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심종(佛心宗)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禪宗의 다른 이름. 곧바로 佛心을 깨달음은 禪의 體가 된다. 佛心이란 마음의 自性을 말한다. 고로 直指人心 見性成佛이라 한다.
참고
선종(禪宗) : 佛心宗이라고도 함. 달마대사가 인도로부터 와서 전한 것. 敎外別傳을 宗의 綱格으로 하고,
坐禪으로써 內觀外省하여 自性을 徹見하고, 自證三昧의 妙境을 요달함을 宗要로 하는 宗派. 또한 禪宗이란 부처님의 敎說을 所依로 삼는 宗派를 敎宗이라 함에 대하여 坐禪을 닦는 종지라는 뜻이다. 禪宗은 석존에게 正法을 유촉받은 迦葉尊者로부터 28祖 菩提達磨가 있고, 28祖인 菩提達磨가 중국에 건너와서 慧可(487~593)에게 法을 전함으로부터 東土의 제5祖인 弘忍(602~675)에 이르러 그 門下에서 慧能(638~713)을 제6祖로 하는 南宗과, 神秀(?~706)를 제6祖로 하는 北宗으로 나누어졌다. 그러나 神秀의 北宗은 오래지 않아 脈이 끊어지고 慧能의 南宗만이 5家 7宗으로 번성하였다.
불심(佛心) : ① 慈愛(大慈悲)로 가득찬 부처의 마음. ② 중생의 마음속에 본래 갖추어진 佛性. 定해져 있어서 변경할 수 없는 것을 印形에 비유해서 佛心印이라고도 한다. 또 佛心印이라 함은 心印을 말하는 것으로, 文字로 法을 전하지 않고 직접 마음 속에 새겨두는 것을 뜻하기도 한다. 이 佛心을 나타내어, 心印을 전하는 것이 禪宗이므로 禪宗을 佛心宗이라고도 한다.
선(禪) : 범어 dhyana의 音略. 禪那 · 馱衍那(타연나) · 持阿那 등이라 음역하고, 靜慮 · 思惟修習 · 棄惡 · 功德總林 등으로 번역한다. 마음을 하나의 대상에 專注해서 자세히 思惟하는 것을 말하고, 定과 慧가 均等한 것을 말한다. 禪은 大乘 · 小乘 · 外道 · 凡夫의 전체에 걸쳐서 닦게 되는데 그 목적이나 思惟의 대상은 각기 다르다. 禪 및 기타 定을 넓은 의미로 禪定이라고 하고, 혹은 禪은 定의 1종이기 때문에 禪을 닦아서 沈思하는 것을 禪思라고 한다.
① 아함이나 部派불교 등에서 禪을 尋 · 伺 · 喜 · 樂 등의 有無에 의해서 4종으로 나누어 四禪이라 한다. 色界의 四禪天은 四禪을 닦는 자가 나는 곳이라고 하고, 사선천에 나기 위하여 닦는 四禪을 定靜慮, 태어나서 선천적으로 四禪을 얻는 것을 生靜慮라고 한다. 또 유루와 무루의 정려를 섞어서 닦는 것을 雜修靜慮라 하고, 구사론 권이십사에는, 아라한 또는 不還果의 성자에 한해서 닦는다고 한다.
② 大乘에서는 六波羅蜜 혹은 十바라밀의 하나로 禪波羅蜜(선정바라밀 · 靜慮바라밀)을 들고, 보살이 반야의 實智를 얻어 또 신통을 얻기 위해서 닦는다고 한다. ......
자성(自性) : 諸法 그 자체의 不變不改의 存在性을 말한다. 다른 것과 混同하지 않고 改變함이 없는 獨自의 體性, 곧 本性을 말한다. 여기에 徧計自性 · 依他自性 · 圓成自性의 三性을 말하기도 하고 四卷楞伽經卷一에는 集成自性 · 性自性 · 相性自性 · 大種性自性 · 因性自性 · 緣性自性 · 成性自性의 7종自性을 說하고 있다. 또 中論 등에서는 일체의 현상계는 인연을 따라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無自性이라고 하여 自性을 부정하기도 한다. .....
직지인심(直指人心) : 敎理를 생각하거나 모든 戒行을 떠나서, 직접 사람의 마음을 교화하여 佛果를 이루게 하는 것.
견성성불(見性成佛) : 禪宗의 용어. 자기가 본래 가지고 있는 佛性을 사무쳐 보아 佛果를 깨닫는 것. 곧 바로 迷惑이나 의심을 깨뜨리고 자기 본래의 모습을 깨닫는 것. 선종에서 말하는 不立文字 敎外別傳 直指人心 見性成佛을 가리키는 말. 性이란 우리들의 本性 즉 근본주체이다. 그런데 이 性은 객체적으로 볼 수는 없고 직접 주체적으로 볼 수 밖에 없다. 다시 말하면 主客一體가 됨으로써 보여지는 것인데 보는 것이 性이요, 性이 곧 보는 것이라는 체험으로 관심적 의욕의 세계에서 寂滅의 靜樂에 이르러 부처가 되는 것을 말한다.
직지인심견성성불(直指人心見性成佛) : 禪宗에서 깨달음을 보인 말로 敎에 의지하지 않고 坐禪에 의해서 바로 사람의 마음을 直觀하여 佛의 깨달음에 도달하는 것.
심인(心印) : 佛心印이라 한다. 禪宗에선 언어나 文字로 나타낼 수 없는 內心의 깨달음을 佛心이라 한다.
이 깨달음은 世間의 印形처럼 결정적으로 알 수 없으므로 心印이라 함. 禪宗에선 문자에 의하지 않고 見性(자기의 본성을 보고 깨닫는 것)시키는 것을 心印을 傳한다고 한다.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ᄇ(비읍)'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범음(梵音) (0) | 2018.04.12 |
---|---|
보리분법(菩提分法)-삼십칠도품(三十七道品) (0) | 2018.04.12 |
방편반야(方便般若) (0) | 2018.04.10 |
불료의교(不了義敎) (0) | 2018.04.09 |
비택멸무위(非擇滅無爲) (0) | 2018.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