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눌(知訥) 지눌(知訥)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158~1210) 고려 승려. 호는 牧牛子. 속성은 鄭씨. 황해도 서흥 사람. 8세에 宗暉에게 의지하였다가 출가하고 구족계를 받았으나 일정한 스승이 없이 도를 구하다. 1182년에 僧選에 뽑히고, 육조단경을 보다가 스스로 깨달은 바가 있었고, 1185년 보문사에서.. 僧(스님) 2015.09.13
무학대사(無學大師) 무학대사(無學大師)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이름은 自超. 성은 朴씨. 호는 無學. 고려 忠肅王 13(1327)년 丁卯에 출생하다. 三岐郡 사람. 18세에 출가, 小止선사에게서 머리를 깎고 승려가 되었다. 龍門山 慧明국사에게 불법을 배운 후, 묘향산 金剛窟 등을 찾아서 수도 하였다. 고려 공민왕 .. 僧(스님) 2015.09.09
나옹(懶翁) 나옹(懶翁)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320~76) 고려시대 승려. 이름은 元惠, 호는 나옹, 법명은 惠勤, 당호는 江月軒, 속성은 牙로 寧海 사람이다. 고려 공민왕 때 왕사. 20세 때 이웃 동무가 죽는 것을 보고, 죽으면 어디로 가느냐고 어른들에게 물었으나, 아는 이가 없으므로 비통한 생각을 .. 僧(스님) 2015.09.09
무상(無相,僧) 무상(無相,僧)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신라 승려. 호는 松溪. 성덕왕 때에 郡南寺에서 승려되고, 성덕왕 27년 당나라로 가서 禪定寺에서 지내다가, 후에 蜀 땅으로 가 資中에서 智詵을 만나고, 處寂에게서 無相이란 이름을 얻다. 그 후 756년 77세로 입적할 때까지 좌선하고 두타행을 하며,.. 僧(스님) 2015.08.29
유정(惟政) 유정(惟政)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1544~1610) 조선 승려. 자는 離幻. 호는 松雲. 또는 四溟. 속성은 任씨. 밀양에서 출생. 13세에 孟子를 읽다가 출세할 뜻을 품었고, 뒤에 황악산 직지사 信黙에게 승려가 되다. 18세에 禪科에 급제. 32세에 선종의 주지가 되었으나 굳이 사양. 묘향산에서 .. 僧(스님) 2015.02.26
의상(義湘) 의상(義湘)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625~702) 신라 승려. 속성은 김씨. 20세에 황복사에서 승려가 되다. 신라 중기의 고승으로 화엄종의 시조이다. 진덕왕 4(650)년 원효와 함께 당나라에 가려고 요동까지 가서, 원효는 무덤 사이에서 자다가 해골에 고인 물을 먹고 唯心의 도리를 깨달아 먼저.. 僧(스님) 2015.01.21
원효(元曉) 원효(元曉)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617~686) 신라 말기의 고승. 속성은 薛씨. 이름은 誓幢. 仍皮公의 손자. 談㮈乃末의 아들. 그의 어머니가 꿈에 유성이 품 속에 드는 것을 보고 원효스님을 배었으며, 만삭이 된 몸으로 押梁郡의 南佛地村 栗谷 마을을 지나다가 사라수 아래에 이르러 .. 僧(스님) 2014.12.30
경허(鏡虛) 경허(鏡虛)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조선조 말기 승려(1875~1939). 근세 禪宗을 개척함. 성은 宋씨. 이름은 惺牛. 법호는 鏡虛. 전주 태생으로 9세에 桂虛화상에게 득도하고, 동학사 萬化화상에게 경을 배우다. 32세에 天藏庵에서 龍岩선사의 법을 잇고, 開心寺 ․ 海印寺 ․ 梵魚寺 ․.. 僧(스님) 2014.12.15
휴정(休靜) 휴정(休靜)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1520~1604) 이조 선조 때의 승려. 휴정은 법명. 속성은 崔씨. 자는 玄應, 호는 淸虛 · 西山, 본관은 完山. 평안도 安州에서 9세에 어머니를 그리고 10세에 아버지를 잃고 고아가 되었다. 안주목사를 따라 서울에 올라와 泮齋에서 공부.. 僧(스님) 2014.03.30
영재(永才) 영재(永才) 신라 승려로 원성왕 때 스님. 성품이 익살궂고 物累가 없고 鄕歌를 잘하였다. 늦게 南岳에 가려고 대현령을 넘다가 도적 60명을 만났다. 도적이 목에 칼을 대어도 두려운 기색이 없이 태연하였다. 도적이 이상하게 생각하고, 이름을 물으매 영재라고 대답하자 그들은 익히 들었.. 僧(스님) 2014.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