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아함경-1055-211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051 / 2145] 쪽
...것이요, 일을 결단하는 대신의 힘[斷事大臣力]이란, 대신이 일을 결단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것이며, 원한을 맺는 여자의 힘[結恨女人力]이란, 여인의 특성상 원한을 맺는 힘을 나타내는 것이다. 우는 아이의 힘[啼泣嬰兒力]이란, 아이의 특성상 우는 힘을 나타내는 것이요, 비방하는 어리석은 이의 힘[毁呰愚人力]이란 어리석은 이의 특성상 일에 맞닥뜨리면 비방하여 말하는 것이며, 자세하고 명료한 지혜의 힘[審諦黠慧]이란, 지혜로운 사람이 언제나 자세하고 명료하게 살피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요, 출가하여 인욕하는 힘[忍辱出家力]이란, 출가한 사람이 항상 인욕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며, 많이 들어 깊이 생각하는 힘[計數多聞力]이란, 많이 들어 아는 사람은 언제나 생각하고 헤아리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니라.
부처님께서 이 경을 말씀하시자, 모든 비구들은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하였다.
694. 사리불문경(舍利弗問經)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 때 존자 사리불이 세존께서 계시는 곳으로 나아가 그 발에 머리 숙여 예배하고 한쪽에 물러앉아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번뇌가 다한 비구[漏盡比丘]는 몇 가지 힘이 있습니까?
부처님께서 사리불에게 말씀하셨다.
번뇌가 다한 비구는 여덟 가지 힘이 있다. 어떤 것이 그 여덟 가지인가? 이른바 번뇌가 다한 비구는 마음이 떠남[離]으로 나아가고, 떠남으로 흘러들며, 떠남으로 떠내려간다. 그리고 벗어남[出]으로 나아가고, 벗어남으로 흘러들며, 벗어남으로 떠내려간다. 열반(涅槃)으로 나아가고 열반으로 흘러들며, 열반으로 떠내려간다. 만일 다섯 가지 욕망[五欲]을 보면 불구덩이를 보는 것처럼 하고, 그렇게 보고는 욕심의 생각[欲念]과 욕심의 느낌[欲受]과 욕심의 집착에 마음이 오래 머물지 않고, 4념처[念處]·4정단(正斷)·4여의족(如意足)·5근(根)·5력(力)·7각분(覺分 : 覺支)·8성도분(聖
[1052 / 2145] 쪽
道分 : 正道)을 닦느니라. 부처님께서 이 경을 말씀하시자, 모든 비구들은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하였다.
695. 이비구문경(異比丘問經)
존자 사리불문경(舍利弗問經)에서와 같이 어떤 비구가 부처님께 여쭈 것에 대해서도 그와 같이 말씀하셨다.
696. 제비구문경(諸比丘問經)
모든 비구가 질문한 경도 앞에서와 같이 말씀하셨다.
697. 구력경(九力經)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 때 세존께서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아홉 가지 힘이 있다. 어떤 것이 그 아홉 가지 힘인가? 믿음의 힘[信力]·정진의 힘[精進力]·제 자신에 대해 부끄러워하는 힘[慚力]·다른 사람에 대해 부끄러워하는 힘[愧力]·생각의 힘[念力]·선정의 힘[定力]·지혜의 힘[慧力]·헤아림의 힘[數力]·닦음의 힘[修力]이니라.
부처님께서 이 경을 말씀하시자, 모든 비구들은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하였다.
698. 광설구력경(廣說九力經)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1053 / 2145] 쪽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 때 세존께서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아홉 가지 힘이 있다. 어떤 것이 그 아홉 가지인가? 믿음의 힘·정진의 힘·제 자신에 대해 부끄러워하는 힘·다른 사람에 대해 부끄러워하는 힘·생각의 힘·선정의 힘·지혜의 힘·헤아림의 힘·닦음의 힘이니라.
어떤 것을 믿음의 힘이라고 하는가? 여래에 대해 바르게 믿는 마음을 일으켜 깊히 들어가 견고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앞 경에서 설한 것과 같다.) ……어떤 것을 정진의 힘이라고 하는가? 4정단(正斷)을 말한다.…… (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앞 경에서 설한 것과 같다.) ……어떤 것을 제 자신에 대해 부끄러워하는 힘이라고 하는가? …… (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앞 경에서 설한 것과 같다.) ……어떤 것을 다른 사람에 대해 부끄러워하는 힘이라고 하는가?…… (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앞 경에서 설한 것과 같다.) ……어떤 것을 생각의 힘이라고 하는가? 안의 몸을 몸 그대로 관찰하는 데 머무는 것[內身身觀住]을 말한다.…… (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앞 경에서 설한 것과 같다.) ……어떤 것을 선정의 힘이라고 하는가? 4선정[禪]을 말한다. 어떤 것을 지혜의 힘이라고 하는가? 4성제(聖諦)를 말한다. 어떤 것을 헤아림의 힘이라고 하는가? 거룩한 제자는 혹 한가한 방이나 나무 밑에서 이렇게 공부하나니, '몸과 입으로 짓는 나쁜 행은 현세나 후세에서 반드시 나쁜 과보를 받는다'라고 하는 것이다. …… (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앞 경에서 설한 것과 같다.) ……어떤 것을 닦음의 힘이라고 하는가? 4념처(念處)를 말한다.…… (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앞 경에서 설한 것과 같다.).
부처님께서 이 경을 말씀하시자, 모든 비구들은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하였다.
699. 십력경(十力經)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1054 / 2145] 쪽
그 때 세존께서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열 가지 힘이 있다. 어떤 것이 그 열 가지 힘인가? 자재왕의 힘[自在王者力]·일을 결단하는 대신의 힘[斷事大臣力]·솜씨가 교묘한 기관공의 힘[機關工巧力]·칼을 가진 도둑의 힘[刀劍賊盜力]·원한을 가진 여자의 힘[結恨女人力]·우는 아이의 힘[啼泣嬰兒力]·비방하는 어리석은 이의 힘[毁呰愚人力]·자세하고 명료한 지혜의 힘[審諦黠慧]·출가하여 인욕하는 힘[忍辱出家力]·많이 들어 깊이 생각하는 힘[計數多聞力]이니라.
부처님께서 이 경을 말씀하시자, 모든 비구들은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하였다.
700. 광설십력경(廣說十力經)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 때 세존께서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위의 소경에서 설한 것과 같으며, 다만 그와 다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른바 자재왕의 힘이란, 왕이 자재(自在)로운 위력을 나타내는 것이요, 일을 결단하는 대신의 힘이란, 대신이 일을 결단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것이며, 솜씨가 교묘한 기관공(機關工)의 힘이란 기계를 만드는 사람이 그 교묘한 솜씨를 나타내는 것이요, 칼을 가진 도둑의 힘이란 도둑은 반드시 검(劍)이나 칼 따위의 무기를 가지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며, 원한을 맺는 여자의 힘이란, 여인의 특성상 원한을 맺는 힘을 나타내는 것이다. 우는 아이의 힘이란, 아이의 특성상 우는 힘을 나타내는 것이요, 비방하는 어리석은 이의 힘이란 어리석은 이의 특성상 일에 맞닥뜨리면 비방하는 것을 말하며, 자세하고 명료한 지혜의 힘[이란, 지혜로운 사람은 언제나 자세하고 명료하게 살피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요, 출가하여 인욕하는 힘이란, 출가한 사람이 항상 인욕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며, 많이 듣고 깊이 생각하는 힘이란, 많이 들어 아는 사람이 언제나 생각하고 헤아리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니라.
부처님께서 이 경을 말씀하시자, 모든 비구들은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
[1055 / 2145] 쪽
뻐하며 받들어 행하였다.
701. 여래력경(如來力經) ①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 때 세존께서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열 가지 여래의 힘이 있다. 만일 이 힘을 성취하면 여래·응공·등정각은 과거 부처님의 가장 훌륭한 경계를 얻고, 깨끗한 법륜을 굴려 대중들 가운데에서 사자후(獅子吼)를 외치느니라. 어떤 것이 그 열 가지인가? 여래가 이치에 맞는 것과 이치에 어긋나는 것을 사실 그대로 아는 것이니, 이것을 첫 번째 힘이라고 하느니라. ……(내지)……번뇌가 다한 것을 아는 것이니라.…… (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위의 소경에서 설한 것과 같다.).
부처님께서 이 경을 말씀하시자, 모든 비구들은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하였다.
702. 여래력경 ②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 때 세존께서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위의 소경에서 설한 것과 같으며, 다만 그와 다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만일 누가 와서 여래가 이치에 맞는 것과 이치에 어긋나는 것을 사실 그대로 아는 힘에 대해 물으면 '여래는 이치에 맞는 것과 이치에 어긋나는 것을 사실 그대로 아는 힘으로 알고 보고 깨달은 것과 같이 등정각을 이루었다'라고 그를 위해 말할 것이다. 이와 같이 ……(내지)……번뇌가 다한 것을 아는 힘까지에 대하여서도 앞에서와 같이 말씀해 주셨다.
부처님께서 이 경을 말씀하시자, 모든 비구들은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하였다.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增一아함경, 雜아함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잡아함경-1065-213 (0) | 2017.01.17 |
---|---|
잡아함경-1060-212 (0) | 2017.01.16 |
잡아함경-1050-210 (0) | 2017.01.13 |
잡아함경-1045-209 (0) | 2017.01.11 |
잡아함경-1040-208 (0) | 2017.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