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6 13

인욕(忍辱,1903)-국어사전

인욕(忍辱,1903)-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욕되는 일을 참음. ② 불교에서 이르는, 온갖 모욕과 번뇌를 참고 원한을 일으키지 않는 수행. 참고욕되는 일을 참음⇒00욕되는→욕되다(1758)-국어사전 : 면목이 없거나 명예롭지 못하다. ...00일을→일¹(1908)-국어사전 : ① (어떤 가치 창조를 위하여) 몸과 마음을 쓰는 활동. 작업. ② (어떤 사건이나 사태에 관련된) 짓. 행위(行爲). ③ (생계나 벌이를 위한) 노동. 직업. ④ (되어 가는) 형편. ⑤ 볼일. 소간사(所幹事). ⑥ 형편. 사정. 사유. ⑦ 사실. 현상. ⑧ (돈이나 노력이 드는) 행사(行事). ⑨ 계획. 사업. ⑩ (실제로 겪거나 본) 적. 경험. ⑪ 말썽. 사단(事端). 사건. 변고(變故). ..

정토교(淨土敎,2086)-국어사전

정토교(淨土敎,2086)-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정토문(淨土門)의 교법. 염불을 함으로써 죽은 뒤 정토에 왕생하여 불과(佛果)를 얻는다고 하는 가르침. 참고정토문(淨土門)의 교법⇒00정토문의→정토문(淨土門,2306)-뉴사전 : 아미타불의 본원(本願)을 믿고, 그에 의지하여 극락정토에 태어나서, 깨달음을 얻으려는 가르침과 실천. 타력문(他力門). (석존(釋尊)의 가르침을 2종류로 분류한 것으로, 성도문(聖道門)과 대비되며, 타력문(他力門)으로서 정토교(淨土敎)에서 주장함.) 選擇集 ㊅ 83권 1下> 敎行信證 64, 65> (해석예) 신심(身心)을 방하(放下)하여 3계 6도 중에 희망하는 바, 하나도 남김없이 왕생하는 바램임. ...정토문(淨土門,2306)-뉴사전 : 아미타불의..

염불(念佛) 2025.05.06

이근(耳根,1866)-국어사전

이근(耳根,1866)-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귀뿌리. ② 불교에서 이르는, 육근(六根)의 하나. 청각 기관인‘귀’를 이르는 말. 참고귀뿌리→귀뿌리(316)-국어사전 : 귀가 뺨에 붙은 부분. 이근(耳根). ...귀(313)-국어사전 : ① 오관(五官)의 하나. 사람을 비롯한 척추 동물의 얼굴 좌우에 있으며, 청각과 평형 감각을 맡아봄. 예) 귀에 설다. / 귀가 어둡다. ② 귓바퀴>의 준말. ③ 귀때>의 준말. ④ 바늘의 실을 꿰는 구멍. ⑤ 모난 물건의 모서리. 예) 귀가 반듯하다. ⑥ 넓적한 바닥의 모퉁이. 예) 밭 귀. ⑦ 두루마기의 양쪽 겨드랑이 밑의 손 넣는 구멍. ⑧ 두루마기나 저고리의 섶 끝. ⑨ 불귀>의 준말. ⑩ 바둑판의 네 모퉁이 부분. ⑪ 돈머리에 좀 ..

보현보살(普賢菩薩,1034)-국어사전

보현보살(普賢菩薩,1034)-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이지(理智)와 깨달음의 덕을 갖추고 석가의 포교를 돕는 보살. 석가의 오른쪽 협시(脇侍)로, 흔히 흰 코끼리를 타고 있음. 참고이지(理智)와 깨달음의 덕을 갖추고⇒00이지와→이지(理智,1890)-국어사전 : ① 감정이나 본능에 치우치지 않고 깊은 지식으로 사물을 분별하고 이해하는 슬기. ② 불교에서, 진여(眞如)의 이치를 깨닫는 지혜를 이르는 말. ...이지(理智,2091)-뉴사전 : ① 도리와 지혜. 飜譯名義集 2권 ㊅ 54권 1081下4> ② 무루지(無漏智). 사지(事智)의 대응어. ...무루지(無漏智,638)-뉴사전 : 2지(智)의 하나. 진리를 증하고 모든 번뇌의 허물을 여윈 청정한 지혜. 소승에서는 4제(諦)의 이..

보살(菩薩) 2025.05.06

공양미(供養米,227)-국어사전

공양미(供養米,227)-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부처에게 공양으로 드리는 쌀. 변) 고양미. 참) 마지쌀. 참고부처에게 공양으로 드리는 쌀⇒00부처에게→부처(1074)-국어사전 : ① 불교의 교조인 석가모니. 부도(浮屠). ② 불상(佛像). ③ 대도(大道)를 깨친 불교의 성자(聖者). ④‘화를 낼 줄 모르고 자비심이 두터운 사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불타(佛陀). 높임말 : 부처님. ...부도(浮屠,1059)-국어사전 : ① 부처. ② 고승(高僧)의 사리나 유골을 넣고 쌓은 둥근 돌탑. ③‘중’을 달리 일컫는 말. ...대도(大道,571)-국어사전 : ① 넓은 길. 큰길. 대로(大路). ② 사람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근본이 되는 도리. ...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애착(愛着,1563)-국어사전

애착(愛着,1563)-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아끼고 사랑하는 대상에 정이 붙어 그것과 떨어질 수 없음, 또는 그런 마음. 예) 애착이 가다. / 애착을 느끼다. / 직장에 대한 애착이 강하다. ② →애집(愛執). 참고아끼고 사랑하는 대상에 정이 붙어⇒00아끼고→아끼다(1507)-국어사전 : ① 내어 놓거나 버리기를 아깝게 여기다. 예) 비용을 아끼다. ② 소중히 여기어 함부로 쓰지 아니하다. 예) 몸을 아끼다. ③ 되도록 적게 들여서 하려 하다. 예) 자재를 아끼다. ④ (위하는 마음에서) 해가 되지 않게 하려고 애쓰다. 예) 아끼는 제자. / 자연을 몹시 아끼다. ...00사랑하는→사랑(1162)-국어사전 : ① 아끼고 위하며 한없이 베푸는 일, 또는 그 마음. ② 남녀..

집(執 : 집착) 2025.05.06

인아(人我,1903)-국어사전

인아(人我,1903)-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다른 사람과 나. ② 불교에서, 사람의 몸 안에 늘 변하지 않는 본체가 있다는 미혹한 생각. 곧‘아(我)’가 있다는 생각. 참고다른 사람과 나⇒00다른→다르다(521)-국어사전 : ① 같지 않다. 예) 의견이 서로 다르다. / 모양은 달라도 값은 같다.↔같다. ② (생각이나 언행 따위가) 예사롭지 않은 점이 있다. 예) 역시 전문가라 보는 눈이 다르다. / 이 회사에서 펴낸 책은 뭐가 달라도 다르다. ...같다(81)-국어사전 : ① 다르지 아니하다. 예) 형과 아우의 얼굴이 같다. / 그와 나는 고향이 같다.↔다르다. ② (변동이나 변화가 없이) 한결같다. 예) 그가 어머니 섬기는 정성은 10년이 하루 같다네. ③ (조사가 붙..

정령(精靈,2072)-국어사전

정령(精靈,2072)-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죽은 사람의 넋. 정백(精魄). 정혼(精魂). ② 원시 종교에서, 산천초목·무생물 따위에 붙어 있다고 믿던 혼령. ③ 만물의 근원이 된다고 하는 불가사의한 기운. ④ 생활력이나 생명력의 근원. 준말 : 정(精). 참고죽은 사람의 넋⇒00죽은→죽다(2158)-국어사전 : ① 목숨이 끊어지다. 숨지다. 사망(死亡)하다. 몰(몰)하다. 예) 오래 앓다가 죽다. 높) 돌아가다. ② 동식물이 생명을 잃다. 예) 옮겨 심은 나무가 죽어 버렸다. ③ 기계, 또는 움직이던 물체가 멈추다. 예) 시계가 죽다. / 팽이가 죽다. ④ 불이 꺼지다. 예) 화롯불이 죽다. ⑤ 야구나 술래잡기 따위의 선수, 또는 바둑이나 장기 따위의 말이 상대편에게 ..

공적(空寂,231)-국어사전

공적(空寂,231)-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만물이 모두 실체가 없어 생각하고 분별할 것도 없음을 이르는 말. 참고불교에서→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성자(聖者,1325)-국어사전 : ① 성인(聖人). ② 불교에서, 온갖 번뇌를 끊고 정리(正理)를 깨달은 사람을 일컫는 말. ③ 기독교에서, 순교자나 거룩한 신자를 높이어 일컫는 말. ...불타(佛陀,1103)-국어사전 : 바른 진리를 깨달은 사람, 곧 부처. [흔히, 석가여래를 이름..

속정(俗情,1368)-국어사전

속정(俗情,1368)-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명리(名利) 따위 속사(俗事)에 관한 생각. ② 속세간의 인정. 참고명리(名利) 따위 속사(俗事)에 관한 생각⇒00명리→명리(名利,803)-국어사전 : 명예와 이익. ...명예(名譽,806)-국어사전 : ① 세상에서 훌륭하다고 인정되는 이름이나 자랑. 또는 그런 존엄이나 품위. ② (지위나 직명(職名) 앞에 붙어) 공적을 기리고, 존경의 뜻을 나타내기 위하여 붙여 주는 호칭. ...명예(名譽,597)-뉴사전 : 명예. 명성. (해석예) 칭찬되어지는 일. 唯信鈔 1. 4> 유명함. 隨聞 70> ...이익(利益,1888)-국어사전 : ① 이롭고 도움이 되는 일. ② 물질적으로 보탬이 되는 것. ③ 기업의 결산 결과 모든 경비를 빼고..

유(有) 2025.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