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산양환(潙山兩喚)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禪宗의 화두. 潙山이 어느 날 문득 院主를 불렀다. 院主가 오자 위산은 「내가 원주를 불렀는데 네가 무엇하러 왔느냐?」고 다그침에 院主는 아무 말도 없이 돌아갔다. 潙山은 이번에는 시자를 보내어 第一座를 부름에 一座가 오니 역시 그와 같은 말을 한다. 「내가 제일좌를 불렀는데 그대가 무엇하러 왔는가?」이에 제일좌 역시 아무 말이 없었다. 이 물음은 무엇을 물은 물음이며, 두 제자의 대답이 없음은 무엇을 뜻하는가? 그것이 곧 參究하는 話頭가 된 것이다.
참고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공안(公案,話頭)이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산수고우(潙山水牯牛) (0) | 2018.10.30 |
---|---|
위산거미(潙山擧米) (0) | 2018.10.25 |
은봉추거(隱峰推車) (0) | 2018.10.09 |
임제할려(臨濟瞎驢) (0) | 2018.09.30 |
마대사야압자(馬大師野鴨子) (0) | 2018.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