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불교

한국불교(韓國佛敎)

근와(槿瓦) 2014. 4. 1. 00:53

 

한국불교(韓國佛敎)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① 우리 나라에 불교가 처음 들어온 것은 372년(고구려 소수림왕 2) 6월 秦나라의 順道와 阿道가 불경과 불상을 가지고 들어와 肖門寺, 伊弗蘭寺 등을 창건하고 설법을 시작한 것이 그 시초이다. 이들의 설법과

전도를 公許한 고구려에서는 그 후 평양 9寺와 盤龍寺 靈塔 등을 짓는 한편 불교 전파에도 힘써 많은 고

승이 배출되었고, 涅槃宗 · 三論宗 · 天台宗 · 薩婆多宗 등의 종파가 이루어졌다. 義淵은 불교 역사 연구

를 통하여 많은 업적을 남겼고, 惠慈 · 雲聰 · 惠便法師 · 曇徵 · 法定 등은 일본에 불교를 전파하였고,

道琳 · 德昌 · 惠亮 · 信誠 등은 호국불교를 위한 실력배양에 많은 힘을 기울였다.

 

 

② 백제는 384년(침류왕 1) 인도의 승려 摩羅難陀가 동진을 경유하여 입국, 왕의 우대를 받고 궁중에 머물

다가 이듬해 南漢山에 절을 짓고 포교를 시작하였다. 그후 王興寺 · 彌勒寺 · 漢山佛寺 · 景福寺 · 修德

寺 등 많은 사찰이 건조되고 교파도 삼론종 · 계율종 · 成實宗의 세 종파가 성립됨. 그리고 백제불교는

일본과 밀접한 관계를 맺어 많은 고승들이 일본에 건너가 불교 전파에 큰 공헌을 하였으니 그 이름을 들

어 보면, 일본 성실종의 개조가 된 道藏을 위시하여 惠聰 · 道琳 · 惠彌 · 道欣 · 曇慧 · 道寧 · 常輝 · 義

覺 · 放濟 · 多常 등이 있다. 또 백제 멸망 후 그 재건을 위하여 궐기하였던 僧將 · 道深, 인도에 유학하고

귀국 후 율부 72권을 번역한 謙益 등도 유명하다.

 

 

③ 신라는 삼국 중에서 불교가 가장 늦게 전파된 나라로 527년(법흥왕 14) 이차돈의 순교가 있은 후 비로소 공인되었는데 그 후 급속히 발전하여 국가적 종교로 존숭되고 승려와 사원이 국가의 두터운 보호를 받

게 되었다. 많은 구법승이 인도와 당나라에 유학하였고, 그들에 의하여 당나라의 13종(十三宗 : 成實宗

· 三論宗 · 俱舍宗 · 地論宗 · 攝論宗 · 天台宗 · 法相宗 · 涅槃宗 · 念佛宗 · 密宗 · 禪宗 · 華嚴宗 · 律宗)이

도입되어 발전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선종은 독자적인 발달을 이루어 이른바 九山禪門의 분파를 이루

었다. 국가 安泰와 왕실의 번영을 비는 호국불교로서의 신라불교는 사상 · 정치 · 문화 · 외교 · 국민생

활에까지 지대한 영향을 끼쳤을 뿐만 아니라 건축 · 공예 방면에도 찬란한 꽃을 피웠다. 皇龍寺 · 四

天王寺 · 奉聖寺 · 感恩寺 · 奉德寺 · 望德寺 · 法住寺 · 通度寺 · 華嚴寺 · 月精寺 · 浮石寺 · 佛國寺 · 長

安寺 · 海印寺 · 普賢寺 · 梵魚寺 · 雙鷄寺 등의 명찰을 창건하였고, 탑 · 종 · 불상 등의 공예가 발달하여

불국사의 석가탑과 다보탑, 淨惠寺의 13층탑, 화엄사 쌍탑, 감은사 쌍탑, 무량사 탑, 동화사 쌍탑, 금산

사의 석탑 및 6각다보탑, 화엄사 사리탑 등을 비롯하여 석굴암 석불, 황룡사 丈六金像, 봉덕사 종, 금산

사 부도, 감산사의 2불상, 栢栗寺의 약사상, 사천왕사의 사천왕상, 화엄사 석등 등은 귀중한 문화재로서

전승된다. 한편 수 많은 고승이 배출되었으니 원광과 같은 대학승은 세속 5계로 국민도의를 확립하였

고, 자장은 국내의 문물제도를 수립하였으며, 의상은 실천적인 수행과 사찰의 건립을 통하여 화엄의

교리를 널리 펴는 한편 그 문하에 많은 학승을 양성하였고, 원효는 80여 부의 論疏를 지어 불교의 대중

화를 꾀하는 한편 통일불교 창조에 정력을 쏟았다. 의상과 원효는 그 학통이 중국과 일본에 널리 알려졌

으며 한편 원측은 유식설에 통달하여 독특한 견해를 가졌고, 그 때문에 중국의 법상종 정통파로부터는

비난을 받았으나 그의 저술 解深密經疏는 티벳어로 번역되어 전한다. 혜초는 인도에 건너가 佛蹟을 순

례하고 육로로 중앙아시아를 거쳐 귀국한 다음 왕오천축국전을 저술하여 귀중한 자료를 남겼다. 그밖

에 신라 시대의 고승들로는 道證 · 憬興 · 智通 · 表訓 · 明朗 · 勝詮 · 大賢 · 道義 · 信行 · 體澄 · 智證 ·

慧昭 · 玄昱 · 開淸 · 朗空 · 梵日 · 無染 · 圓郞 · 眞鏡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당나라와 일본에

까지 그 이름이 알려졌다고 전해진다.

 

 

④ 고려의 불교는 신라불교를 그대로 계승하는 한편 송나라의 영향 밑에 독자적인 발달을 이루었다. 태조

왕건은 불교를 국교로 정하고 새로 승과를 제정하여 승려를 우대하였다. 연등회 · 팔관회 등을 연중 행

사로 개최하는 등 태조의 숭불정책은 고려 전반에 걸쳐 계승되면서 사상적 지주가 되었다. 당시에 건립

된 사찰로는 개성의 王輪寺 · 法王寺를 비롯한 16 사와 奉恩寺 · 眞觀寺 · 浮石寺 · 觀音寺 · 崇敎寺 · 釋

王寺 · 永明寺 등이 있으며, 공예품으로는 관촉사 석등, 부석사 조사전벽화, 대흥사 종 등 우수한 예술품

이 완성되었다. 특히 문종 연대에는 고려판 8만대장경을 간행하여 우리 나라 불교문화의 대표작을 남겼

다. 고려는 불교를 국교로 삼았음에도 이름난 고승은 그다지 많이 배출되지 못하였다. 그 중에서 觀은

천태종을 재흥시켰고, 대각국사 의천은 문종의 아들로 일찌기 11세때 승려가 되어 송나라에 유학한 후

교장도감을 설치, 속장경 4,740 여권을 간행한 것은 특기할 만하며, 또 그에게는 문하생이 1,000명이 넘

었다고 한다. 그 밖에 중기에 이르러 지눌 · 守其 · 균여, 말기의 나옹 · 보우 · 보조 · 白雲 등은 이름을

떨친 고승들이었다. 고려의 불교종파는 신라의 종파가 계승되었다가 말기에 다소 분파되어 조계종 · 天

台法師宗 · 天台疏子宗 · 華嚴宗 · 摠南宗 · 慈恩宗 · 神印宗 · 南山宗 · 道門宗 · 中神宗 · 始興宗의 11종

이 성립되었으며 그 중에서 화엄 · 자은 · 총남 · 중신 · 시흥의 5종을 5교, 조계 · 천태의 2종을 兩宗이라

하여 5교 양종의 종파를 이루었다.

 

 

⑤ 조선시대에 이르러 조정의 숭유억불 정책으로 인하여 불교는 미증유의 수난기를 맞이하였으니 도첩제

를 실시하는 한편 함부로 僧이 되는 것을 금하고 寺田에도 과세를 하였으며 승려의 궁중 출입과 도성내

출입을 금하였다. 또한 연산군 때는 僧科를 폐지하고 삼각산의 여러 절의 승려를 몰아내어 그곳을 놀이

터로 삼았으며 圓覺寺의 불상을 옮기고 그 곳을 妓館으로 삼는가 하면 禪宗의 본산인 德興 · 興天 두 절

을 없애고 여승은 궁중의 奴婢로 삼고 승려들도 모두 환속시켰다.

중종은 경주의 동불상을 녹여 병기를 만들고 원각사를 헐어 그 재목은 민가를 짓는 데 나누어 주었다.

그러나 이러한 강압에도 불구하고 불교신앙 자체를 말살하지는 못하였으며, 특히 상류층 부인의 신앙

을 저지하기는 어려웠다. 더구나 역대 왕 중에는 호법왕도 있었으니, 태조는 석왕사 · 태고사 · 해인사

등에 碑板을 하사하였고, 세종 · 세조 때는 간경도감을 설치, 불경을 간행하였다. 특히 세종은 불교 종파

의 정비를 단행하여 조계 · 천태 · 총남의 3종을 선종으로, 화엄· 자은 · 시흥 · 중신의 4종을 교종으로

통합하여 선 ·교 양종을 성립시켰다. 이름 높은 명승도 많이 배출되어 무학 · 함허 · 보우 등과 임진왜란

때의 승장 서산 · 사명 · 처영 · 영사 등은 특히 유명하다.

 

 

⑥ 그 후 한국불교는 일제시대를 맞이하여 이른바 사찰령에 따라 31개 본사와 1,200개의 말사로 구분되었고, 3 · 1 운동 때는 많은 승려가 가담하였으며, 한용운 · 백용성 등은 33인의 한 사람이 되었다. 해방 후 전국불교대회를 열어 교구제를 정하고 중앙에는 총무원, 각 도에는 교무원을 설치, 종헌에 따라 조직을 강화하였다.

 

6.25 사변 후에는 파괴된 100여 사찰을 수축하는 한편 불교의 대중화 운동을 전개하였고, 또한 고아원의 설립, 동국대학교, 해인대학, 경기대학과 海東 · 能仁 등 10여 고등학교 및 20여개의 중학교를 운영, 문화사업에도 기여하고 있다.

 

1954년 이래 비구 · 대처 두 파의 분쟁으로 분열되었으나 62년 당시 문교부장관의 주선으로 재통합되기도 하였으나 다시 분열되었다. 현재(1990년) 문교부에 등록된 종파는 조계종을 위시하여 태고종 · 법화종 · 미륵종 · 법상종 · 보문종 · 일승종 · 용화종 · 불입종 · 원효종 · 천태종 · 화엄종 · 정토종 · 진각종 · 총화종 · 진언종 · 천화불교 · 한국불교법화종 등 18개 종파가 있다. 법인체로는 재단법인 15개, 사단법인 10개, 그 밖에 신도단체 10개가 등록되어 있다. 사찰수만 해도 5,700여개소나 되며, 승려가 2만여명, 신도수 1,600만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정기간행물 30여 종이 있다.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한국불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교미술(佛敎美術)  (0) 2016.01.12
불교문학(佛敎文學)  (0) 2016.01.12
불교가사(佛敎歌辭)   (0) 2016.01.12
불교음악(佛敎音樂)  (0) 2016.01.12
신라불교(新羅佛敎)  (0) 2016.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