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유(相待有)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有를 三種으로 구분한 것 가운데 하나.
참고
유(有) : 범어 bhava의 번역. 有情으로서의 존재. 生存의 뜻. 三有는 三界를 말하며, 欲有·色有·無色有. 七有는 地獄有(바람직하지 않은 有의 의미로 不可有라고도 한다)·餓鬼有·傍生有(畜生有)·天有·人有·業有(業은 생존을 이끄는 因이기 때문에 業有라고 한다)·中有, 二十五有는 四惡趣(地獄·餓鬼·畜生·阿修羅)·四洲(東勝身洲·南贍浮洲·西牛貨洲·北俱盧洲)·六欲天(四王天·夜摩天·忉利天·兜率天·化樂天·他化自在天)·色界(初禪天·大梵天·第二禪天·第三禪天·第四禪天·無想天·五淨居天)·四無色界(空無邊處天·識無邊處天·無所有處天·非想非非想處天), 二十九有는 二十五有중 五淨居天을 無煩·無熱·善見·善現·色究竟의 五天으로 나눈 것이다. 혹은 또 初果의 聖者는 人天의 사이를 七返往來하며 生을 받고 그 이상은 받지 않는다고 하는데, 이 경우 그 생을 中有와 生有로 나누어 二十八有라 하기 때문에 二十九有는 絶無를 뜻한다. 이상과 같이 迷惑된 생존의 상태는 가지가지로(특히 이십오유에) 분류되기 때문에 諸有라 하고 그 有는 널리 際限이 없기 때문에 바다에 비유해서 諸有海라 한다. 또 智度論 권十二에는, 물건의 존재의 방식을 3종으로 나누어 三種有로 한다. 大小長短등과 같은 상대적 존재인 相待有와, 多數가 집합한 假의 존재인 假名有와, 因緣으로 생긴 것이기는 하나 「물건」으로서 존재하고 있는 法有 등이다.
삼종유(三種有) : 이름과 실체가 있는 것을 有라 하며, 여기에 3종이 있다.
(1) 相待有. 상대적으로 있는 것. 長에 대한 短, 心에 대한 境과 같은 것.
(2) 假名有. 여러 가지가 모여서 假定으로 一物의 이름이 있는 것이니, 五蘊이 거짓으로 화합한 것에 거짓으로 사람이라 함과 같은 것.
(3) 法有. 色·心의 모든 法은 인연으로 생기는 것이고, 본래 自性이 없으나, 아주 없는 거북의 털, 토끼의 뿔과 같지는 아니하므로 이를 法有라 한다. (智度論十二)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ᄉ~ㅇ(시옷~이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식(神識)에 관하여-4(대보적경-3130-626) (0) | 2018.08.09 |
---|---|
십이연기의 재해석(성철큰스님) (0) | 2018.08.08 |
사타(捨墮) (0) | 2018.08.08 |
수다원과(須陀洹果) (0) | 2018.08.08 |
일경삼제(一境三諦) (0) | 2018.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