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종세간(三種世間)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화엄종에서 주장하는 것. (1) 器世間. 우리가 현재 살고 있는 國土. (2) 衆生世間. 부처님을 제외한 다른 一切衆生. (3) 智正覺世間. 모든 부처님들. ② 衆生世間 · 國土世間 · 五陰世間. ③ 天上 · 人間 · 獸道. 이것은 인도의 數論派에서 세운 것.
참고
세간(世間) : 범어 loka의 번역. 略해서 世라고도 하고 路迦라 音譯함. 깨지고 부서지게 될 것, 세상이란 뜻. 世間에 속한 것도 世間(범어 lauki=ka)이라고 한다. 이런 경우는 世俗 · 凡俗의 뜻. 세상의 事物 · 번뇌에 얽매어 헤어나지 못하고 있는 존재의 모든 현상을 가리킨다.「世」에는 否定되어 없애버리지 않으면 안되는 것(對治), 옮아가는 것(不靜住), 진리에 어긋난 헛소리인 것(虛妄)의 세가지 의미가 있다고 한다(佛性論卷二). 世間을 분류해서 有情世間(살아 있는 것. 중생세간 · 有情界라고도 한다)과 器世間(有情을 살 수 있게 하는 山河大地 등. 物器世間 · 器世界 · 器界 · 器라고도 한다)의 2종世間(俱舍論 卷八 등)으로 나누어, 衆生世間(有情世間을 말함)과 國土世間(器世間을 말함)과 五陰世間(前二者를 형성하고 있는 五蘊에 대해서 말함. 五衆世間, 五蘊世間이라고도 한다)의 3종世間(摩訶止觀 卷五上)으로 나누고, 또 중생세간과 器세간과 智正覺세간(前2者는 불타교화의 대상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에 대해서 교화하는 佛身을 말함)의 3종세간(華嚴孔目章 卷三)으로 나눈다. 3종세간은 3세간이라고도 한다. 단 화엄경 探玄記 卷十七에는, 五陰세간은 衆生세간과 同義라고 했다. 有情세간 · 器세간의 분류는 正報 · 依報의 분류와 같은데,「世間」이라고 할 때는 迷界에만 通用하고, 「報」라고 할 때에는 迷悟兩界에 通用한다.「世間에 속한다」의 의미의「世間(世俗)」에 대해서, 世間을 뛰어 넘어 여의고 있는 것을 出世間(出世)이라고 하고, 보살의 階位나 智 · 禪定 등에 世間과 出世間의 구별을 세운다. 예컨대 일반적으로는 迷界의 因果(苦集二諦)는 世間에서, 悟界의 因果(滅道二諦)는 出世間, 見道位(初地)에 들어가기까지는 世間, 見道이후는 出世間이라 한다. 이밖에 또 화엄종에서는 보통의 出世間(三乘敎의 出世)을 다시 넘어서 있다는 의미로 出出世(곧 出出世間)를 말한다.
화엄종(華嚴宗) : 八宗의 하나. 화엄경을 근본 경전으로 하여 세운 종파. 혹은 이 종의 敎義를 크게 大成시킨 賢首의 이름을 따서 賢首宗이라고도 한다. 隋·唐시대 인도불교의 굴레를 벗어나 중국적 불교의 전성시대에 삼론종·천태종·율종·정토종 등 여러 종파와 대립하여 통합적인 불교로서 성립되었다. 初祖에 관해서는 여러 說이 있는데, 전통설은 杜順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며, 제2조 智儼을 거쳐서, 제3조 法藏, 곧 賢首에 이르러 크게 이루어 놓았다. 中唐 무렵 한때 부진하였다가 澄觀·宗密에 의하여 진흥되었으므로, 이들은 중국의 華嚴五祖라 하며, 또 인도의 馬鳴과 龍樹를 더하여 7조라고도 한다. 會昌의 廢佛, 5대의 난 때 쇠퇴하였다가 송나라 시대에 재흥되었는데 元나라 이후는 미미해지고 말았다. 한국에서는 신라시대의 원효를 初祖로 하는 海東宗과 당나라에 가서 智儼의 종통을 전해온 義湘을 初祖로 하고, 태백산의 부석사를 宗刹로 하는 浮石宗이 있었으나, 후세에까지 오래 전해진 것은 부석종이다. 의상의 뒤를 이어, 勝詮·智通·無染·惠哲·緣起·道詵·賢俊·法印·圓融·智光·大覺·無碍·戒膺·普照友雲 등이 종풍을 선양하였다. 일본에는 736년 당나라 道璿이 화엄경의 주석서를 전한 것이 처음이며, 740년 신라의 審詳이 처음으로 일본에서 화엄경을 강하였고, 다음에 東大寺가 창건되어 일본 화엄종의 기초가 되었다.
기세간(器世間) : 3종 世間의 하나. 또는 器世界 · 器界 · 器라고도 함. 일체 중생이 살고 있는 세간(略해서 世라고도 하고 路迦라 音譯함. 깨지고 부서지게 될 것, 세상이란 뜻)이란 뜻.
중생세간(衆生世間) : ① 三世間의 하나. 天台宗의 說로 器世間에 대해서 五蘊으로 되어 있는 有情의 세계를 말한다. ② 十界 가운데 佛界이외의 九界를 말함.
구계(九界) : 10界 중에서 事理에 밝고, 원만한 지혜를 갖춘 佛界를 제외한 보살계로부터 지옥계까지를 말함. 이 九界는 무명과 망집을 벗어나지 못한 세계로, 지옥계 · 아귀계 · 축생계 · 아수라계 · 인간계 · 천상계 · 성문계 · 연각계 · 보살계 등이다.
지정각세간(智正覺世間) : 三種世間의 하나. 智度論四十七 및 止觀五에 의하면, 석가여래 敎化의 경계로서 중생이 의지하는 國土인 器世間(國土世間)과 석가세존의 敎化의 機類인 衆生世間. 여래가 大智慧를 갖추어서 世間·出世間의 法을 覺了하여 치우친 바 없이 모두 다 깨달아 아심으로 부처님의 세계를 智正覺世間이라 한다.
국토세간(國土世間) : 3종 세간의 하나. 또는 住處世間. 국토는 중생이 의지하는 境界. 중생이 사는 10界 차별의 器世間을 말한다.
오온세간(五蘊世間) : 五陰世間 · 五衆世間이라고도 한다. 過去 · 現在 · 未來에 遷流하는 세상이란 뜻. 有爲法을 셋으로 분류한 五陰世間(五衆世間·五蘊世間) · 衆生世間 · 國土世間의 하나. 五陰(五蘊)이란 色 · 受 · 想 · 行 · 識의 5法이다. 이것은 十界의 五陰(五蘊)이 각각 차별이 있으므로 五陰世間 또는 五蘊世間이라 한다.
수론파(數論派) : 數論과 같음. 범어 Samkhya. 僧企耶 · 僧佉라 音譯. 인도 6派 철학의 하나로, 迦毘羅(kapila)仙人이 처음 주장함. 25諦를 세워 일체 萬法의 生起로부터 有情輪廻의 始終과 解脫하는 것을 말한다. 이 派의 聖典은 <金七十論>이다. 상캬학파를 가리킴.
25제(諦) : 인도의 數論派의 철학에서 宇宙萬有를 神我라고 하는 정신적 원리와 自性이라고 하는 물질적 원리의 二元으로 나누며, 세계전개(轉變의 순서)를 25수로 요약한 것. 이것이 진실한 진리라고 하여 諦라 한 것. 自性→覺(知覺·覺知의 기관)→我慢(自意識)→5大(地·水·火·風·空)→16變異[5唯(色·聲·香·味·觸) +5知根(眼·耳·鼻·舌·身) + 5作根(語·手·足·生殖器·排泄器) + 意根의 순으로 나타난다고 함. 이와 같이 未顯現인 自性으로부터 覺 등의 23종이 생겨나는 것은 自性이 純質(喜)·激質(憂)·翳質(闇)의 3요소, 곧 三德으로부터 구성되어 있어서 그것은 神我의 작용에 의한 것이다. 그러므로 神我와 自性과의 관계를 잘 考察해서 內智를 완전히 하면 無形不滅의 정신원리인 神我는 有形可滅의 물질적 속박으로부터 벗어나서 解脫에 도달한다. 곧 神我는 自性을 여의고 獨存하는 것으로 본래의 純淨을 발휘한다고 생각되고 있다. (金七十論卷上)
국토(國土) : 범어 ksetra의 번역. 토지·영역·생물이 거주하는 장소를 말함. 음역하여 刹多羅 혹은 단순히 刹이라고도 하고 나아가서는 漢譯의 「土」와 梵漢重複하여 刹土라고도 한다.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ᄉ~ㅇ(시옷~이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행처멸(心行處滅) (0) | 2018.05.29 |
---|---|
안주법라한(安住法羅漢) (0) | 2018.05.29 |
육수면(六隨眠) (0) | 2018.05.28 |
원시불교(原始佛敎) (0) | 2018.05.28 |
오역(五逆) (0) | 2018.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