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리분법(菩提分法)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bodhyanga. 四念處·四正勤·四如意足·五根·五力·七覺·八正의 7가지를 합한 37道品을 말함. 또는 37道品 가운데 七覺의 이름.
참고
삼십칠도품(三十七道品) : 道品은 범어 bodhi-pak=sika의 번역으로, 菩提分·覺支·覺分이라고도 번역한다. 佛敎의 至高의 목적인 깨달음의 경지(涅槃)를 실현하는 지혜(곧 道·菩提·覺)를 얻기 위한 실천도의 종류의 뜻으로, 여기에 37항이 있으므로 37道品이라 한 것이어서, 37菩提分法·37覺支·37覺分이라고도 한다. 곧 4念處(4念住)·4正勤(4正斷)·4如意足(4神足)·5根·5力·7覺支(7菩提分)·8正道(8聖道)가 그것이니, 이 7科의 集計가 37道品이다.
사념처(四念處) : 新譯은 四念住라고 한다. 소승의 수행자가 3賢位에서 5停心觀 다음에 닦는 觀. 身念處 · 受念處 · 心念處 · 法念處의 네 가지를 말한다.
(1) 身念處. 부모에게 받은 육신이 부정하다고 관하는 것.
(2) 受念處. 우리의 마음에 즐거움이라고 하는 음행 · 자녀 · 재물 등을 보고, 樂이라 하는 것은 진정한 樂이 아니고, 모두 고통이라고 觀하는 것.
(3) 心念處. 우리의 마음은 항상 그대로 있는 것이 아니고, 늘 변화 생멸하는 무상한 것이라고 觀하는 것.
(4) 法念處. 위의 셋을 제외하고, 다른 만유에 대하여 실로 自我인 實體가 없으며, 또 나에게 속한 모든 물건을 나의 소유물이라고 하는데 대해서도, 모두 일정한 소유자가 없다고, 無我觀을 하는 것이 四念處觀을 身 · 受 · 心 · 法의 순서로 각각 觀하는 것을 別相念處觀, 總合하여 觀하는 것을 總相念處觀이라 한다.
사정근(四正勤) : 正勤은 범어 samyak-prahana의 번역. 四正斷·四意斷이라고도 한다. 三十七道品 중의 제2의 行法으로 네 가지 바른 노력을 하는 것.
(1) 律儀斷. 아직 나타나지 않은 惡을 끊기 위하여 힘쓰는 것.
(2) 斷斷. 이미 생긴 惡을 끊기 위해 노력하는 것.
(3) 隨護斷. 아직 나타나지 않은 善을 나타내기 위해 힘쓰는 것.
(4) 修斷. 이미 나타난 善을 증대하도록 힘쓰는 것. 이것을 斷이라고 일컫는 것은 이러한 精勤 노력이 태만심을 끊고 障(煩惱障·所知障)을 끊기 때문이다.
사여의족(四如意足) : 四神足이라고도 한다. 三十七道品 중 3번째의 修行法으로 주로 四善根位의 頂位에서 닦는다. 곧, 欲如意足·精進如意足·心如意足·思惟如意足의 4가지. 이것은 각기 誓願과 努力과 心念과 觀慧의 힘에 의하여 일어난 定으로, 그 定을 所依로 해서 여러 가지의 神變(곧 如意)을 나타냄으로 이것을 4 如意足이라고 한다.
오근(五根) : 다섯의 뿌리. 根이라 함은 훌륭한 작용이 있다(이것을 增上이라고 한다)는 뜻. 信·精進(勤)·念·定·慧의 五無漏根. 三十七道品중의 一類. 이들은 번뇌를 누르고 올바른 깨달음의 道에 나가게 하는데 대해서 뛰어난 작용이 있기(增上) 때문에 根이라고 한다.
오력(五力) : 三十七道品중의 하나.
① 信(信仰)力·勤(努力)力·念(憶念)力·定(禪定)力·慧(智慧)力의 다섯가지. 이것은 惡을 쳐부수는 힘이 있으므로 力이라 한다. 내용은 5無漏根과 같이 불교의 실천도를 가리킨다. 대체로 실천상으로 전자에서 후자로 서서히 차례를 밟아 옮긴다.
② 불교의 說法은 言說力·方便力·法門力·大悲力·隨宜力을 갖추고 있다고 한다.(恩益梵天所問經卷二)
③ 유식종에서는 定力·通力·借識力·大願力·法威德力의 大力은 어떻게 해석하여 결정할 수가 없다고 하므로 唯識不判의 5力이라고 한다.(宗鏡錄 卷四十八)
칠각지(七覺支) : 覺支는 범어 sambodhyanga의 번역으로 七覺分·七覺意·七菩提分, 약하여 七覺이라고도 한다. 三十七道品 가운데 제6의 行法으로 覺은 깨달음의 지혜를 의미하며 이 7종의 法이 깨달음의 지혜를 도와주므로 覺支라 했다.
칠각분(七覺分) : 七菩提分 · 七覺支 · 七覺意 · 七覺이라고도 한다. 佛道를 수행하는데, 지혜로써 참되고 거짓되고 善하고 惡한 것을 살펴서 선별하는데 7종이 있다.
(1) 擇法覺分. 지혜로 모든 법을 살펴서 선악의 眞僞를 簡擇하는 것.
(2) 精進覺分. 수행을 할 때에 용맹한 마음으로 쓸데없는 邪行을 여의고 바른 道에 전력하여 게으르지 않는 것.
(3) 喜覺分. 마음에 善法을 얻어서 기뻐하는 것.
(4) 除覺分. 그릇된 견해나 번뇌를 끊어버릴 때에 능히 참되고 거짓됨을 알아서 올바른 善根을 生하는 것.
(5) 捨覺分. 外境에 집착하던 마음을 여읠적에 거짓되고 참되지 못한 것을 追憶하는 마음을 버리는 것.
(6) 定覺分. 定에 들어서 번뇌 망상을 일으키지 않는 것.
(7) 念覺分. 불도를 수행함에 있어서 항상 잘 생각하여 定 · 慧가 한결같게 하는 것. 만일 마음이 혼침하면 (1)(2)(3)으로 마음을 일깨우고, 마음이 들떠서 흔들리면 (4)(5)(6)으로 마음을 다스린다.
팔정도(八正道) : 八聖道支·八正道分·八賢聖道·八正聖路·八正法·八直道·八品道라고도 한다. 불교의 실천 수행하는 중요한 종목을 8종으로 나눈 것. 즉 팔정도는 욕락과 고행 등의 극단을 떠난 中道이며 올바른 깨침에 인도하기 위한 가장 합리적인 올바른 방법으로 되어 있다. 이 팔정도는 中正·中道의 완전한 수행법이므로 正道, 성인의 道이므로 聖道, 또 8종으로 나누었으므로 支, 또는 分이라 한다.
(1) 正見. 바른 견해이며, 불교의 바른 세계관과 인생관으로서의 인연과 四諦에 관한 지혜이다. 그러나 아직도 이 지혜를 확립하지 않은 자에게는 바른 신앙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일상생활에 있어서도 어떤 사업을 하는 경우의 전체적인 계획이나 전망이 正見에 해당된다.
(2) 正思惟란 身語에 의한 행위를 하기 전에 바른 의사 또는 결의를 가리킨다. 출가자라면 출가자다운 柔和와 자비와 충정의 마음으로 思念思惟하는 일이다. 일반 사회에 있어서도 학생이나 직장인이나 사업가 등 자기의 입장을 언제나 바르게 생각하고 意思하는 것이 正思惟이다.
(3) 正語란 正思惟 뒤에 생기는 바른 언어적 행위이다. 妄語·惡口·兩舌·綺語를 하지 않고 진실하고 남을 사랑하며 융화시키는 유익한 말을 하는 일이다.
(4) 正業이란 正思惟 뒤에 생기는 바른 신체적 행위이다. 살생·투도·사음을 떠나서 생명의 愛護·施與慈善·성도덕을 지키는 등의 선행을 하는 일이다.
(5) 正命이란 바른 생활이다. 이것은 바른 직업에 의해 바르게 생활하는 것이지만 일상생활을 규칙적으로 하는 것이기도 하다. 수면·식사·업무·운동·휴식 등에 있어서 규칙적인 생활을 함으로써 건강이 증진되고 일의 능률도 행상되며, 경제생활과 가정생활이 건전하게 수행되는 것이다.
(6) 正精進이란 용기를 가지고 바르게 노력하는 것이다. 정진이란 이상을 향해 노력하는 것이며, 그것은 종교적·윤리적·정치적·경제적·육체 건강상의 모든 면에서 이상으로서의 善을 낳고 증대시키되, 이에 어긋나는 악을 줄이고 제가하도록 노력하는 것을 가리킨다.
(7) 正念이란 바른 의식을 가지고 이상과 목적을 언제나 잊지 않는 일이다. 그리고 일상생활에 있어서도 멍청하지 않는 일이다. 사소한 부주의가 얼마나 중대한 참사를 일으키는가를 일반사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일이다. 불교적인 正念이란 무상·고·무아 등을 언제나 염두에 두고 잊지 않는 일이다.
(8) 正定이란 정신통일을 말하며 四禪定을 가리킨다. 사선정과 같은 깊은 선정은 일반인으로서는 얻을 수 없는 것이라 하더라도 일상생활에서도 마음을 안정시키고 정신을 집중하는 것은 바른 지혜를 얻거나 지혜를 적절하게 활용하기 위해 필요하다. 明鏡止水와 같은 흐림이 없는 마음과 무념무상과 같은 마음의 상태는 正定이 진전된 것이다. 여기서 正見은 나머지 일곱이 달성하기 위한 목적이다. 그리고 팔정도는 여덟 가지 항목이지만, 이것은 하나의 聖道를 이루는 각 부문이며 여덟 가지는 일체로서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별개의 것이 아니다.
또한 팔정도를 戒·定·慧 三學과 관계지어 보면 正見·正思惟는 慧이며, 正語·正業·正命은 戒이며, 正精進은 三學에 공통이며 正念·正定은 定과 관계지을 수 있다. 곧 부처님이 최초의 법문 가운데서 이것을 말씀하신 것이며, 4諦·12緣起와 함께 불교의 원시적 근본 敎義가 되는 것이다.
이 팔정도는 중생을 미혹세계인 이곳에서 깨달음의 세계인 彼岸으로 건네주는 힘을 가지고 있어 船이나 筏로 비유하여 八道의 船八筏이라고 하고, 또 車輪의 輻과 轂·輞이 하나가 되어 차가 움직이는 것을 비유하여 八輪이라고도 한다. 이에 반하여 邪見·邪思·邪語·邪業·邪命·邪精進·邪念·邪定의 8을 8邪(支)·8邪行이라 한다.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ᄇ(비읍)'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본지수적(本地垂迹) (0) | 2018.04.13 |
---|---|
범음(梵音) (0) | 2018.04.12 |
불심종(佛心宗) (0) | 2018.04.10 |
방편반야(方便般若) (0) | 2018.04.10 |
불료의교(不了義敎) (0) | 2018.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