뇌가 없어져서 다시 돌아오지 아니한다는 뜻이다.

(4) 아라한과(阿羅漢果). 번역하여 殺賊 · 應供 · 不生이라 번역한다. 위로 非想處에 이르러 일체의 思惑을 끊는 성문승의 極果이다. 일체의 見惑思惑을 끊으므로 殺賊이라 하며 이미 極果를 얻어 인간과 천상의 공양을 받으므로 應供이라 한다. 一世果報를 다하여 영원히 열반에 들어가 다시는 三界來生하지 않으므로 不生이라 한다.

 

무루지(無漏智) : 眞理를 더욱 자라게 하고, 모든 번뇌의 허물을 여읜 淸淨한 지혜를 말함. 小乘에서는 四諦의 이치를 한 지혜라 하여 法智類智의 두 가지를 세우고, 大乘唯識에서는 無漏智根本智後得智의 두 가지를 세운다. 根本智唯識眞如의 이치를 證得無分別智를 말하고, 後得智는 그 根本智에서 나와 唯識, 因緣으로 일어난 모든 萬象을 아는 지혜이다.

 

삼계(三界) : 중생이 생사에 流轉하는 의 세계. 有情의 경계를 셋으로 나눈 것. 生死輪廻하는 迷惑生存界()의 분류이므로 三有生死라고도 하고 단순이 三有라고도 한다. 欲界(欲有) · 色界(色有) · 無色界(無色有)의 셋을 말한다. 그 중에서 색계 · 무색계는 욕계보다 위에 있으므로 上二界 또는 上界라 한다(欲界 중의 六欲天까지도 포함한 天上界 전체를 가리켜서 上界라고 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 경우 인간계를 下界라고도 한다). 三界는 끝이 없어 大海와 같은 · 의 영역이므로, 苦界 · 苦海라고 한다.

삼계는 다시 여러 세계로 각각 세분되며 그 가운데 욕계는 지옥 · 아귀 · 축생의 3惡趣(아수라를 더한 4惡趣) · ()로 분류된다. 欲界의 하늘은 여섯이 있으므로 六欲天이라 한다. 색계는 初禪天에서 제 3禪天까지는 각각 3이 있고 제四禪天九天(無想天을 제하고 八天이라고도 한다)이므로 色界 18이라고 한다. 그 제四禪天 가운데 제5淨居天을 하나로 하고, 거기에 44, 4惡趣(지옥 · 아귀 · 축생 · 아수라)4, 6欲天6, 梵天1, 無想天1, 四禪天4, 四無色天4를 합하여 二十五有라 한다. 여기에 淨居天5(無煩 · 無熱 · 善現 · 善見 · 色究竟)으로 나누어 二十九有라고도 한다. 또한 欲界를 합하여 1, 色界初禪天에서 제4禪天까지 4, 無色界空無邊處天에서 非想非非想處天까지 4로 하여 이것을 三界 九地라 한다.

 

견혹(見惑) : [修惑] 은 마음의 迷惑, 곧 번뇌의 별명이며, 또한 見惑이란 것은 見道에 의해 消滅되는 이란 뜻이고, 修惑(思惑이라고도 한다)修道에 의해 消滅해 없어지는 이다. 俱舍宗에서는 四諦의 진리(, 佛敎의 진리)를 알지 못함으로 眞理를 모르는 見惑, 現象的인 사물에 집착하고 迷事修惑이라 했으며, 唯識宗에서는 邪道의 이단자가 邪敎 등의 誘導에 의해, 또는 마음으로 생각하고 분별함을 따라 일으키는 후천적인 번뇌(分別起)見惑, 태어남과 동시에 저절로 생기는 선천적인 번뇌(俱生起)修惑이라 한다고 했다. 또한 天台宗에서는 · 二惑空觀에 의해 끊어지는 번뇌이므로 塵沙惑 · 無明惑과 구별했으며 합해서 三惑이라 했다. 그 가운데 · 은 모두 三界안의 사물에 의해 상대적으로 일어나고, 三界生死(, 迷的 生存)를 초래하는 것이므로 界內이라 했고, 三乘이 공통으로 끊지 않으면 안되는 이므로 通惑이라 한다.

俱舍宗에서는 見惑八十八이 있다고 하여 見惑 八十八使(使 : 번뇌의 다른 이름)라 한다. , 見道함으로 없어지는 근본번뇌는, 五利使(身見 · 邊見 · 邪見 · 見取見 · 戒禁取見)五鈍使(· · · · )이지만, 이것을 각각 四諦에 맞춰, 三界에 해당시킬 때 欲界三十二, 色界 · 無色界各 二十八이 되므로 합하여 八十八이 된다. 또한 修惑八十一이 있다고 하여, 修惑 八十一品이라 했으니, 修道에 의해 없어질 근본번뇌로, 欲界에서는 · · · , 色界 · 無色界에서는 각각 · · 十種이지만 이것들을 각각 일괄하여, 九地配對하고, 다시 각각 번뇌의 강약에 따라 上上品에서 下下品까지의 九種으로 나누어 八十一品으로 한 것이다. 見惑八十八使修惑十種을 합하여 九十八隨眠이라 한다.

唯識宗에서는 見惑百十二, 修惑十六으로 나누고 합하여 百二十八의 근본번뇌를 세운다.

 

과위(果位) : 因位의 반대. 깨달음의 정도.

 

증득(證得) : 바른 지혜로써 진리를 깨달아 얻는 것을 말함.

 

정지(正智) : 범어 samyak-jnana의 번역으로 진리를 바로 보는 바른 지혜의 뜻. 正理에 맞는 지혜.

 

정리(正理) : 올바른 이치. 바른 道理. 바른 論理.

 

정도(正道) : 正眞師道, 三乘所行無漏道란 뜻. 一切法根本體性은 차별을 뛰어 넘어 一味平等絶對無爲의 경지이며 이것을 體達無漏智로 마침내 菩提涅槃證得하고 佛果에 이르게 하므로 이것을 正道라 한다. 八正道分을 가리킴.

 

성문(聲聞) : 소리를 듣는 사람이란 뜻으로 제자라고도 번역한다.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깨닫는 것을 가리킨다. 원래는 佛在世時의 제자를 말하지만 緣覺 · 菩薩에 대해 二乘 · 三乘의 하나로 열거할 때는 부처님의 敎說에 따라 수행을 하지만 자기 혼자만 해탈하는 것을 목적하는 出家聖者를 뜻한다. 佛敎徒 가운데 성질 · 능력이 얕은 下根機 의 가르침에 따라 수행을 쌓아 四妙門果를 깨닫고 마침내는 心身을 다 滅盡하여 灰身滅智無餘涅槃에 들어가는 것을 목적하는 사람들의 뜻이다. 성문을 위한 聲聞乘, 그 교를 설한 經典聲聞藏이라 한다. 聲聞乘緣覺乘과 같이 소승에 속한다. 법화경 卷二에는 성문이 마음을 바꾸어서 대승으로 轉向하는 경우, 이를 聲聞이라 칭하는 것은다른 사람을 제도하고자 가르침을 다른 사람에게 설하여 들려주는 사람이란 뜻이다라고 하며 이것을 大乘聲聞(佛道聲聞)이라 부른다.

世親法華論 卷下에는, 성문을 넷으로 분류했다.

(1) 소승에 처음부터 끝까지 관계를 같이하는 決定성문,

(2) 人無我에 집착함으로 성문에 만족하여 慢心을 일으키는 增上慢성문,

(3) 대승에 뜻을 두었으나 바꾸어 성문이 되었다가 나중에는 대승으로 향하는 退菩提心성문,

(4)  · 보살이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 거짓으로 성문이 되어 나타난 應化성문이다. 法華玄論 卷四에는 여기에 다시 佛道성문을 넣어서 五種성문이라 한다.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ᄉ~ㅇ(시옷~이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대유(相待有)  (0) 2018.08.08
사타(捨墮)  (0) 2018.08.08
일경삼제(一境三諦)  (0) 2018.08.08
사종자량(四種資糧)  (0) 2018.08.07
이부정(二不定)  (0) 2018.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