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인(六因) 육인(六因)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能生(가까운 미래에 果를 내게 하는 것)의 원인을 여섯으로 나눈 것. 能作因(이 세상의 모든 萬物이 날 적에, 그 자체를 제하고 다른 모든 것들이 能作(因)이 되는 것을 말함) · 俱有因(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 함께 있어 自他가 .. 인연(因緣)이란? 2017.01.22
기연(機緣) 기연(機緣)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중생의 根機에 부처님의 교화를 받을만한 인연이 있는 것을 말함. 부처님의 교화에 대하여 感應性이 있으므로 機緣이라 한다. ② 機는 시기, 緣은 인연이란 숙어로, 機會란 뜻이다.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 인연(因緣)이란? 2016.11.23
삼연(三緣) 삼연(三緣)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念佛行者만이 아미타불의 光明에 攝取되는 이유로서의 3種의 緣. 攝取三緣이라고도 하며, 善導의 觀經疏定善義에 보인다. (1) 親緣이란, 行者가 입으로 名號를 외우고 몸으로 부처님께 예배하고 마음으로 부처님을 생각하고 佛.. 인연(因緣)이란? 2016.09.01
사연(四緣) 사연(四緣)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物心의 온갖 현상이 발생함에 있어 그 緣을 네 가지로 나눈 것임. (1) 因緣. 직접의 自果를 因으로 하고, 因을 緣으로 하므로 因緣이라 한다. (2) 等無間緣. 心과 心所간에 세운 緣이니, 앞 생각이 없어지면서 뒷 생각을 이끌어 내는 것.. 인연(因緣)이란? 2016.05.14
소소연연(疏所緣緣) 소소연연(疏所緣緣)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法相宗의 용어. 일체의 事物을 인식함에는 반드시 本質과 비슷한 相分(그림자)을 떠오르게 하고, 見分으로 이것을 認知하게 되니, 이 때에 그 相分을 親所緣緣이라 하고, 本質을 疏所緣緣이라 한다. 출전 : 불교학대사전 -.. 인연(因緣)이란? 2016.05.08
이십사연(二十四緣) 이십사연(二十四緣)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모든 법을 일으키는 24종의 인연이 있음을 말함. (1) 因緣. (2) 所緣緣. (3) 增上緣. (4) 無間緣. (5) 等無間緣. (6) 俱生緣. (7) 相互緣. (8) 所依緣. (9) 依止緣. (10) 前生緣. (11) 後生緣. (12) 修習緣. (13) 業緣. (14) 異熟緣. (15) 食緣. (16).. 인연(因緣)이란? 2016.03.28
인연법은 한 치의 어긋남도 없다 인연법은 한 치의 어긋남도 없다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아뢰야식이 있지요. 이것이 요새 컴퓨터의 주기억장치나 마찬가지입니다. 우리의 경험을 여기에 입력해 놓는 겁니다. 내가 무량겁을 살아왔는데 부처님은 그것을 알고 과거 네가 어느 세상에서 온 누구이며, .. 인연(因緣)이란? 2016.03.24
연(緣) 연(緣)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범어 pratyaya. ① 협의로는 결과(果)를 끌어 일으키기 위한 직접적 내적원인을 因(內因)이라 하는데 대해서, 이것을 밖에서 돕는 간접적 원인을 緣(外緣)이라고 하는데, 廣義로는 둘을 합해서 因이라고도 緣이라고도 한다. 廣義의 緣은 四緣으로 분류된다. (1).. 인연(因緣)이란? 2015.10.28
연결불생(緣缺不生) 연결불생(緣缺不生)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일체법은 因과 緣의 만남으로 해서 생기는 것이므로 어떤 事物을 顯現하게 하는 因도 因을 돕는 緣이 없으면 그 緣을 만날 때까지 영원히 顯現이 정지된다는 뜻.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인연(因緣)이란? 2015.10.26
인연(因緣) 인연(因緣) 因과 緣 및 결과(果)를 생기게 하는 내적인 직접원인이 因이고, 외부에서 이를 돕는 간접적인 원인이 緣이다. 이것을 內因 · 外緣이라 하고 親因 · 疏緣이라고도 한다. 또 因을 廣義로 해석하여 因과 緣을 합쳐서 因이라 하고 이와 같이 緣이라고도 한다. 일체의 존재는 모두 .. 인연(因緣)이란? 2013.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