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행처멸(心行處滅)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마음의 心行(작용)이 미치지 못하는 절대경계의 本體心. 곧 思量分別이 끊어진 경계를 일컬음.
참고
마음(心) : ① 범어 citta의 번역. 質多라 음역. 心法이라고도 한다. 어느 대상을 포착하여 思惟하는 작용을 하는 것.
(1) 心王 및 心所法의 총칭. 色(物質) 또 몸(肉體)에 대한 것. 5蘊중에서 受 · 想 · 行 · 識의 4蘊이 여기에 해당된다.
(2) 心王을 말함. 5位의 하나. 5蘊 중의 識蘊에 해당된다. 마음의 統一的 主體이다. 六識 또는 八識을 말한다.
(3) 心 · 意 · 識의 3은 有部에서는 동일한 것에 다른 이름을 붙인 것에 불과하다 하고 唯識宗에서는 제8阿賴耶識을 「心」이라 함. 이것은 積集의 뜻이 있으므로 集起心이라고 불리기 때문이다. 곧, 아뢰야식의 種子를 熏習하여 축적하는 것을 뜻한다. 이에 대해서 前6識을「識」제7末那識을「意」라 한다.
② 肉團心 · 眞實心 · 堅實心이라 번역한다. 原語는 心 · 精神 · 心臟을 뜻하는 中性名詞로 樹木의 心과 같이 그 자체가 갖고 있는 本質, 中心이 되는 心, 모든 것이 갖고 있는 眞如 法性의 眞實心, 如來藏心을 말하는 것으로, 思惟하는 작용을 갖고 있는 心(緣慮心)이 아니다. 楞伽經 卷一에는 이 마음을 自性 第一義心이라 하고, 大日經疏卷四에는 肉團心(心臟)을 말했다. 반야심경에서 말하는 「心」은 이것이니 생각컨대 般若皆空의 心髓精要라는 뜻이다. 密敎에서는 범부의 汗栗駄(肉團心 곧 심장)를 8葉의 연꽃(곧 心蓮)이라고 觀하여서 佛身을 열어서 나타내는 것을 가르친다. 따라서 중생의 自性眞實心을 汗栗駄라 일컫는다.
③ 心은 여러가지 입장에서 여러가지로 분류된다. 곧 眞心(本來 청정한 마음, 자성청정심)과 妄心(煩惱로 청정치 않은 마음), 相應心과 不相應心, 定心(妄念雜想을 끊어서 寂靜히 통일된 마음, 또 定善을 닦는 마음)과 散心(散亂한 마음, 散心을 닦는 마음)등의 2心에, 혹은 貪心 · 瞋心 · 癡心의 3心에 貪心 · 瞋心 · 癡心 · 等心(3毒의 마음이 차례로 일어남)의 4心에, 肉團心(심장) · 緣慮心(대상을 포착하여 思惟하는 마음으로 8識과 공통) · 集起心(아뢰야식) · 堅實心(자성청정의 眞如心)의 4心에, 卒爾心(처음으로 對境에 대해 움직이는 마음) · 尋求心(그것을 알려고 하는 마음) · 決定心(斷定하는 마음) · 染淨心(染汚와 淸淨의 念을 생기게 하는 마음) · 等流心(계속해서 같은 상태로 지속하는 마음)의 5心(外境을 알때 차례로 일어나는 5心)이 瑜伽論卷一에, 種子心 · 芽種心 · 疱種心 · 葉種心· 敷華心 · 成果心 · 受用種子心 · 嬰童心의 8心(善心이 차례로 성숙되어 가는 과정의 8心)이 大日經 卷一에 분류되어 있고, 또 대일경 권일에는 瑜伽行者의 心相을 貪등의 60心(經에서는 59心)으로 분류한다.
심행(心行) : ① 언어에 대해 心의 작용을 말함. 言語道斷 心行處滅이란 말로 표현되는 것. 마음으로 思惟하는 것으로 미칠 수 없는 것을 말한다. ② 淨土敎에서 安心·起行을 他力의 心行이라 한다. 菩薩心으로 하는 가지가지의 善行(發心修行)을 自力의 心行이라 한다. ③ 禪宗에서는 기분(생각)을 말함.
경계(境界) : 境이라고도 한다. ① 感覺器官(根) 및 認識을 주관하는 마음(識)의 대상을 가리킨다. 예컨대 눈과 眼識(視覺)에 의해서 보게 되는 色(빛 · 모양)이 그것이니, 여기에 五境, 六境의 구별이 있다. 唯識宗에서는 三類境의 說이 있으며, 또 內境 · 外境, 眞境 · 妄境, 順經 · 逆經 등으로 나눈다. ② 자기의 힘이 미칠 수 있는 범위. 分限. 無量壽經 卷下에는「이 뜻이 弘深하여 나의 경계가 아니다」라고 했다.
본체심(本體心) : 본체(本體)→諸法의 근본자체. 應身에 대하여 眞身을 본체라고 함.
사량(思量) : 사량(思量)→잘 생각하는 것. 사고하는 것.
분별(分別) : ① 思惟·計度라고도 번역한다. 推量思惟한다는 것. 곧 心·心所(精神作用)가 對境에 대하여 작용을 일으켜 그 相을 취해서 생각하는 것. 俱舍論卷二에는 이것을 셋으로 분별하고 있다.
(1) 自性分別은 尋(伺)의 心所를 體로 하고, 對境을 직접 인식하는 直覺作用.
(2) 計度分別은 意識과 相應하는 慧의 心所를 體로 하는 判斷推理의 작용.
(3) 隨念分別은 意識과 相應하는 念의 心所를 그 體로 하고, 과거의 것을 마음에 분명히 새겨 있지 않고 생각을 해내는 追想기억의 작용을 말한다. 六識 가운데, 意識은 三分別의 모든 것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有分別이라고 한다. 前五識은 自性分別만이 있고, 또다른 二分別이 없기 때문에 無分別이라고 한다. 雜集論卷二에는 이것을 셋으로 分別하여 모두 의식의 작용으로 하고, 自性分別은 현재, 隨念分別은 과거, 計度分別은 과거와 미래에 공통한다고 한다. 그런데 大乘佛敎(특히 攝大乘論)에서는 凡夫에서 일어나는 分別은 迷妄의 소산으로 眞如의 도리에 契合하지 않으므로 이와 같은 分別로는 如實히 眞如를 깨달을 수 없다고 하여 범부의 분별은 虛妄分別(略하여 妄分別)이라 한다. 眞如에 이르르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범부의 分別智인 有分別智를 여읜 無分別智에 의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한다. 곧 보살은 初地入見道 때 일체법의 眞如를 緣으로 해서 아는 주체(能知)와 알아야 할 인식의 대상(所知)과의 대립을 초월하여 평등한 無分別智를 얻는다고 한다. 이 무분별지를 加行(준비적 단계)과 根本과 後得과의 3단계로 나눌 때 그것을 차례로 加行智·根本智·後得智라고 한다.
② 구분·類別·분석의 뜻. 또 敎法을 분류·분석하여 여러 가지 입장에서 연구 고찰하는 것을 일컫는다.
멸(滅) : ① 열반을 말함. 따라서 終息·寂靜·寂滅이라고도 한다. 열반에 들어가는 것을 入滅이라고 한다. 석존은 돌아가시어 無餘涅槃에 들어가셨으므로 석존의 경우 그 돌아가심을 특히 입멸이라고 한다.
② 消失·歸滅·근원적으로 없애버리는 것. 否定하는 것. 활동을 정지하는 것을 뜻한다.
③ 滅絶하는 것. 곧 일체번뇌의 絶滅, 일체번뇌와 惡을 여의어 없애는 일. 四諦說에서는 第三을 滅諦라 하고 수행의 목표로 삼았다. 인연의 화합인 현상적 존재의 모습을 絶滅한 상태를 말한다. 十六行相의 하나. 인도종교 문헌에는 일반적으로 制御하다, 抑止하다의 뜻으로 사용했으며, 原始佛敎聖典 가운데 아주 오랜 語句에서도 같은 의미로 쓰인데가 있다.
④ 깨달음의 경지를 뜻할 때가 있다.
⑤ 三有爲相의 하나로 또는 四有爲相(生·住·異·滅)의 하나로 滅相을 약하여 滅이라고도 한다.
⑥ 毘奈耶 곧 律의 漢譯으로 쓰일 때도 있으며 敎團의 다툼이 없어졌음을 가리켜 滅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ᄉ~ㅇ(시옷~이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가(三假) (0) | 2018.05.29 |
---|---|
오상분결(五上分結) (0) | 2018.05.29 |
안주법라한(安住法羅漢) (0) | 2018.05.29 |
삼종세간(三種世間) (0) | 2018.05.29 |
육수면(六隨眠) (0) | 2018.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