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탐진치(貪瞋痴)

근와(槿瓦) 2018. 3. 24. 01:24

탐진치(貪瞋痴)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욕심·성냄·어리석음. 이 셋은 수행인을 해롭게 함이 가장 심하므로 3이라 한다.

 

참고

삼독(三毒) : 貪欲 · 瞋恚 · 愚癡(· · 라고도 · · 라고도 한다)3煩惱를 말함. 三火 · 三垢라고도 하고 중생을 해롭히는 의 근원이기 때문에 三不善根이라고 한다.

 

삼불선근(三不善根) : · · 三毒을 말함. 新譯仁王經· · 의 세가지 不善根을 다스리고, · · 3善根을 일으킨다하였음.

 

() : 범어 dana. 檀那라 음역하고, 布施라 번역하다.

 

() : 중생에게 즐거움을 주는 것을 慈, 중생의 苦를 없애 주는 것을 悲라 한다. 반대로 苦를 없애 주는 것을 慈, 樂을 베풀어 주는 것을 悲라 한다. 그러므로 두 가지를 다하는 拔苦與樂이 자비다. 또 衆生緣慈悲 · 法緣慈悲 · 無緣慈悲의 셋을 三緣慈悲라고 한다. 부처님은 남에 대한 태도로서는 자비의 정신을 강조하여, 인간 뿐만 아니라 살아 있는 모든 생물에까지 자비를 베푸는 것을 이상으로 삼았던 것이다.

慈는 즉「불쌍히 여긴다」는 뜻으로 이 말의 원어는 팔리어 metta와 산스크리트어인 maitri라고 하는데, 이것은 벗(mitra)에서 나온 관념으로서 진실한 우정을 말한다. 悲라는 것은「연민」을 뜻하는데, 원어는 karuna로서 동정 · 공감 · 함께 슬퍼함 등을 의미한다. 마치 어머니가 목숨을 걸고 자신의 외아들을 지키는 것과 마찬가지로, 일체의 생명에 대하여 무량의 자비심을 베풀라는 것이다. 따라서 부모나 친척이 자기에게 베풀어 주는 이상의 선행을 남을 위하여 베풀도록 힘쓰지 않으면 안된다. 자비의 신념은 나도 사람의 자손이고 남도 또한 사람의 자손이라는 바른 인식으로부터 우러나는 것이며, 따라서 자비는 최고의 지혜로 뒷받침되어 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다른 사람의 몸이 되어 그를 이해한다는 것이다.

지혜와 자비는 말하자면 방패의 양면과 같은 것이다. 대승불교에서는 자비와 지혜(prajna)를 언제나 불가분리의 한쌍으로 간주한다.

 

() : 범어 mati. 末底 · 摩提라 음역. 心所의 이름. 事理를 분별 · 결정하며 의심을 결단하는 작용.

또는 事理를 통달하는 작용이다. 또한 智와 慧는 비록 通名이지만, 두 가지가 상대하여 有爲의 事相에 達하는 것을 智라 하고, 無爲의 空理에 達하는 것을 慧라 한다. 우주간의 일체 만법을 구사론에서는 75, 유식론에서는 100으로 분류하며, 구사론에서는 慧라는 心所를 大地法의 하나로 하여 모든 心識에 따라서 일어난다 하고, 유식종에서는 어리석고 우매한 마음에는 이 心所가 없다 하여, 바깥 경계에 대하여 邪 · 正과 得 · 失을 판단하여 좋은 것을 취하고, 나쁜 것은 버리는 작용이 있다고 한다.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카테고리의 다른 글

취온(取蘊)  (0) 2018.03.25
중아함경(中阿含經)  (0) 2018.03.25
정명(正命)  (0) 2018.03.24
피안(彼岸)  (0) 2018.03.23
찰제리(刹帝利)  (0) 2018.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