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아함경-1050-210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046 / 2145] 쪽
...공·등정각은 과거 부처님의 가장 훌륭한 경계를 얻고, 깨끗한 법륜을 굴려 대중들 가운데에서 사자후(獅子吼)를 외치느니라. 이것은 이른바 이치에 맞는 것과 이치에 어긋나는 것을 참답게 아는 것이니, 이것을 여래의 첫 번째 힘이라고 하느니라. 또 과거·미래·현재에서 마음으로 즐거운 법 받은 줄을 사실 그대로 아나니, ……(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앞 경에서 설한 것과 같다.) ……이것을 여래의 두 번째 힘이라고 하느니라.
또 여래는 선정[禪]·해탈(解脫)·삼매(三昧)·정수(正受)를 사실 그대로 아나니,…… (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앞 경에서 설한 것과 같다.) ……이것을 여래의 세 번째 힘이라고 하느니라. 또 여래는 과거 전생의 갖가지 일들을 사실 그대로 아나니,…… (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앞 경에서 설한 것과 같다.) ……이것을 여래의 네 번째 힘이라고 하느니라.
또 여래는 사람의 눈보다 깨끗한 천안으로 중생들이 여기서 죽어 저기에 태어나는 것을 보나니, ……(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앞 경에서 설한 것과 같다.) ……이것을 여래의 다섯 번째 힘이라고 하느니라. 또 여래는 모든 번뇌[漏]가 이미 다하여, 번뇌가 없어져서 심해탈(心解脫)·혜해탈(慧解脫)하였고,…… (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앞 경에서 설한 것과 같다.) ……그래서 대중들 가운데에서 사자후를 외치나니, 이것을 여래의 여섯 번째 힘이라고 하느니라.
부처님께서 이 경을 말씀하시자, 모든 비구들은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하였다.
687. 사자후경 ②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 때 세존께서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위의 소경에서 설한 것과 같으며, 다만 그와 다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만일 누가 와서 나에게, 여래의 이치에 맞는 것과 이치에 어긋나는 것을 아는 힘에 대해 묻는다면, 여래는 이치에 맞는 것과 이치에 어긋나는 것을
[1047 / 2145] 쪽
아는 힘으로 알고 보고 깨달아 등정각(等正覺)을 이룬 그대로 그를 위해 확실하게 말해줄 것이다.
또 만일 누가 와서 여래의 스스로 즐거움을 느낄 줄 아는 힘에 대해 묻는다면, 여래는 스스로 즐거움을 느낄 줄 아는 힘으로 알고 보고 깨달아 등정각을 이룬 그대로 그를 위해 말해줄 것이니, 이것을 여래의 두 번째 지혜의 힘이라고 하느니라. 만일 누가 와서 여래의 선정(禪定)·해탈(解脫)·삼매(三昧)·정수(正受)를 아는 힘에 대해 묻는다면 여래는 선정·해탈·삼매·정수를 아는 힘 그대로 그를 위해 확실하게 말해줄 것이다. 만일 누가 와서 여래의 전생[宿命] 경험을 아는 힘에 대해 묻는다면 여래는 전생 경험을 알고 보고 깨달은 그대로 그를 위해 말해줄 것이다. 만일 누가 와서 여래의 천안으로 아는 힘에 대해 묻는다면 여래는 천안으로 본 그대로 그를 위해 말해줄 것이다. 만일 누가 와서 여래의 번뇌가 다한 것을 아는 힘에 대해 묻는다면, 여래는 번뇌가 다한 것을 아는 힘으로 알고 보고 깨달은 그대로 그를 위해 말해줄 것이다.
부처님께서 이 경을 말씀하시자, 모든 비구들은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하였다.
688. 칠력경(七力經)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 때 세존께서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일곱 가지 힘이 있다. 어떤 것이 그 일곱 가지 힘인가? 믿음의 힘·정진의 힘·제 자신에 대해 부끄러워하는 힘·다른 사람에게 부끄러워하는 힘·생각의 힘·선정의 힘·지혜의 힘이니라.
그 때 세존께서 곧 게송을 설하셨다.
믿음의 힘과 정진의 힘
자시에게 부끄러워하는 힘과 남에게 부끄러워하는 힘
[1048 / 2145] 쪽
바른 생각의 힘·선정의 힘·지혜의 힘
이것을 일곱 가지 힘이라고 한다.
이 일곱 가지 힘을 성취하면
온갖 번뇌를 다 끊게 되리라.
부처님께서 이 경을 말씀하시자, 모든 비구들은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하였다.
689. 당성칠력경(當成七力經)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 때 세존께서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일곱 가지 힘이 있다.……(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위의 소경에서 설한 것과 같으며, 다만 그와 다른 내용은 다음과 같다.)……그러므로 비구들아, 마땅히 이와 같이 배워야 하나니, '나는 믿음의 힘을 성취하고 그와 같이 정진의 힘·제 자신에 대해 부끄러워하는 힘·다른 사람에게 부끄러워하는 힘·생각의 힘·선정의 힘·지혜의 힘을 성취해야 한다'고 해야 하느니라.
부처님께서 이 경을 말씀하시자, 모든 비구들은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하였다.
690. 칠력경(七力經)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 때 세존께서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일곱 가지 힘이 있다.……(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위의 소경에서 설한 것과 같으며, 다만 그와 다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그 때 세존께서 곧 게송을 설하셨다.
[1049 / 2145] 쪽
믿음의 힘과 정진의 힘
자신에게 부끄러워하는 힘과 남에게 부끄러워하는 힘
바른 생각의 힘·선정의 힘·지혜의 힘
이것을 일곱 가지 힘이라고 한다.
이 일곱 가지 힘을 성취하면
온갖 번뇌를 다 끊게 되리라.
부처님께서 이 경을 말씀하시자, 모든 비구들은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하였다.
691. 광설칠력경(廣說七力經)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 때 세존께서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일곱 가지 힘이 있다. 어떤 것이 그 일곱 가지 힘인가? 믿음의 힘·정진의 힘·제 자신에 대해 부끄러워하는 힘·다른 이에게 부끄러워하는 힘·생각의 힘·선정의 힘·지혜의 힘을 이르는 말이니라.
어떤 것을 믿음의 힘이라고 하는가? 여래에 대해 믿는 마음을 내어 깊히 들어가 견고하게 되어, 모든 하늘·마(魔)·범(梵)·사문(沙門)·바라문(婆羅門)과 그밖에 동등한 법으로도 능히 부술 수 없으면 그것을 믿음의 힘이라고 한다. 어떤 것을 정진의 힘이라고 하는가? 4정단(正斷)을 이르는 말이니라.…… (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위의 소경에서 설한 것과 같다.) ……어떤 것을 제 자신에 대해 부끄러워하는 힘이라고 하는가? 악하고 착하지 않은 법을 부끄러워하는 것이다.…… (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위의 소경에서 설한 것과 같다.) …… 어떤 것을 다른 이에게 부끄러워하는 힘이라고 하는가? 다른 이에게 부끄러워할 만한 것이면 다른 이에게 부끄러워하고, 악하고 착하지 않은 법이 일어나는 것을 다른 이에게 부끄러워하는 것이다.…… (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위의 소경에서 설한 것과 같다.) ……어
[1050 / 2145] 쪽
떤 것을 생각의 힘이라고 하는가? 4념처(念處)를 일컫는 말이다.…… (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위의 소경에서 설한 것과 같다.) ……어떤 것을 선정의 힘이라고 하는가? 4선정[禪]을 이르는 말이다.…… (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위의 소경에서 설한 것과 같다.) ……어떤 것을 지혜의 힘이라고 하는가? 4성제(聖諦)를 이르는 말이다.…… (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위의 소경에서 설한 것과 같다.)
부처님께서 이 경을 말씀하시자, 모든 비구들은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하였다.
692. 팔력경(八力經)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 때 세존께서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여덟 가지 힘이 있다. 어떤 것이 그 여덟 가지 힘인가? 이른바 자재왕의 힘[自在王者力]·일을 결단하는 대신의 힘[斷事大臣力]·원한을 맺는 여자의 힘[結恨女人力]·우는 아이의 힘[啼泣嬰兒力]·비방하는 어리석은 이의 힘[毁呰愚人力]·자세하고 명료한 지혜의 힘[審諦黠慧]·출가하여 인욕하는 힘[忍辱出家力]·많이 들어 깊이 생각하는 힘[計數多聞力]이니라.
부처님께서 이 경을 말씀하시자, 모든 비구들은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하였다.
693. 광설팔력경(廣說八力經)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 때 세존께서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위의 소경에서 설한 것과 같으며, 다만 그와 다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른바 자재왕의 힘[自在王者力]이란, 왕이 자재로운 위력을 나타내는...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增一아함경, 雜아함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잡아함경-1060-212 (0) | 2017.01.16 |
---|---|
잡아함경-1055-211 (0) | 2017.01.14 |
잡아함경-1045-209 (0) | 2017.01.11 |
잡아함경-1040-208 (0) | 2017.01.10 |
잡아함경-1035-207 (0) | 2017.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