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효사교(元曉四敎) 원효사교(元曉四敎)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우리나라의 元曉가 석존의 一代時敎를 四敎로 판별한 것. (1) 三乘別敎. 四諦, 12인연등의 원시불교의 교리를 說한 經敎. (2) 三乘通敎. 般若經 · 深密經등 소승과 대승에 함께 통하는 經敎. (3) 一乘分敎. 梵網經 · 瓔珞經과.. 교법(敎法) 2015.12.20
돈교(頓敎) 돈교(頓敎)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① 설법의 내용상으로 보아 오랫 동안 수행해서 뒤에 깨달음에 도달하는 교법을 漸敎라고 하고, 빨리 佛果를 깨달아 얻는 교법을 頓敎라고 한다. 혹은 순서를 밟아서 점진적으로 證果에 이르는 교법을 점교라고 하며, 한번에 곧바.. 교법(敎法) 2015.12.12
대장경(大藏經) 대장경(大藏經)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一切經·藏經·一代藏經·大藏이라고도 한다. 經律論의 三藏이나 여러 高僧의 著書등을 모아서 만든 불교성전. 범어 원전의 대장경은 오늘 완전한 형태로 남아 있지 않지만 巴利語의 원전과, 주로 범어로부터 譯出한 漢譯·.. 교법(敎法) 2015.11.28
진실불허(眞實不虛) 진실불허(眞實不虛)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佛說은 虛妄이 없음을 말함.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교법(敎法) 2015.10.31
십이부경(十二部經) 십이부경(十二部經)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十二分敎 · 十二分聖敎 · 十二分經이라고도 한다. 경전의 형태를 형식 · 내용에 따라 12종으로 구분한 것. 곧 修多羅(經) · 祇夜(重頌) · 和伽羅那(授記) · 伽陀(孤起頌) · 優陀那(無問自說) · 尼陀那(因緣) · 阿波陀那(臂喩) · 伊帝曰.. 교법(敎法) 2015.10.08
삼장(三藏) 삼장(三藏)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藏은 범어 pitika의 번역으로, 容器 · 穀倉 · 籠 · 諳記된 것 등의 뜻. 三藏이라 함은 經藏 · 律藏 · 論藏의 셋으로 佛敎聖典을 이 3類로 나누어 모았다는 뜻으로부터 불교성전을 총칭하여 3藏 또는 3法藏이라 한다. 大衆部 등에서는 여기에 雜.. 교법(敎法) 2015.10.08
운문대일설(雲門對一設) 운문대일설(雲門對一設)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어느 날 한 승려가 雲門에게 "부처님의 가르침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본래 이 一代時敎(부처님 일대의 갖가지 가르침)란 뭡니까? 진리는 하나일 텐데, 다섯이다 여덟이다 하고 분류(五時八敎)하는 건 어째섭니까?"하고 물었다. 운문은 ".. 교법(敎法) 2015.10.08
교법(敎法) 교법(敎法)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부처님이 說한 一生一代의 敎說. 곧 三藏十二部. 大小乘의 大藏經 일체를 일컫는 말. 참고 三 藏 : 經藏 · 律藏 · 論藏의 셋. 十二部 : 경전의 형태를 형식 · 내용에 따라 12종으로 구분한 것. ① 經 ② 重頌 ③ 授記 ④ 孤起頌 ⑤ 無問自說 ⑥ 因緣 ⑦ .. 교법(敎法) 2015.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