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1661

정념(正念,2071)-국어사전

정념(正念,2071)-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팔정도의 하나. 사념을 떨쳐버리고 항상 불도를 생각하는 일. ② 불법에 따라 극락에서 다시 태어남을 믿는 생각. ③ 일념으로 염불하는 일. 참고팔정도의 하나⇒00팔정도의→팔정도(八正道,2473)-국어사전 : 불교에서 이르는, 실천 수행하는 여덟 가지 참된 덕목. 곧, 정견(正見)·정어(正語)·정업(正業)·정명(正命)·정념(正念)·정정(正定)·정사유(正思惟)·정정진(正精進). 팔성도(八聖道). ...정도(正道,2071)-국어사전 : 올바른 길. 바른 도리. 정경(正逕). 정로(正路).↔사도(邪道). ...정경(正逕,2068)-국어사전 : 올바른 길. 정도(正道). ...사도(邪道,1160)-국어사전 : 올바르지 않은 길. 사로(邪..

정도(正道,2071)-국어사전

정도(正道,2071)-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올바른 길. 바른 도리. 정경(正逕). 정로(正路).↔사도(邪道). 참고올바른 길⇒00올바른→올바르다(1723)-국어사전 : 옳고 바르다. ...0옳다(1725)-국어사전 : ① 틀리지 않다. ② 도덕이나 규칙 등에 벗어남이 없다. ③ 사리에 맞다. ④ 격식에 벗어남이 없이 제대로이다. ...제대로(2091)-국어사전 : ① 제 격식(규격)대로. 예) 제대로 만든 물건. ② 마음 먹은 대로. 예) 화가 나서 말도 제대로 못 한다. ③ 마땅한 정도로. 채. 예) 비가 제대로 오지 않아 농사가 걱정이다. ...0바르다(905)-국어사전 : ① 비뚤어지거나 굽지 않고 곧다. ② 도리나 사리에 맞아 어긋남이 없다. ③ 정직하여 남을 속이는..

진에(瞋恚,2218)-국어사전

진에(瞋恚,2218)-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노여움. 분노. ② 불교에서 이르는, 삼독(三毒)의 하나. 자기 뜻에 어긋남에 대하여 성내는 일. 준) 진(瞋).  참고노여움. 분노⇒00노여움→노여움(479)-국어사전 : 노여운 감정. 노혐(怓嫌). 예) 할아버지의 노여움을 사다. 준) 노염. ...노엽다(479)-국어사전 : 섭섭하고 분하다. 예) 노엽게 여기다. ...00분노→분노(憤怒,1081)-국어사전 : 분하여 몹시 성을 냄. ...성내다(1320)-국어사전 : ➀ 성을 내다. 노여움을 드러내다. ➁ (흥분하여) 거친 기운을 내다. ➂ (잘못하다가 종기가) 덧나다. ...분노(忿怒,943)-뉴사전 : ① 노여움. 出曜經 16권 忿怒品, 法句經 下권, 忿怒品 : Dhp..

삼독(三毒) 2025.01.24

공덕(功德,220)-국어사전

공덕(功德,220)-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공적과 덕행. 예) 공덕을 기리다. ② 불교에서, 현재 또는 미래에 행복을 가져올 선행(善行)을 이르는 말. 예) 공덕을 쌓다. / 공덕을 베풀다. 준) 덕(德). 참고공적과 덕행⇒00공적→공적(功績,231)-국어사전 : 쌓은 공로. 공로의 실적. ...공로(功勞,222)-국어사전 : 어떤 일에 이바지한 공적과 노력. 공훈(功勳). 예) 공로를 들이다. / 그간의 공로를 치하하다. / 건국에 이바지한 공로로 훈장을 받다. 준) 공(功). ...이바지(1879)-국어사전 : ① (나라나 사회에) 도움이 되게 함. 공헌함. ② 음식 같은 것을 정성 들여 보내 줌. ③ 물건을 고루 갖추어 바라지함. ...00덕행→덕행(德行,600)-국..

오탁(五濁) 2025.01.22

전법륜(轉法輪,2038)-국어사전

전법륜(轉法輪,2038)-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석가께서 사(私)를 깨뜨리고 성도(成道)한 뒤에 사제(四諦)·팔정도(八正道) 따위를 설법한 일. 참고석가께서 사(私)를 깨뜨리고→00석가(釋迦,1290)-국어사전 : ① 크샤트리아 계급, 곧 왕족에 딸린 종족의 하나. 석가모니는 이 종족에서 났음. ② 석가모니>의 준말. ...석가(釋迦,1301)-뉴사전 : ① 석존이 속해있던 부족의 이름을 팔, Sakiya 팔, Sakiya 산, Sakya라고 하는데, 그 음역이 변하여 석존, 고타마·붓다라 함. 藥師寺佛足石歌> 沙石集 1(3)> ② 팔, Sakka의 음역. 제석천(帝釋天)이라고 하는 것. 티, brgya byin 大日經 住心品 ㊅ 18권 2中>→서가 ...서가(釋迦,1292)..

고과(苦果,181)-국어사전

고과(苦果,181)-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고뇌를 받는 과보, 또는 악업의 과보로서 받는 고뇌를 이르는 말. 참고불교에서→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성자(聖者,1325)-국어사전 : ① 성인(聖人). ② 불교에서, 온갖 번뇌를 끊고 정리(正理)를 깨달은 사람을 일컫는 말. ③ 기독교에서, 순교자나 거룩한 신자를 높이어 일컫는 말. ...불타(佛陀,1103)-국어사전 : 바른 진리를 깨달은 사람, 곧 부처. [흔히, 석가여래를 이름...

윤회(輪廻) 2025.01.18

원칙(原則,1795)-국어사전

원칙(原則,1795)-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근본이 되는 법칙. 본칙(本則). 예) 문장 수련의 3대 원칙. ② 여러 사물이나 일반 현상에 두루 적용되는 법칙. 예) 웃어른께 먼저 여쭙는 것이 원칙이다. 원리(原理). 참고근본이 되는 법칙 본칙(本則)⇒00근본이→근본(根本,336)-국어사전 : ① 초목의 뿌리. ② 사물이 생겨나는 데 바탕이 되는 것. 근저. 기본. 기초. 기근(基根). ③ 자라 온 환경이나 경력. ...근본(根本,271)-뉴사전 : ① 뿌리. 산, mula 中論 26·8> ② 일어난 곳. 中論 23·7> ③ 근본업도(根本業道)를 말함. 행위의 그것. ④ 인간존재의 기초가 되어, 윤회의 과정에 있어서 변하지 않는 것. 十八空論 ㊅ 49권 19下> ...00..

법맥(法脈,994)-국어사전

법맥(法脈,994)-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교법(敎法)을 전하는 계통을 이르는 말. 참고불교에서→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성자(聖者,1325)-국어사전 : ① 성인(聖人). ② 불교에서, 온갖 번뇌를 끊고 정리(正理)를 깨달은 사람을 일컫는 말. ③ 기독교에서, 순교자나 거룩한 신자를 높이어 일컫는 말. ...불타(佛陀,1103)-국어사전 : 바른 진리를 깨달은 사람, 곧 부처. [흔히, 석가여래를 이름.] 각왕(覺王). 대각세존..

조사(祖師) 2025.01.14

법경(法境,993)-국어사전

법경(法境,993)-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육경(六境)의 하나.‘의식(意識)의 대상’을 이르는 말. 참고육경(六境)의 하나⇒00육경의→육경(六境,1775)-국어사전 : [불교] 육식(六識)의 대상이 되는 여섯 경계[색(色)·성(聲)·향(香)·미(味)·촉(觸)·법(法)의 총칭.] ...00육경(六境,1966)-뉴사전 : 육근(六根)의 여섯종류의 대상. 색(色 : 形과 色)·성(聲)·향(香)·미(味)·촉(觸 : 신체에 접촉하여 지각되는 것)·법(法 : 의식의 사고대상). 인식작용의 대상을「경(境)」이라 하지만, 특히 오관(五官)과 의(意)의 대경(對境)으로서의 색경(色境 : 눈에 의한 인식)·성경(聲境 : 귀에 의한 소리)·향경(香境 : 코에 의한 향)·미경(味境 : 혀에 의한 ..

법(法)이란? 2025.01.12

시무외(施無畏,1444)-국어사전

시무외(施無畏,1444)-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부처나 보살이 중생을 보호하여 두려움을 없게 하는 일. 참고부처나 보살이 중생을 보호하여⇒00부처나→부처(1074)-국어사전 : ① 불교의 교조인 석가모니. 부도(浮屠). ② 불상(佛像). ③ 대도(大道)를 깨친 불교의 성자(聖者). ④‘화를 낼 줄 모르고 자비심이 두터운 사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불타(佛陀). 높임말 : 부처님. ...부도(浮屠,1059)-국어사전 : ① 부처. ② 고승(高僧)의 사리나 유골을 넣고 쌓은 둥근 돌탑. ③‘중’을 달리 일컫는 말. ...대도(大道,571)-국어사전 : ① 넓은 길. 큰길. 대로(大路). ② 사람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근본이 되는 도리.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