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효(元曉)

원효(성전)-220-종조19

근와(槿瓦) 2016. 8. 17. 00:56

원효(성전)-220-종조19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3. 實踐的 사상체계

 

3-1 實踐系의 저술

 

위에서 聖師를 하나의 立地에서 이론적으로 전개한 사상체계를 一括하여 보았지마는 보다 더 중요한 것은 실천적 행동의 사상체계이다.

 

다시 말하면 원효성사는 불교의 理想을 하나의 인격으로서 어떻게 구현할 것이냐? 하는 행동의 과제가 그 핵심이 되었다. 이런 과제를 다룬 저술로서 그 명목이나마 남아있는 것은「初章觀文 · 安身事心論 · 大乘觀行 · 調伏我心論 · 求道譬喩論 · 大乘六情懺悔法 · 遊心安樂道 · 發心修行章 · 一道章 · 六現觀義 · 發菩提心義 · 淨義 · 菩薩戒持犯要記」등의 저술이 있었다. 그런데 현존한 것은 大乘六情懺悔法 · 發心修行章 · 遊心安樂道 · 菩薩戒持犯要記 등이 있을 뿐이니 한스러운 일이다.

 

그 가운데「求道譬喩論」은 求道의 비유로 밝혔을 것이요「發菩提心義」는「大乘菩提心」을 일으키는 妙義를 밝혔을 것이요「初章觀文 · 大乘觀行」은 觀心法을 밝혔을 것이다. 그리고「大乘六情懺悔」는「無相의 實相懺法」을 밝힌 것이요「發心修行章」은「發心修行」을 勸發 · 策勵한 것이요「安身事心論」과「調伏我心論」은 心行修鍊法을 밝힌 것이요「菩薩戒持犯要記」는 菩薩大戒를 지니고 犯하는 모습에 있어서의 眞 · 僞 · 深 · 淺 · 得 · 失을 밝힌 것이요「遊心安樂道」는 淨土往生의 要義를 밝힌 것이다.

 

그리고「一道章」이란 一文은 아마도 三世諸佛이 마침내「一道」로「究竟覺」을 성취한다는 요지를 發揮하였을 것이며, 또는 華嚴明難品偈에「一切無碍人 · 一道出生死」라는「一道」와도 직접 관계했으리라고 본다. 이러한 저술을 통하여서 聖師의 實踐系의 사상을 엿볼 수 있거니와 要는「求道 · 發心 · 觀行 · 懺悔 · 事心 · 調伏 · 持犯得失 · 淨土往生要義」등을 정녕히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출전 : 성전(대한불교원효종)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원효(元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효(성전)-222-종조21   (0) 2016.08.19
원효(성전)-221-종조20   (0) 2016.08.18
원효(성전)-219-종조18   (0) 2016.08.16
원효(성전)-218-종조17   (0) 2016.08.15
원효(성전)-217-종조16   (0) 2016.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