僧(스님)

유정(惟政)

근와(槿瓦) 2015. 2. 26. 01:25

유정(惟政)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1544~1610) 조선 승려. 자는 離幻. 호는 松雲. 또는 四溟. 속성은 任씨. 밀양에서 출생. 13세에 孟子를 읽다가 출세할 뜻을 품었고, 뒤에 황악산 직지사 信黙에게 승려가 되다. 18세에 禪科에 급제. 32세에 선종의 주지가 되었으나 굳이 사양. 묘향산에서 청허의 정법을 받다. 금강산 보덕사에서 3년을 지내고, 또 청량산 · 팔공산 · 태백산으로 다녔다. 43세에 옥천산 상동암에서 하룻밤 소낙비에 뜰에 있는 꽃이 떨어지는 것을 보고 무상을 절실히 깨달아 문도들을 보내고 오랫동안 참선. 46세에 오대산 영감란야에 있다가 逆獄에 그릇 걸렸으나 무죄 석방. 이듬해 금강산에서 3년을 지내다.

 

1592년 왜구가 침입함에 의병을 모집. 順安에 가서 청허의 휘하에서 활약. 청허가 늙어서 물러난 뒤 승군을 통솔하여 명나라 장수와 협력하여 평양을 회복하다. 권율을 따라 영남 의령에 주둔하였다. 1594년에는 명나라 총병 劉綎과 의논하여 왜장 청정을 울산 진중으로 세 번 방문. 왜적의 뱃 속을 송두리째 뽑아 보았다. 그때 청정이「조선에 보배가 있는가?」하니 스님이 「없다. 보배는 일본에 있다.」하였다. 청정이「웬말인가?」스님이「지금 우리 나라에서 당신의 머리를 보배로 생각하고 현상하였으니 보배가 일본에 있는 것 아닌가?」하니, 청정은 놀라 찬탄하였다.

 

선조께서 스님을 대궐로 불러서 보고 평생의 일을 묻고「지금 국세가 이러하니 대사가 만일 퇴속한다면 百里의 책임을 맡기고 3군을 통솔하게 하리다.」하니 스님은 사양하고 영남으로 돌아가서 용기산성 · 팔공산성 · 금오산성 등을 쌓고 양곡과 무기를 저축한 후 印信과 戰馬를 도로 바치고 산으로 물러가기를 청하였으나 조정에서 허락지 아니하다. 1597년 명장 麻貴를 따라 울산의 도산에 이르고, 이듬 해 또 劉綎을 따라 순천의 曳橋에 이르러 큰 공을 세웠다. 1604년 國書를 받들고 일본에 가서 德川家康을 보고「두 나라 백성들이 오랫동안의 전란에 시달렸으매 내가 그 고난을 구제하러 왔노라」하였다. 덕천가강도 신심을 내어 부처님같이 대우하여 강화를 맺고 포로되어 갔던 사람 3500명을 찾아 데리고 이듬해 돌아오다.

 

선조는 가상히 여겨 嘉義大夫를 시키고 御馬와 紵絲表裏를 하사하였다. 그때는 청허가 입적한 이듬해여서 스님이 묘향산에 가서 상례를 치르고, 1607년 치악산으로 갔다가 선조의 부고를 듣고 서울에 와서 배곡. 후에 병이 나서 해인사로 갔다가 광해주 2년 8월 26일 입적하다. 시호는 慈通弘濟尊者라 하였다. 해인사에 홍제존자비가 있다. 저서로는 奮忠紓難錄 · 사명집 등이 있다.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僧(스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옹(懶翁)   (0) 2015.09.09
무상(無相,僧)   (0) 2015.08.29
의상(義湘)   (0) 2015.01.21
원효(元曉)  (0) 2014.12.30
경허(鏡虛)  (0) 2014.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