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장(三藏)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藏은 범어 pitika의 번역으로, 容器 · 穀倉 · 籠 · 諳記된 것 등의 뜻. 三藏이라 함은 經藏 · 律藏 · 論藏의 셋으로 佛敎聖典을 이 3類로 나누어 모았다는 뜻으로부터 불교성전을 총칭하여 3藏 또는 3法藏이라 한다.
大衆部 등에서는 여기에 雜藏(本生因緣등)을 더하고, 또 犢子部에서는 呪藏(眞言 · 陀羅尼)을 더해서 4藏을 세우며, 法藏部에서는 呪藏과 菩薩藏을, 大衆部의 1說에서는 雜集藏과 禁呪藏을, 成實論에서는 雜藏과 菩薩藏을, 六波羅蜜經에서는 般若波羅蜜多藏과 陀羅尼藏을 더하여 5藏을 세웠다. 또 經藏 · 律藏의 2, 聲聞藏 · 菩薩藏의 2를 2藏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이 중 經藏은 범어 sutranta-p의 번역으로, 素怛纜藏 · 修多羅藏이라 音譯하고, 契經藏이라고도 번역하며, 불타의 敎說의 要義인 經의 部類에 속하는 것을 말한다.
또 律藏은 범어 vinaya-p의 번역으로 毘奈耶藏 · 毘尼藏이라 音譯하고, 調伏藏이라고도 번역하며, 부처가 제정하신 교단의 생활규칙, 곧 律의 部類를 가리킨다.
論藏은 범어 abhidha=rma-p의 번역으로, 阿毘達磨藏 · 阿毘曇藏이라 音譯하며, 對法藏이라고도 번역하고, 불타의 敎說을 다시 발전시켜 논리적으로 조직하고 체계화하여 論議해석한 阿毘達磨 곧 論에 속하는 것을 말한다. 또 論藏은 論部라고도 하고, 또 摩咀理迦(摩得勒伽, 범어 matrka 本母라 번역함), 優波提舍(범어 upadesa 論議라 번역함)라고도 하며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 3藏을 3學에 배대해서, 經은 定, 律은 戒, 論은 慧의 學을 특히 나타내기도 하고, 또 三藏이 각각 3學을 나타낸다고도, 혹은 經은 戒 · 定 · 慧, 律은 戒 · 定, 論은 慧를 나타낸다고도 한다. 그밖의 여러 가지 점에서 3藏의 구별을 세운다.
원래 이 3藏은 원시불교, 部派佛敎(후에 소승이라 불리우는 것)의 聖典을 가리키는 말이었기 때문에, 小乘을 三藏敎(藏敎)라고도 하는데, 뒤에는 大乘에서도 이 말씀으로부터 3藏에 下乘(聲聞)과 上乘(보살)의 구별이 있게 되었기 때문에 합하여 六藏이 된다고도 하기에 이르렀다.
② 經에 의해서 宗旨를 세운 眞言宗이나 화엄종이나 정토종을 經宗, 律에 의해서 宗旨를 세운 律宗을 律宗, 論에 의해서 宗旨를 세운 俱舍宗이나 成實宗이나 三論宗 등을 論宗이라고 한다. 이에 대해서 經宗 · 論宗 · 釋宗을 並列해야 된다고도 한다.
3藏에 정통한 사람을 經師 · 律師 · 論師라고 한다. 또 論을 지어서 불교를 넓힌 사람을 論主, 論師라고 한다. 3藏에 정통한 法師를 3藏法師, 3藏比丘, 3藏聖師 또는 다만 3藏이라 하고, 변하여 중국에서는 3藏을 번역한 사람을 3藏이라 했다. 에컨대 玄奘三藏 · 眞諦三藏등.
③ 聲聞 · 緣覺 · 보살의 3乘을 위한 敎法을 각기 聲聞藏 · 緣覺藏 · 菩薩藏이라 하고, 합하여 3藏이라고 한다.
④ 일본의 淨土宗의 일파인 眞宗에서는, 淨土의 3部經에 說해져 있는 敎(法門)를 <敎行信證>에 의거하여 각기 福智藏 · 福德藏 · 功德藏이라 이름한다. 福智藏이라 함은 福智(福德과 지혜)의 2莊嚴을 원만히 성취하고 있다는 뜻이며, 곧 나무아미타불의 名號를 稱念함을 가리키고, 따라서 大無量壽經에 說한 弘願眞實의 제18願을 開顯한 敎를 말한다. 福德藏이라 함은 觀無量壽經에 說한 定散의 諸行으로, 제19願을 開顯한 要門의 方便敎를 말하며, 功德藏이란 아미타경에 說한 自力廻向의 名號이고, 제20願을 開顯한 眞門의 方便敎를 말한다.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교법(敎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장경(大藏經) (0) | 2015.11.28 |
---|---|
진실불허(眞實不虛) (0) | 2015.10.31 |
십이부경(十二部經) (0) | 2015.10.08 |
운문대일설(雲門對一設) (0) | 2015.10.08 |
교법(敎法) (0) | 2015.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