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도(血塗)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三途의 하나. 축생도의 다른 이름. 축생들은 서로 잡아 먹으며 피를 흘리므로 이렇게 부른다.
참고
삼도(三途) : 三塗라고도 하며, 火塗·刀塗·血塗의 셋을 말한다. 곧 지옥·아귀·축생을 말함.
축생도(畜生道) : 六道의 하나. 축생의 業因을 가진 사람이 죽어서 태어나는 짐승의 道. 道는 因이란 뜻으로 곧 業因을 가리키며 畜生趣와 같은 말.
도도(刀塗) : 三途의 하나. 아귀도(餓鬼道)의 다른 이름. 명성(名聲) 등을 추구하는 것이라고 알려졌음.
화도(火塗) : 三途의 하나. 地獄道의 별명.
육도(六道) : 六趣라고도 한다. 중생이 邪執 · 謬見 · 煩惱 · 善(有漏) · 惡業 등으로 인하여 죽어서 머무르는 장소를 여섯 가지로 나누어 가리키는 것. 즉 地獄道 · 餓鬼道 · 畜生道 · 修羅道 · 人間道 · 天道. 이것은 色界 · 欲界 · 無色界의 三界와 함께 중생이 윤회전생하는 범위로 인정된다. 6도 가운데 앞의 3을 3惡道, 뒤의 3을 3善道라고 하는 說도 있다. 중국 · 한국 등에서는 6도의 說이 널리 쓰이고 있다.
방생(傍生) : 누운 것. 生은 생물이란 뜻이니 곧 몸을 가로 눕히고 다니는 축생을 말함.
도(道) : 범어 marga의 번역으로 末伽라고 음역하며 목적지에 이르게 하는 通路. 밟아 행해야 할 길(軌路)을 뜻하는 말이다. 俱舍論卷二十五에는, 道라 함은 涅槃(깨달음)으로 가는 길이고 열반의 果를 얻기 위해 마땅히 의지할 바라고 했다. 이와 같이 道는 주로 불교의 궁극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행의 법칙을 의미한다. 또 널리 果에 이르게 하는 通路의 뜻도 있다.
예컨대 智度論卷八十四에는, 人天 · 聲聞 · 연각 · 보살의 4종의 道가 있다. 사람이나 하늘은 十善이나 布施를 道로 하여 세간적인 福樂을 구하고, 二乘은 三十七道品을 道로 하여 열반을 구하고, 보살은 삼십칠도품이나 六波羅蜜을 道로 하여 佛果를 구한다고 했다.
이상과 같은 의미의 道와는 달리 惑 · 業 · 苦를 三道라고도 하는데 이때의 惑은 業을, 業은 苦를, 苦는 惑을 가져오는 通路로서, 이 三者는 서로 바퀴와 같이 돌아가기 때문에 붙인 이름이다. 三惡道 · 五道 · 六道라고 할 때의 道는 善惡의 業에 의해 지옥 등의 果로 들어가는 통로가 되는 道며, 그것은 應報가 業을 따라 각각 다르고 순환하는 道인 것이다. 또 菩提(깨달음의 지혜)를 道로 번역하는 수가 있기 때문에, 구별하여 菩提를 果道라 하며 그 이전의 道를 因道라 부르기도 한다.
① 열반에 이르기 위하여 번뇌를 制伏하거나 혹은 이것을 끊는 道가운데에 有漏道와 無漏道의 二道가 있다. 유루도는 世間道 · 世俗道라고도 하며, 앞에서의 人天의 道도 이에 해당된다. 또 三界 · 九地 가운데 有頂地를 제외한 下八地의 修惑을 끊기 위한 見道의 前에 加行位(加行道라고도 함)에서 유루지를 가지고 六行觀을 닦는 것도 이에 해당된다. 구사종에서는 이와 같이 유루도에 있어서도 번뇌를 끊을 수가 있다고(有漏斷)하여 유루도도 斷道라고도 하나, 유식종에서는 유루도는 번뇌의 現行을 조복하는 번뇌의 種子까지도 끊을 수 없다고 하며, 이것을 伏道(能伏道)라고 한다. 무루도는 出世間道 · 聖道라고도 하며 未至 · 中間 · 四根本 · 下三無色의 九地를 所依로 하여, 무루지에 의해서 번뇌를 끊는(無漏斷)道로서, 유식종에서는 이것을 斷道에서도 伏道라고 한다. 여기 斷道란 能斷道의 뜻으로서 對治道 · 能治道라고도 한다. 이 유루 · 무루의 道를 見 · 修 · 無學의 三道에 配對하면, 見道와 無學道는 반드시 무루도로서, 修道에는 무루도도 유루도도 있다.
② 번뇌를 끊어서 해탈의 진리를 증득하는 과정을 구사종이나 유식종에서는 四道(四種道)로 나눈다.
(1) 加行道. 方便道라고도 하며, 번뇌를 끊기 위한 준비적 실천(가행위를 다시 가행도라고도 부르는 것과는 다르다).
(2) 無間道. 無礙道라고도 하며, 바로 번뇌를 끊는 道로서 앞에 말한바와 같이 斷道란 것이다. 이 道의 直後(곧 無間)에 번뇌가 끊어졌으므로 無間隔의 의미로 無間이라 한다.
(3) 解脫道. 번뇌를 끊어서 해탈의 진리를 증득하는 道.
(4) 勝進道. 勝道라고도 하며, 다시 나아가서 다른 이의 번뇌를 끊기 위하여(이 때는 승진도는 다음의 번뇌를 끊기 위한 가행도가 된다), 혹은 만족해서 이미 끊어진 것을 觀察하는 道.
③ 기타 敎道 · 證道, 難行道 · 易行道라고 하는 熟語가 있으나, 또한 聖道 또는 無上道(佛의 悟道)를 得하는 것을 得道(得度)라 하고, 禪宗에서는 道를 辦別하는 뜻으로 참선해서 心眼을 여는 것을 辦道라고 한다.
④ 또 菩提의 번역이다.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생상(衆生相) (0) | 2018.08.18 |
---|---|
종자부정(種子不淨) (0) | 2018.08.17 |
정인연(正因緣) (0) | 2018.08.17 |
하종(下種) (0) | 2018.08.16 |
한 생각의 지혜와 상응(대보적경-3185-637) (0) | 2018.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