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8 20

전기(傳記,2031)-국어사전

전기(傳記,2031)-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한 개인의 일생의 사적(事跡)을 적은 기록. 예) 위인의 전기를 읽다. 참고한 개인의 일생의 사적(事跡)을 적은 기록⇒00한→한(2551)-국어사전 : ① (일부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 앞에 쓰이어)‘하나’의 뜻으로 쓰이는 말. 예) 한 사람. / 한 자루. / 한 덩이. ② (수량을 나타내는 말 앞에서)‘대략’의 뜻으로 쓰이는 말. 예) 글쎄, 한 열흘 걸릴까. / 한 백만 원이면 살 거야. ③ (누군지 모르거나 초들어 말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어떤’‘어느’의 뜻으로 쓰는 말. 예) 옛날에 한 가난한 선비가 살았다. ...하나(2536)-국어사전 : (수) (사물의 수를 세는) 수의 처음. (명) ① 한가지. 일체(一體). 예)..

연옥(煉獄,1658)-국어사전

연옥(煉獄,1658)-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가톨릭에서, 죄를 범한 사람의 영혼이 천국에 들어가기 전에, 불에 의한 고통을 받음으로써 그 죄가 씻어진다는 곳. 천국과 지옥 사이에 있다 함. 참고가톨릭에서→가톨릭(Catholic,33)-국어사전 : ① 가톨릭교. ② 가톨릭교 교회, 또는 신자(信者). ...가톨릭교(Catholic敎,33)-국어사전 : ① (개신교에 대하여)‘로마 가톨릭교’를 이르는 말. 천주교(天主敎). ② (넓은 뜻으로) 로마 가톨릭교와 그리스 정교(正敎)를 아울러 이르는 말. 구교(舊敎). ...로마 가톨릭교(Roma Catholic敎,726)-국어사전 : 사도(使徒) 베드로의 후계자로서의 교황을 세계 교회의 최고 지배자로 받들고 그 통솔 밑에 있는 기독교..

순현보(順現報,1418)-국어사전

순현보(順現報,1418)-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삼보(三報)의 하나. 현세에서 지은 업을 현세에서 받는 과보. 참고불교에서, 삼보(三報)의 하나⇒00불교에서→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성자(聖者,1325)-국어사전 : ① 성인(聖人). ② 불교에서, 온갖 번뇌를 끊고 정리(正理)를 깨달은 사람을 일컫는 말. ③ 기독교에서, 순교자나 거룩한 신자를 높이어 일컫는 말. ...불타(佛陀,1103)-국어사전 : 바른 진리를 깨달은 사람,..

주인공(主人公,2153)-국어사전

주인공(主人公,2153)-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사건, 또는 소설·연극·영화 따위의 중심인물. ② 어떤 일에서 중심이 되거나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사람. 예) 화제의 주인공. / 역사의 주인공. 준) 주공(主公). 참고사건, 또는 소설·연극·영화 따위의 중심인물⇒00사건→사건(事件,1154)-국어사전 : ① 문제가 되거나 관심을 끌 만한 일. 예) 유괴 사건. / 엽기적 사건. ② 소송 사건>의 준말. 예) 민사 사건. ...유괴(誘拐,1809)-국어사전 : (사람을) 속여 꾀어냄. 예) 어린아이를 유괴하다. ...꾀다⁴(402)-국어사전 : 그럴듯하게 남을 속이거나 부추기어 자기의 뜻대로 하게 하다. 꼬이다⁴...부추기다(1074)-국어사전 : 남을 들쑤시어 어떤 일을 ..

생멸(生滅,1270)-국어사전

생멸(生滅,1270)-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우주 만물의) 생겨남과 없어짐. 참고우주 만물의 생겨남과 없어짐⇒00우주→우주(宇宙,1774)-국어사전 : ① 온 세계를 둘러싸고 있는 공간. ② 천문학에서, 천체를 비롯한 만물을 포용하는 물리학적 공간을 이름. ③ 철학에서, 질서있는 통일체로서의 세계를 이름. ...공간(空間,217)-국어사전 : ① 아무것도 없이 비어 있는 칸. 예) 지면(紙面)의 공간. / 건물의 공간. ② (어떤 물질이나 물체가 존재할 수 있거나 어떤 일이 일어날 수 있는) 물리적으로나 심리적으로 널리 퍼져 있는 범위. 예) 우주 공간. / 휴식 공간. ③ 영역이나 세계를 이르는 말. 예) 삶의 빈 공간을 채우다. ④ 물리학에서, 물질이 존재하고 여러 현상..

시간(時間,1438)-국어사전

시간(時間,1438)-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어떤 시각에서 다른 시각까지의 동안, 또는 그 길이. 예) 시간이 걸리다. / 시간이 흐르다. ② 무슨 일을 하기 위하여 정한 일정한 길이의 동안. 예) 휴식 시간. / 점심 시간. ③ 철학에서, 과거로부터 현재, 미래로 끊임없이 이어져 머무름이 없이 일정한 빠르기로 옮아간다고 생각되는 것. 공간과 더불어 인식의 가장 기본적인 형식. 시계로써 연(年)·월(月)·일(日)·시(時)·분(分)·초(秒) 따위로 나누어 잼. 시진(時辰). 예) 시간을 초월하다. 참) 공간. 참고어떤 시각에서 다른 시각까지의 동안⇒00어떤→어떤(1595)-국어사전 :‘어떠한’이 줄어서 된 말. ...어떠한→어떠하다(1595)-국어사전 : (사물의 성질이나..

아함경(阿含經Agama범,1527)-국어사전

아함경(阿含經Agama범,1527)-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경의 한 가지. 석가의 가르침을 모아서 엮은 가장 오랜 경전으로, 소승 불교의 성전(聖典)임. 참고불경의 한 가지⇒00불경의→불경(佛經,1090)-국어사전 : 불교의 가르침을 적은 경전. 내전(內典). 범서(梵書). 불전(佛典). 석전(釋典). 준) 경(經). ...불경(佛經,955)-뉴사전 : ① 법. 진리. 팔, dhamma 那先經 AB ㊅ 32권 702下, 718中> ② 부처님께서 설한 경전. 부처님의 말을 서술한 경전. 산, yad bha-gavan abhasata 中論 13·1> 산, buddha-va-cana 地持經 5권 ㊅ 30권 915下> 往生要集 ㊅ 84권 46下> 敎行信證 行卷> 沙石集 2(1)>..

범천왕(梵天王,992)-국어사전

범천왕(梵天王,992)-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바라문교의 교조인 조화의 신. [우주 만물의 창조신으로 사바 세계를 주재한다고 함.] ② 제석천(帝釋天)과 함께 정법(正法)을 수호하는 신. [부처가 세상에 나올 때마다 가장 먼저 설법을 청한다고 함.] 바라문천. 범천. 준) 범왕. 참고바라문교의 교조인 조화의 신⇒00바라문교의→바라문교(婆羅門敎,903)-국어사전 : 고대 인도에서 바라문 계급을 중심으로 발달한 종교. 인도교(印度敎). 준) 바라문. ...인도교(印度敎,1899)-국어사전 : →힌두교. ...힌두교(Hindu敎,2700)-국어사전 : 바라문교의 철학을 배경으로 하는 전통적이고 민족적인 제도와 관습을 망라한 인도의 민족 종교. 인도인의 종교적·윤리적·사회적인 ..

개오(開悟,91)-국어사전

개오(開悟,91)-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지혜를 열어 불도(佛道)를 깨달음. 해오(解悟). 참고지혜를 열어 불도(佛道)를 깨달음⇒00지혜를→지혜(智慧,2207)-국어사전 : ① 사물의 도리나 선악 따위를 잘 분별하는 마음의 작용. 슬기. 예) 삶의 지혜. ② 불교에서, 미혹(迷惑)을 끊고 부처의 진정한 깨달음을 얻는 힘을 이르는 말. ...슬기(1430)-국어사전 : 사리를 바르게 판별하고 일을 잘 처리해 나가는 능력. 지혜(智慧). 두뇌. ...지혜(智慧,2445)-뉴사전 : ① 사물의 실상을 비추어 미혹을 밝혀 깨달음을 완성하는 작용. 사물을 올바르게 받아들여 진리를 판별하는 인식. 예지(叡智 ; 英志). 진실의 지혜. ② 지(智 산, jnana)와 혜(慧 산, praj..

각(覺) 2025.05.08

원리(原理,1789)-국어사전

원리(原理,1789)-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사물의 기본이 되는 이치나 법칙. ② 바탕이 되는 근거, 또는 보편적 진리. 원칙(原則). 참고사물의 기본이 되는 이치나 법칙⇒00사물의→사물(事物,1167)-국어사전 : ① 일이나 물건. ② 사건과 목적물. ...사물(事物,1071)-뉴사전 : ① 물건. 산, vastu 唐> ② 집·가구 등의 물체. 俱舍論 15권 10> 산, artha Ⅳ, 41> ...0일¹(1908)-국어사전 : ① (어떤 가치 창조를 위하여) 몸과 마음을 쓰는 활동. 작업. 예) 인간은 일을 하기 위하여 태어났다. ② (어떤 사건이나 사태에 관련된) 짓. 행위(行爲). 예) 그 시각에 피고가 한 일을 소상히 말하시오. ③ (생계나 벌이를 위한) 노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