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루지(無漏智) 무루지(無漏智)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眞理를 더욱 자라게 하고, 모든 번뇌의 허물을 여읜 淸淨한 지혜를 말함. 小乘에서는 四諦의 이치를 證한 지혜라 하여 法智와 類智의 두 가지를 세우고, 大乘唯識에서는 無漏智에 根本智와 後得智의 두 가지를 세운다. 根本智.. 지혜(智慧)란? 2015.12.18
반야(般若) 반야(般若)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범어 prajna의 음역. 波若. 般羅若. 鉢刺若라고도 한다. 慧·智慧·明·黠慧라고 번역한다. 모든 사물의 도리를 분명히 뚫어 보는 깊은 지혜를 말한다. 보살이 깨닫고 彼岸에 도달하기 위해 닦는 六種의 行. 곧 六波羅蜜 가운데 般.. 지혜(智慧)란? 2015.12.02
일체지(一切智) 일체지(一切智)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薩婆若라 음역하고, 그 지혜의 깊고 넓은 것을 바다에 비유해서 薩婆若海라고도 한다. 모든 존재에 관해서 該括的으로 아는 지혜가 一切智이고, 보살이 중생을 교화하기 위해서 道의 種別을 다 아는 지혜가 道種智(道相智)이고, 모든 존재에 관해.. 지혜(智慧)란? 2015.11.07
삼지(三智) 삼지(三智)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1) 道種智. 보살이 중생을 교화할 때에 世間·出世間·有漏·無漏의 道를 말하는 지혜를 말함. (2) 一切智. 모든 법의 총체적 모양을 아는 지혜이다. 예를 들면 그림의 윤곽을 그리는 것과 같은 것이 (3) 一切宗智. 부분적 모양을 아는 지혜이다. 예를.. 지혜(智慧)란? 2015.10.23
삼보리(三菩提) 삼보리(三菩提)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sambodhi. 또는 糝帽地. 번역하여 正等覺이라 함. ① 證果上의 지혜에 세 가지를 세운 것. 聲聞菩提 · 緣覺菩提 · 諸佛菩提. ② 佛果를 세 가지로 나눈 것. 眞性菩提 · 實智菩提 · 方便菩提를 말함.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 지혜(智慧)란? 2015.10.13
보리(菩提) 보리(菩提)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bodhi의 음역. 覺·智·知·道라고 번역한다. 佛·연각·성문이 각각 그 果에 따라 얻는 깨달음의 지혜를 말한다. 이 세 가지 보리 가운데 佛陀의 보리가 더할나위 없는 최상최고의 궁극적인 것이므로 이것을 아뇩다라삼먁삼보리라고 부르며, 번.. 지혜(智慧)란? 2015.10.13
분별심은 지혜가 아니다 분별심은 지혜가 아니다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대혜보살은 부처님께 여쭈었다. 「부처님, 범부의 분별심은 어째서 성인의 마음이 아닙니까?」 부처님은 대혜보살에게 말씀하셨다. 「모든 범부는 이름과 모양에 집착하고 그것에 따라 일어나는 법을 따르며 갖가지 모양을 보고 나와 내.. 지혜(智慧)란? 2015.09.24
혜(慧) 혜(慧)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mati. 末底 · 摩提라 음역. 心所의 이름. 事理를 분별 · 결정하며 의심을 결단하는 작용. 또는 事理를 통달하는 작용이다. 또한 智와 慧는 비록 通名이지만, 두 가지가 상대하여 有爲의 事相에 達하는 것을 智라 하고, 無爲의 空理에 達하는 것을 慧라 .. 지혜(智慧)란? 2015.09.13
지(智) 지(智)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若那 · 闍那라 음역한다. 일체의 事象 · 道理에 대해서 분명하게 是非正邪를 결정하고 斷定하는 辨別了知작용을 잘하여 究竟에는 번뇌를 끊는 主因이 되는 정신작용을 智라 한다. 엄밀히 구별하면 智는 慧의 작용 가운데 포함되지만 智와 慧는 일반.. 지혜(智慧)란? 2015.09.13
반야(般若) 반야(般若)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보리(菩提)와 반야(般若)의 성품은 사람마다 본래 가지고 있지만, 마음이 어두워 스스로 깨닫지 못한다. 그러므로 선지식의 가르침을 받아 자성(自性)을 보아야 할 것이다. 어리석은 사람이나 지혜로운 사람의 불성(佛性)은 본래 차별이 없으나 다만 막.. 지혜(智慧)란? 201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