ᄉ~ㅇ(시옷~이응)

오비구(五比丘)

근와(槿瓦) 2018. 5. 16. 00:44

오비구(五比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五群比丘라고도 한다. 부처님이 최초로 제도한 5비구이며 모두 인척이다. (1) 憍陳如. (2) 頞鞞. (3) 跋提. (4) 十力迦葉. (5) 摩男俱利. 이것은 文句四3에서 설한 것이며, 모든 經論諸家의 뜻과 같다. 그러나 열거하는데 있어 (1) 陳如(또는 拘隣). (2) 頞鞞(또는 濕鞞阿의 설에는 馬勝이라 표시함). (3) 拔提(또는 摩訶男). (4) 十力迦葉. (5) 俱利太子. 또한 玄義釋籤(현의석첨) 62에는 (1) 頞鞞. (2) 跋提. (3) 俱利. (4) 釋摩男. (5) 十力迦葉. 摩男俱利는 다른 사람이다. 또한 摩男跋提의 다른 이름이며, 摩男陳如의 다른 이름이라고 해 陳如의 이름을 빼고 釋摩男의 이름을 (4)에 넣은 것은 모두 착오며, 摩男釋訶那摩의 약칭이며 大名이란 뜻. 拘利太子의 존칭이다. 이도 석씨이므로 釋摩男이라 한 것이며 다른 사람은 아니라고 함.

 

참고

교진여(憍陳如) : 교진나(憍陳那). 범어 Kaundinya. 아야교진나의 약칭. 또는 교진여라고도 한다. 존자의 . 번역하여 火器라 한다. 부처님이 성도하신 후 최초의 제자로 다섯 비구의 한 사람.

 

알비(頞鞞) : 마승(馬勝)석존의 맨 처음 제자. 5비구의 하나로 알비(頞鞞)를 말한다. 또는 阿說示 · 阿濕波誓 · 阿奢踰時 · 阿捨波闍 · 阿濕鼻. 번역하여 馬勝 · 馬星 · 馬師 · 調馬. 사리불을 인도하여 부처님께 귀의케 하고, 위의가 단정하기로 유명. .....아설시(阿說示)범어 Asvajit. 팔리어 Assaji. 阿濕婆恃 · 阿濕婆誓 · 阿奢踰時 · 阿捨婆闍 · 阿濕波氏多 · 阿濕縛伐多 · 阿濕波踰祇多 · 阿輸波踰祇 · 阿輸 · 頞鞞라고도 음역. 馬勝 ·馬星 · 調馬 · 馬師라 번역. 아야다교진여 등과 함께 맨 처음 불제자가 된 사람. 5비구의 한분. 사리불을 부처님께 귀의케 한 사람.

 

발제(跋提) : 5비구의 한 분. .....발제리가(跋提梨迦)범어 Bhadrika. 5비구 중의 한 사람으로 婆帝利迦 · 跋提唎加 · 婆提唎迦라고도 쓰고 婆提 · 跋提라 약칭하며 小賢 · 善賢 · 安詳 · 有賢 · 仁賢이라 번역한다. 석가 종족의 출신으로 곡반왕의 아들이라고도 하며, 백반왕의 둘째 아들 혹은 감로왕의 아들이라고도 전한다. 석존 성도 후에 녹야원에서 교화를 받고 부처님의 맨 처음 제자가 되었다. 中本起經에는 跋提라 하고, 四分律에는 婆提라 하며, 最勝王經婆提利迦라 하며, 本行集經跋提梨迦라 함.

 

십력가섭(十力迦葉) : 범어 Dasabala-Kasyapa. 석존께서 보리수 밑에서 정각을 이루시고, 처음으로 녹야원에 가셔서 제도한 다섯 비구 가운데 한 사람.

 

마남구리(摩男俱利) : 摩男과 같다. .....마남(摩男)부처님의 五比丘의 한 사람. 摩訶那摩 · 摩訶男이라고도 한다. .....마하남(摩訶男)→① 부처님 제자로 5비구의 하나. 석존께서 출가하여 수행하는 동안 부왕이 신하들 중 석가족에서 석존을 시봉할 다섯 사람을 뽑았는데, 그때 摩訶男도 그 중의 하나가 됨. 부처님이 바라내성의 녹야원에서 성도할 때에 다른 네 사람과 함께 부처님의 맨 처음 교화를 받음. 4세기 경 세일론 사람. 島史(Dipava=msa)가 편찬된 백년 뒤, 大史(Mahavamsa)를 편찬한 사람. 중인도 가비라의 성주로, 斛飯王의 아들이라고 하기도 하고 甘露飯王의 아들이라고 하기도 한다. 아우인 아나율이 출가하여 불문에 들어간 뒤에는 불법을 크게 존종히 여기다. 부처님이 멸도하기 전 해, 구살라국의 유리왕이 군사를 거느리고 석가족을 치기 위하여 가비라성으로 쳐들어 왔을 때, 정반왕을 대신하여 가비라의 성주가 되었으나, 전쟁이 불리해지자 성을 개방하고 강물에 몸을 던져 죽었다고 한다.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ᄉ~ㅇ(시옷~이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속가(相續假)  (0) 2018.05.16
일념(一念)  (0) 2018.05.16
성자실상(聲字實相)  (0) 2018.05.15
십계(十戒)  (0) 2018.05.15
인위(忍位)  (0) 2018.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