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정(點淨)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比丘가 施主로부터 三衣·坐具·尼師檀(坐具·臥具 위에 까는 일종의 방석, 또는 요)등을 받아서 그것을 사용할 적에 헌 옷 한 조각을 새 옷에 붙이는 것. 또는 새 것에 먹으로 하나 찍는 것. 淨은 허물(過非)을 淸淨하게 한다는 뜻으로, 이렇게 點을 찍어 규정을 어기지 않는다는 뜻으로 點淨이라 했다.
참고
시주(施主) : 범어 danapati의 번역으로 흔히 音譯하여 檀越이라 한다. 布施主 곧 布施한 주인공이란 말의 뜻이다. .....단월(檀越)→범어 danapati. 施主라 번역하며, 布施를 행하는 사람을 뜻한다.
삼의(三衣) : 출가 수행하는 비구가 입는 의복 세 가지. (1) 僧伽梨. 범어 samghati重衣·大衣·雜碎衣라 번역함. 9條로부터 25條까지, 마을이나 궁중에 들어갈 때 입는 옷. (2) 鬱多羅僧. 上衣·中價衣·入衆衣라 번역. 7조 가사. 예불·독경·청강·포살 등을 할 때에 입음. (3) 安陀會. 5조 가사. 內衣·中宿衣라 번역. 절 안에서 작업할 때 또는 잠잘 때 입는 옷.
좌구(坐具) : 범어 nisidana의 번역으로 敷具·隨坐衣라고도 번역하며 尼師壇이라 音譯한다. 三衣·鉢·漉水囊(녹수낭)과 더불어 比丘가 항상 가지고 다녀야 하는 6종 생활필수품 곧 六物의 하나로서 앉고 누울 적에 까는 長方形의 布로 일종의 방석과 요의 겸용. 布片은 2중·3중·4중으로 누벼서 만들며 新調할 때에는 예전에 쓰던 헌 것의 한 복판에 덧 붙이도록 하고 있다. 후세에 중국이나 한국·일본에서는 佛像이나 스승에게 예배할 때 깔고 참배하였다. 또 坐具의 일종이었던 草座는 석존에서 成道할 때 깔고 앉으셨던 吉祥草를 모방한 것으로 法會 때에 長老가 사용했다.
니사단(尼師檀) : 범어 nisidana의 음역. 또는 尼師但那·?史娜曩(영사나낭)이라고 하며, 坐具·敷具·隨坐衣로 번역된다. 부처님이 修行者를 위해 마련한 제도에 따라 만든 比丘 六物의 하나이다. 비구가 앉거나 누울 적에 땅에 펴서 몸을 보호하며, 또 臥具 위에 펴서 臥具를 보호하는 네모진 깔개. “이시단”으로 읽음.
정(淨) : 깨끗한 것. 더러움이 없는 것. 無煩惱.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유와 의식(識神)-잡아함경-1365쪽-273번 (0) | 2018.06.21 |
---|---|
투쟁견고(鬪諍堅固) (0) | 2018.06.20 |
차죄(遮罪) (0) | 2018.06.18 |
증득(證得) (0) | 2018.06.17 |
죄(罪) (0) | 2018.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