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심의 다른 이름(眞心異名)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질문) 이미 바른 믿음은 내었지만 무엇을 참 마음(眞心)이라 하는가?
(대답) 허망을 떠난 것이 참이고, 신령스레 밝은 것이 마음이다. <능엄경>에 이 마음을 밝혀 놓았다.
(질문) 진심이라고만 하는가 따로 다른 이름이 있는가?
(대답) 부처님의 가르침과 조사의 가르침에서 내세우는 이름은 같지 않다. 부처님의 가르침에서는 보살계(菩薩戒)에 마음의 땅(心地)이라 했으니 온갖 선을 내기 때문이고,
<반야경>에서는 보리(菩提)라고 했으니 깨달음의 체(體)가 되기 때문이다. 또 <화엄경>에서는 법계(法界)라 했으니 서로 깊이 미치고 통하여 거두기 때문이고,
<금강경>에서는 여래(如來)라고 했으니 온 곳이 없기 때문이며,
<반야경>에서는 열반(涅槃)이라 했으니 모든 성인들이 돌아가는 곳이기 때문이다.
또 <금광명경(金光明經)>에서는 여여(如如)라 했으니 진실하고 영원하여 변하지 않기 때문이고,
<정명경(淨名經)>에서는 법신(法身)이라 했으니 보신(報身)과 화신(化身)이 의지하기 때문이며,
<기신론>에서는 진여(眞如)라고 했으니 생멸이 없기 때문이고,
<열반경>에서는 불성(佛性)이라 했으니 삼신(三身)의 본체이기 때문이다.
<원각경>에서는 총지(總持)라 했으니 공덕을 유출하기 때문이고,
<승만경(勝鬘經)>에서는 여래장(如來藏)이라 했으니 숨겨 놓고 포용하기 때문이며,
<요의경(了義經)>에서는 원각(圓覺)이라 했으니 어둠을 깨뜨리고 밝게 비추기 때문이다.
이런 연유로 연수(延壽) 선사는 그의 <유심결(唯心訣)>에서 말하였다.
'한 법이 천 가지 이름을 가진 것은 인연에 따라 이름을 지었기 때문이다.'
여러 경전에 갖추어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더 인용하지 않겠다.
(질문) 부처님의 가르침은 알았지만, 조사의 가르침은 또 어떠한가?
(대답) 조사의 문하에는 이름과 말이 끊어져 한 이름도 세우지 않는데 무슨 이름이 따로 있겠는가. 하지만 근기(根機)에 따라 그 이름도 여러가지다. 어느 때는 자기(自己)라 했으니 중생의 본성이기 때문이고,
어느 때는 바른 눈(正眼)이라 했으니 여러가지 모양을 비쳐보기 때문이며, 때로는 오묘한 마음(妙心)이라 했으니 텅비고 신령스러워 고요하게 비추기 때문이다.
어느 때는 또 주인옹(主人翁)이라 했으니 종래도 짐을 졌기 때문이고,
때로는 밑 없는 발우(無底鉢)라 했으니 어디서나 살기 때문이며,
때로는 줄 없는 거문고(没絃琴)라 했으니 지금 바로(今時) 소리가 나기 때문이다.
때로는 꺼지지 않는 등불(無盡燈)이라 했으니 어리석은 생각을 비추어 깨뜨리기 때문이고,
때로는 뿌리 없는 나무(無根樹)라 했으니 뿌리와 줄기가 견고하기 때문이며,
때로는 취모검(吹毛劒)이라 했으니 대상과 감관(塵根)을 끊기 때문이고,
때로는 함이 없는 나라(無爲國)라고 했으니 바다가 고요하고 강물이 맑기 때문이며,
때로는 보배구슬(摩尼珠)이라 했으니 가난을 구제하기 때문이고,
때로는 열쇠 없는 자물통(無鑐鎖)이라 했으니 여섯 감관(六情)을 잠그기 때문이다.
또는 진흙소(泥牛), 나무말(木馬), 마음의 근원(心源), 마음의 도장(心印), 마음의 거울(心鏡), 마음의 달(心月), 마음의 구슬(心珠)이라 했으니, 갖가지 다른 이름을 여기에 다 기록할 수 없다.
진심을 통달하면 모든 이름을 다 알 수 있고, 이 진심에 어두우면 그 어떤 이름에도 죄다 막힐 것이다. 그러므로 진심에 대해서 간절하고 자세히 알아야 한다.
출전 : 밖에서 찾지 말라(眞心直說)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보조국사(普照國師,지눌,僧)'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심의 오묘한 작용(眞心妙用) (0) | 2015.11.10 |
---|---|
진심의 오묘한 실체(眞心妙體) (0) | 2015.11.05 |
머리말(自序,眞心直說) (0) | 2015.10.24 |
정혜결사문을 반포하게 된 연유 (0) | 2015.10.18 |
진심의 바른 마음(眞心正信, 眞心直說) (0) | 2015.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