ᄇ(비읍)

방편반야(方便般若)

근와(槿瓦) 2018. 4. 10. 03:02

방편반야(方便般若)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3般若의 하나. 文字般若. 文字般若를 나타내는 方便일지언정 직접 般若는 아니다. 그러나 文字로 말미암아 般若가 생기므로 文字般若라 한다.


참고

삼반야(三般若) : (1) 문자반야 · (2) 관조반야(觀照般若, 모든 법의 실상을 관조함이 반야 지혜의 작용이고, 관조하는 인 지혜는 반야이므로 이렇게 이름함) · (3) 실상반야(實相般若, 모든 법의 실상과 無相 · 空寂은 반야가 아니나, 반야의 지혜를 내는 것이므로 이렇게 이름한다).

 

문자반야(文字般若) : 5종반야 가운데 하나. 문자는 능히 반야의 을 나타내며, 문자의 空寂하여 본래 해탈하는 반야가 된다.

 

문자(文字) : 뜻과 이치를 밝혀 나타내는 부호. 實相은 본래 문자를 떠나 존재하나 문자를 빌리지 않으면 실상을 밝히지 못하므로 文字法身의 생명이 된다. 法華玄義五文字法身이다. 讀誦明利圓家數息이다라 하였다. 維摩經觀衆生品言語文字는 모든 解脫相이다라고 함.

 

반야(般若) : 범어 prajna의 음역. 波若. 般羅若. 鉢刺若라고도 한다·智慧··黠慧라고 번역한다. 모든 사물의 도리를 분명히 뚫어 보는 깊은 지혜를 말한다. 보살이 깨닫고 彼岸에 도달하기 위해 닦는 六種. 六波羅蜜 가운데 般若波羅蜜(智慧波羅蜜)諸佛라 일컬어지고 다른 五波羅蜜을 성립시키는 근거로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반야를 2종으로 나눈다.

(1) 共般若(성문·연각·보살을 위해 공통으로 설한 般若)不共般若(다만 보살만을 위해 설해진 반야).

(2) 實相般若(반야의 지혜에 의해 관조된 對境으로서 일체법의 진실하고 절대적인 모습. 이것은 반야가 아니지만 반야를 일으키는 근원이므로 반야라 부른다)觀照般若[일체법의 진실하고 절대적인 모습(實相)을 관조하여 알아내는 지혜].

(3) 世間般若(세속적 상대적인 반야)出世間般若(超世俗的 절대적인 반야).

實相般若觀照般若의 둘에 方便般若(추리판단을 작용시켜 諸法의 차별을 了解하는 相對智)를 더하여 혹은 文字般若(실상·관조의 반야를 담은 반야의 諸經典)를 더하여 三般若라 하고, 이 실상·관조· 문자의 삼반야에 境界般若(般若지혜의 대상으로서 객관의 一切諸法)眷屬般若(諸法實相을 아는 觀照智로서의 반야에 수반하여 이것을 도웁는 六波羅蜜 등의 諸種의 수행)의 둘을 더하여 五種般若라고도 한다.

 

방편(方便) : 접근하다. 도달하다의 뜻. 즉 좋은 방법을 써서 중생을 인도하는 것. 훌륭한 敎化방법이라고도 쓴다. 차별의 事象을 알아서 중생을 제도하는 지혜. 진실한 가르침으로 인도하기 위해 잠정적으로 마련한 法門을 가리킴. 다른 이로 하여금 깨닫게 하기 위한 수단.

(참고) 이 말은법화경에서는 특히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開權顯實을 내용으로 한 방편품에서는,三乘一乘을 위한 방편法身常住의 사상을 나타내는 壽量品에서는,방편품에 설해진 始成正覺(비로서 깨달음을 열었다)如來의 출세가 방편이라고 밝히고 있다. .....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ᄇ(비읍)'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리분법(菩提分法)-삼십칠도품(三十七道品)  (0) 2018.04.12
불심종(佛心宗)  (0) 2018.04.10
불료의교(不了義敎)  (0) 2018.04.09
비택멸무위(非擇滅無爲)  (0) 2018.04.09
불안(佛眼)  (0) 2018.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