ᄉ~ㅇ(시옷~이응)

연(緣)

근와(槿瓦) 2018. 1. 28. 02:26

()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pratyaya.

협의로는 결과()를 끌어 일으키기 위한 직접적 내적원인을 (內因)이라 하는데 대해서, 이것을 밖에서 돕는 간접적 원인을 (外緣)이라고 하는데, 廣義로는 둘을 합해서 이라고도 이라고도 한다. 廣義四緣으로 분류된다.

(1) 因緣. . 因卽緣의 뜻. 하는 직접적 內的인 원인. 狹義로는 을 말함. 六因能作因한 다른 五因을 말한다.

(2) 等無間緣. 앞의 刹那의 마음 · 마음의 작용(心所)이 뒤의 찰나의 마음 · 心所하는 원인(장소를 열어서 인도해 들임. 開避引導)이 되는 것을 말한다.

(3) 所緣緣(緣緣). 所緣 外境이 마음이 생하는 이 되는 것을 말한다. 唯識宗에서는 이것을 疎所緣緣(所緣相分引起하는 본질이, 동시에 見分所緣이 되는 것을 말한다)親所緣緣(所緣하는 見分과 여의지 않는 相分을 말한다)으로 나눈다.

(4) 增上緣. 一切法一法에 대해서 모두 이 되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六因중의 能作因과 같다. 淨土敎에서는 아미타불의 本願凡夫淨土往生하기 위한 增上緣이 된다고 한다. 이 경우의 增上緣에 대해서 작용하는 강한 힘이란 뜻.


心所(개별적인 마음의 작용)對境을 향해서 작용하고, 그 모습()을 취하는 것을한다고 한다. 心識은 스스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能緣이라고 하고, 對境心識에 의해서 해지는 것이기 때문에 所緣이라고 한다.

 

참고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ᄉ~ㅇ(시옷~이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설(兩舌)  (0) 2018.01.28
악구(惡口)   (0) 2018.01.28
생자필멸(生者必滅)  (0) 2018.01.28
연등불(燃燈佛)  (0) 2018.01.28
수기(授記)  (0) 2018.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