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1661

공제(空諦,231)-국어사전

공제(空諦,231)-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이르는 삼제(三諦)의 하나. 만물은 모두 공(空)이며 고정불변의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하는 진리.  참고불교에서 이르는 삼제(三諦)의 하나⇒00불교에서→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성자(聖者,1325)-국어사전 : ① 성인(聖人). ② 불교에서, 온갖 번뇌를 끊고 정리(正理)를 깨달은 사람을 일컫는 말. ③ 기독교에서, 순교자나 거룩한 신자를 높이어 일컫는 말. ...불타(佛陀,1103)-국어..

만심(慢心,755)-국어사전

만심(慢心,755)-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젠체하면서 남을 업신여기는 마음. ② 불교에서, 자신을 지나치게 믿고 자랑하며 남을 업신여기는 마음을 이르는 말. 아만(我慢). 참고젠체하면서 남을 업신여기는 마음⇒00젠체하면서→젠체하다(2101)-국어사전 : 제가 제일인 체하다. 잘난 체하다. ...잘나다(1974)-국어사전 : ① (사람됨이) 남보다 똑똑하고 뛰어난 데가 있다. 예) 잘난 체하다. / 정말 잘난 사람. ② (생김새가) 남보다 빼어나서 썩 좋아 보이다. 잘생기다. 예) 그 집 아들, 인물은 정말 잘났어. / 듬직한 체구에 얼굴도 훤하니 참 잘났더라. ③ (반어적으로 쓰이어) 보잘것없거나 대수롭지 않다는 뜻을 나타내는 말. 예) 그렇게 큰소리만 탕탕 치더니, 잘났..

만(慢) 2025.03.08

애착생사(愛着生死,1563)-국어사전

애착생사(愛着生死,1563)-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괴로움이 많은 이 세상의 덧없음을 깨닫지 못하고, 생사를 되풀이하는 이 세상에 집착하는 일을 이름. 참고불교에서→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성자(聖者,1325)-국어사전 : ① 성인(聖人). ② 불교에서, 온갖 번뇌를 끊고 정리(正理)를 깨달은 사람을 일컫는 말. ③ 기독교에서, 순교자나 거룩한 신자를 높이어 일컫는 말. ...불타(佛陀,1103)-국어사전 : 바른 진리를 깨달은 ..

집(執 : 집착) 2025.03.06

공염불(空念佛,228)-국어사전

공염불(空念佛,228)-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신심(信心)없이 입 끝으로만 외는 염불. ② 아무리 타일러도 허사가 되는 말. ③ 실행이나 내용이 따르지 않는 주장이나 선전. 참고신심(信心)없이 입 끝으로만 외는 염불⇒00신심→신심(信心,1467)-국어사전 : ① 종교를 믿는 마음. 신앙심. ② 옳다고 믿는 마음. ...신앙심(信仰心,1467)-국어사전 : 종교를 믿고, 그 가르침을 따르는 마음. 신심. ...신심(信心,1520)-뉴사전 : ① 부처님의 가르침을 믿고 의심하지 않는 마음. 신념. 한결같은 바램. ② 정토교에서는 4중파인(重破人)에 의해 움직여지지 않는 기법(機法) 2종의 심심(深心). 즉 기법(機法)의 심심(深心)과 기법의 심신(深信)을 말함. ③ 정토진종에..

제천(諸天,2099)-국어사전

제천(諸天,2099)-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모든 하늘, 곧 불교에서 이르는, 마음을 수양하는 경계를 따라 나눈 여덟 하늘.  참고모든 하늘⇒00모든→모든(812)-국어사전 : 여러 가지의. 여러 종류의. 전부의. ...전부(全部,2039)-국어사전 : 모두 다. 모조리. 온통. ...모조리(819)-국어사전 : 하나도 빠짐없이 모두. 처음부터 끝까지 죄다. ...00하늘→하늘(2537)-국어사전 : ① 땅 위에 높이 펼쳐져 있는 공간. 대공(大空). 중천(中天). 천(天). 천공(天空). 태허(太虛). 허공. ② 만물을 지배하는 절대자. 하느님. ③ 만물을 지배하는 절대자나 영혼 등이 살고 있다고 믿는 곳. 천국. 천당. 하늘나라. ④ 날씨. ...대공(大空,568)-국어사..

마음이란? 2025.03.02

금강야차(金剛夜叉,342)-국어사전

금강야차(金剛夜叉,342)-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오대 명왕(五大明王)의 하나. 머리가 셋이고 팔이 여섯이며 무서운 형상(形相)으로 악마를 누르는 명왕. 참고오대 명왕(五大明王)의 하나⇒00오대→오(五,1695)-국어사전 : (1) 다섯. 5. (2) (수량을 나타내는 말 앞에 쓰이어) ① 그 수량이 다섯임을 나타내는 말. 예) 오 년. / 오 개월. ② 그 순서가 다섯 번째임을 나타내는 말. 예) 오 조. / 오 반 어린이들. ...대-(大,565)-국어사전 : (일부 명사 뒤에 붙어)‘큰’‘대단한’‘뛰어난’ 따위의 뜻을 나타냄. 예) 대가족. / 대성공. / 대학자.↔소(小)-. ...대(大)-한자사전 : 크다. 넓다. 두루. ...00명왕의→명왕(明王,806)-국어사전 ..

불법(佛法) 2025.02.28

가제(假諦,29)-국어사전

가제(假諦,29)-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의 삼제(三諦)의 하나. 만물은 모두 실체(實體)가 없는 공(空)이나, 그 형상은 뚜렷하다는 진리. 참고불교의 삼제(三諦)의 하나⇒00불교의→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성자(聖者,1325)-국어사전 : ① 성인(聖人). ② 불교에서, 온갖 번뇌를 끊고 정리(正理)를 깨달은 사람을 일컫는 말. ③ 기독교에서, 순교자나 거룩한 신자를 높이어 일컫는 말. ...불타(佛陀,1103)-국어사전 : 바른 진리..

색즉시공(色即是空,1264)-국어사전

색즉시공(色即是空,1264)-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반야심경에 나오는 말로,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형체(색)는 공(空)이라는 말. 곧, 형상은 일시적인 모습일 뿐, 실체는 없다는 것. 참) 공즉시색. 참고반야심경에 나오는 말로⇒00반야심경에→0반야심경(般若心經,922)-국어사전 : 반야바라밀다심경>의 준말. ...반야바라밀다심경(般若波羅蜜多心經,922)-국어사전 : 대반야경의 정수(精髓)를 뽑아 간결하게 설한 경. 준) 반야심경·심경. ...대반야경(大般若經,576)-국어사전 : 대반야바라밀다경>의 준말.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576)-국어사전 : 반야(般若)를 설명한 여러 경전을 집성한 경. 총 600권으로, 대승 불교의 근본 사상이 설명되어 있음. 준)..

정정진(正精進,2083)-국어사전

정정진(正精進,2083)-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팔정도의 하나. 온 마음을 기울여 악이 발생하지 못하게 하며, 선이 발생하게 하는 것. 참고팔정도의 하나→00팔정도(八正道,2473)-국어사전 : 불교에서 이르는, 실천 수행하는 여덟 가지 참된 덕목. 곧, 정견(正見)·정어(正語)·정업(正業)·정명(正命)·정념(正念)·정정(正定)·정사유(正思惟)·정정진(正精進). 팔성도(八聖道). ...팔정도(八正道,2682)-뉴사전 : 팔성도(八聖道)라고도 씀. 이상(理想)의 경지에 도달하기 위한 8가지의 길. 8종의 실천덕목. 8종의 바른 생활태도. 사(邪)를 여의므로 정(正)이라고 하며, 또한 성자의 도(道)이므로 성(聖)이라고 함. (1) 정견(正見). 올바르게 사제(四諦)의 도리를 봄..

사십구일(四十九日,1177)-국어사전

사십구일(四十九日,1177)-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① 사람이 죽고 나서 다음 생을 얻을 때까지의 날 수. 칠칠일. ② 사십구일재>의 준말. 참고불교에서→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성자(聖者,1325)-국어사전 : ① 성인(聖人). ② 불교에서, 온갖 번뇌를 끊고 정리(正理)를 깨달은 사람을 일컫는 말. ③ 기독교에서, 순교자나 거룩한 신자를 높이어 일컫는 말. ...불타(佛陀,1103)-국어사전 : 바른 진리를 깨달은 사람, 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