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몰식(無沒識) 무몰식(無沒識)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阿賴耶識의 번역이다. 眞諦三藏이 번역한 것. 物 ‧ 心 諸法의 種子를 모두 이 識 가운데 간직하여 잃어버리지 않는 識이란 뜻.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식(識) 2015.08.29
장식(藏識) 장식(藏識)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八識의 하나. 곧 第八阿賴耶識을 가리킴. 제8識은 能藏 ‧ 所藏 ‧ 執藏의 뜻을 가지고 있다 하여 玄奘은 藏識이라 번역했고, 眞諦三藏은 제8識은 중생의 根本心識으로 없어지지 않는다는 뜻으로 無沒識이라 했다. 아뢰야를 藏이라고 하며 일.. 식(識) 2015.08.29
아리야식(阿梨耶識) 아리야식(阿梨耶識)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玄奘系의 신역 유식설이 제 8식을 阿賴耶識이라고 부르는데 대하여, 眞諦系의 구역 유식설에서는 阿梨耶識이라고 한다. 攝論 · 地論 · 華嚴宗 등에서 사용된다. 신구 양 유식설의 학설상의 차이 때문에, 阿賴耶識과 다른 의미로 사용된.. 식(識) 2015.08.29
의식(意識) 의식(意識)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六識(眼識· 耳識 · 鼻識 · 舌識 · 身識 · 意識)의 하나. 제6識이라고도 한다. 意根을 의지하는 곳으로 하여 法境을 認識 · 推理 · 追想하는 마음이지만, 실은 과거 · 미래 · 현재의 三世의 一切法에 대해서 작용하기 때문에 廣緣의 識이라 한다.. 식(識) 2015.08.29
전식(轉識) 전식(轉識)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唯識論에서 말한 8識의 하나. 제 8아뢰야식을 本識이라 하는데 대해 제 8아뢰야식을 제외한 眼 · 耳 · 鼻 · 舌 · 身 · 意의 6識과 제7末那識이다. 제八識으로부터 轉生變現하는 識이므로 이렇게 말한 것. 곧 七轉識이 그것. ② 起信論에서 說하는.. 식(識) 2015.08.29
전오식(前五識) 전오식(前五識)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다섯 가지 감각 작용. 唯識宗에서는 마음의 작용을 여덟로 나눈 가운데서 객관의 대상을 감각 지각하는 眼識 · 耳識 · 鼻識 · 舌識 · 身識의 五識을 일컫는 말.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식(識) 2015.08.29
아타나식(阿陀那識) 아타나식(阿陀那識)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아타나는 범어 adana의 音譯. 執持 · 執我라고 번역한다. ① 法相宗 등의 新譯家에서는, 제8阿賴耶識은 種子와 더불어 有情의 身體를 執持하기 때문에 阿陀那識이라고도 부른다고 한다. ② 地論宗 · 攝論宗 · 天台宗 등의 舊譯家에서는 아뢰.. 식(識) 2015.08.29
육식(六識) 육식(六識)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六境을 知覺하는 眼識 · 耳識 · 鼻識 · 舌識 · 身識 · 意識의 총칭. 八識에 대해 말할 경우에는 이것을 前六識이라 하고 그 體에 대해서 俱舍 · 唯識論에서는 體別이라 하고 成實論에서는 體一이라 한다. 欲界엔 前六識이 있지만 色界初禪에는 .. 식(識) 2015.08.29
칠식(七識) 칠식(七識)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法相宗에서 우리의 心識을 8종으로 나눈 가운데 제八識을 제외한 제七末那識 · 제六意識 · 前五識을 가리킴. 제七 末那識만을 가리킬 때도 있다. [참고] 末那識 : 末那는 意라 번역하고, 思量의 뜻을 말한다. 末那識은 八識의 하나로, 제七識이라고 .. 식(識) 2015.08.29
현식(現識) 현식(現識)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능가경에서 설한 三識 가운데 하나. 아뢰야식의 다른 이름. 경계를 나타내는 識이란 뜻. 아뢰야식이 가지가지의 객관 세계의 모든 현상을 나타냄을 말한다. ② 기신론에서 설한 五識 가운데 하나. 아뢰야식의 相分(心識이 認識作用을 일으킬 때, 동.. 식(識) 2015.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