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아함경-1340-268 잡아함경-1340-268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336 / 2145] 쪽 ...고 곧게 보아[直見] 모두들 선서의 바른 법과 율로 들어간다. 바른 법과 율이란 거룩한 제자들이 하는 말로서 입으로는 바른 법을 말하면서, 마음을 내어 바르게 기억하고 곧게 보아 바른 법으로 들어가, 승가.. 增一아함경, 雜아함경 2017.04.10
잡아함경-1335-267 잡아함경-1335-267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331 / 2145] 쪽 ...계가 있으며, 배울 것이 있는 이에게도 삼매가 있고 배울 것이 없는 이에게도 삼매가 있습니다. 배울 것이 있는 이에게도 지혜가 있고 배울 것이 없는 이에게도 지혜가 있으며, 배울 것이 있는 이에게도 해탈이.. 增一아함경, 雜아함경 2017.04.08
잡아함경-1330-266 잡아함경-1330-266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326 / 2145] 쪽 ...雙八輩)의 성현이라고 한다. 이것을 이름하여 세존의 제자인 승가는 깨끗한 계율을 원만하게 갖추고, 삼매(三昧)를 원만하게 갖추며, 지혜(智慧)를 원만하게 갖추고, 해탈(解脫)을 원만하게 갖추며, 해탈지견(.. 增一아함경, 雜아함경 2017.04.07
잡아함경-1325-265 잡아함경-1325-265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321 / 2145] 쪽 ...만하게 갖추지 못한 것이니, 원만하게 갖추지 못하였기 때문에 열심히 방편을 써서 보시를 닦아 익혀 그러한 것들을 원만하게 갖추어야 하느니라. 믿음과 계와 보시를 원만하게 갖추었을지라도 수시로 사문에.. 增一아함경, 雜아함경 2017.04.05
잡아함경-1320-264 잡아함경-1320-264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316 / 2145] 쪽 위대한 대장부께 귀의합니다. 가장 높은 선비께 귀의합니다. 저는 도저히 모르겠습니다. 무엇을 의지해 선정을 닦습니까? 부처님께서 발가리에게 말씀하셨다. 비구가 흙이라는 생각에 대해 흙이라는 생각을 항.. 增一아함경, 雜아함경 2017.04.04
잡아함경-1315-263 잡아함경-1315-263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311 / 2145] 쪽 첫 번째 허물이라고 한다. 또 비구로서, 범행을 닦는 사람들이 보고 들은 의심스러운 자기 죄를 들추어내면 도로 남의 죄를 들추어낸다. 이것은 마치 저 사나운 말이 성을 내어 목으로 멍에를 부수는 것과 같다. .. 增一아함경, 雜아함경 2017.04.02
잡아함경-1310-262 잡아함경-1310-262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306 / 2145] 쪽 ...고 지나가거나 살갗을 조금 맞는 정도로는 움직일 줄 모르고, 송곳에 몸을 찔려 뼈를 다친 뒤에야 비로소 놀라 수레를 끌고 길에 나서서, 말을 모는 이의 마음을 따라 느리게 가고 빠르게 가며 왼쪽으로 가고 .. 增一아함경, 雜아함경 2017.04.01
잡아함경-1305-261 잡아함경-1305-261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301 / 2145] 쪽 잡아함경 제33권 송 천축삼장 구나발타라 한역 919. 양마경(良馬經)[소경은 『별역잡아함경』 제8권 14번째 소경과 같은 내용이다.]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왕사성 가란다죽원(迦蘭陀竹園)에 .. 增一아함경, 雜아함경 2017.03.30
잡아함경-1300-260 잡아함경-1300-260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296 / 2145] 쪽 그 때 세존께서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세간에는 세 가지 길들여진 말이 있다. 어떤 것이 그 세 가지인가? 어떤 말은 민첩함과 빠르기는 완전하게 갖추었으나, 빛깔을 완전하게 갖추지 못하고, 형체도 완전.. 增一아함경, 雜아함경 2017.03.29
잡아함경-1295-259 잡아함경-1295-259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291 / 2145] 쪽 외도(外道) 이학(異學)인 여러 니건의 무리들도 그와 같으나, 나는 그들을 위해서도 바른 법을 연설한다. 그 법은 처음도 좋고 중간도 좋으며 마지막도 좋다. 뜻도 좋고 맛도 좋은 것이어서, 순일(純一)하고 원만.. 增一아함경, 雜아함경 2017.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