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식(舌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六識의 하나. 혀에 의해 온갖 맛을 분별하는 心識. 곧 味覺을 말함.
참고
설(舌) : 舌根. 六根의 하나. 혀는 맛을 알고 말을 발음하는 근본이 되므로 舌根이라 한다.
육식(六識) : 六境을 知覺하는 眼識·耳識·鼻識·舌識·身識·意識의 총칭. 八識에 대해 말할 경우에는 이것을 前六識이라 하고 그 體에 대해서 俱舍·唯識論에서는 體別이라 하고 成實論에서는 體一이라 한다. 欲界엔 前六識이 있지만 色界初禪에는 眼·耳·身·意의 넷, 제 2禪으로부터 有頂天까지는 意識만 있다 한다. 제 6意識의 略.
육경(六境) : 五官 또는 그 기능을 五根이라고 하고, 五根에 意根(마음, 十二處에서는 意處라고 한다)을 더하여 六根이라 하며, 六根의 對境을 六境이라고 한다. 곧 眼根·耳根·鼻根·舌根·身根·意根의 각기 色境·聲境·香境·味境·觸境·法境의 6 이다. 六境은 六塵이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티끌과 같이 마음을 더럽히기 때문이다. 俱舍論 권一에 의하면,
색경(色境)에는, 靑·黃·赤·白·雲·烟·塵·霧·影·光·明·闇의 十二顯色 곧「빛」과, 長·短·方·圓·高·下·正·不正의 八形色 곧「形」이 있다.
성경(聲境)에는, 生物의 몸에서 내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이 있어, 그 각각에 事物의 理를 표시하는 의미가 있는 言語와 拍手·哭聲·管絃의 音·雷鳴 등의 言語가 아닌 소리가 있다. 이들의 각기에 快한 소리와 불쾌한 소리를 나누어서 8종으로 한다.
향경(香境)에는, 沈香과 같은 好香과 葱·韮와 같은 惡香이 있어, 그 각각에 알맞은 좋은 향기와, 지나치게 강렬한 등의 4종으로 나눈다.
미경(味境)에는, 苦·酢·鹹·辛·甘·淡의 6종이 있고,
촉경(觸境)에는, 堅·濕·煗·動의 四大에 滑·澁·重·輕·冷·饑·渴을 더하여 11종이 된다.
법경(法境)은 널리 이야기하면 일체법을 포함하고, 좁게 말하면 五境을 除한 남은 모든 것을 포함한다. 곧 意根·意識은 六境의 전체에 향해 작용하는데, 특히 意根·意識만이 향하여 작용하는 대상을 法境이라 하고, 十二處중에서는 이것을 法處라고 한다. 有部에서는 無表色·心所·不相應行·無爲를 포함한다고 한다.
미(味) : 범어 rasa의 번역. 감각기관 또는 감각기능(五根)에 의해 알 수 있는 대상(즉 五境)의 하나. 舌根으로 맛을 볼 수 있는 맛, 味覺의 대상을 말한다. 또 十二處·十八界의 하나. 흔히 이것을 甘·醋(초)[酢(초)·酸(산)·신맛)·鹹(함)·辛·苦·淡의 六味로 나눈다(俱舍論卷一). 六味에 澁(삽)·不了를 더하여 八味로도 하고, 六味에서 淡을 빼고 五味라고도 한다. 常·恒·安·淸淨·不老·不死·無垢·快樂의 八味라고도 하며, 또 八功德水를 八味水라고도 한다. 北本涅槃經 卷第十四에는 부처님 敎說에 廣說로부터 略에 이르는 五段階가 있는 것은 우유를 정제하여 酪 등을 만드는 차례에 비유하여 乳·酪·生酥·熟酥·醍醐의 五味가 있음과 같다고 했다. 천태종에서는 釋尊一代敎說을 그 說한 時期上으로부터 五時로 나누어 五味를 가지고 五時를 설파했다고 한다.
심식(心識) : 小乘의 俱舍에서는 心과 識을 同體異名이라고 보지만, 大乘의 唯識宗에서는 그것을 別體로 보았다. 곧 唯識에서는 제8識을 心, 前5識과 제6意識은 識이라 한다.
식(識) : 毘闍那 · 毘若南이라 音譯하며, 外境을 識別 · 了別 · 인식하는 작용. 곧 마음의 작용을 가리켜 붙인 이름이며, 外境에 대해 內識이라고도 한다. 唯識宗에서는 外境을 識別하고 了別하는 것은 識의 外境으로서 顯現하는 것에 불과하지만 이러한 위치에 있는 識을 表識 · 記識이라 한다.
① 大乘 · 小乘이 한결같이 六識을 주장한다. 六識이란 眼 · 耳 · 鼻 · 舌 · 身 · 意의 6根을 따라서 色 · 聲 · 香 · 味 · 觸 · 法의 6境에 대해 見 · 聞 · 嗅 · 味 · 觸 · 知의 了別작용을 하는 眼識 · 耳識 · 鼻識 · 舌識 · 身識 · 意識의 여섯가지 心識을 말한다. 이것을 六窓一猿의 비유로서 六識의 體는 하나이지만 그 작용하는 出入門이 여섯이라고 했다. 생각컨대 六識說은 원시적인 뜻을 전하고 있다고 보며, 六識중에서 제 6의 意識을 제 六識이라고도 하며, 후세에 와서 여기에 六識 · 意識 · 分別事識 · 四住識 · 攀緣識 · 巡舊識 · 波浪識 · 人我識 · 煩惱障識 · 分段死識 등 10가지 이름을 붙여 이것을 六識十名이라고 했다. (宗鏡錄)
② 法相宗에서는 6識에 末那識과 阿梨(賴)耶識을 더하여 8識을 주장한다. 8識중 眼識에서 身識까지의 5識을 일괄하여 前五識, 제 6識까지는 前六識 · 제 7末那識까지를 前7識이라 한다. 前7識은 阿賴耶識을 所依로 하고 각각 境을 緣으로 하여 轉起되었다는 뜻에서 七轉識 또는 轉識이라 한다. 또 前六識은 대상을 식별하는 작용이 현저한 識이므로 了別境識, 제 7末那識은 思量識, 제 8阿賴耶識은 異熟識이라 한다. 護法의 唯識說에서는, 8식중 제 6意識과 제 7末那識은 대상을 〈我다〉〈法이다〉라고 허망하게 집착하는 遍計의 뜻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것을 六 · 七能遍計라고 한다. 前五識과 제 8阿賴耶識은 我 · 法에 집착하지 않으므로 이것을 五 · 八無執이라 한다. 인도의 無相唯識派에서는 八식의 體性이 동일하다 하여 八識體一을 주장하지만 有相唯識派와 法相宗에서 體性이 각기 다르다고 하여서 八識體別의 說을 주장한다. 그렇지만 二識 내지 八識이 동시에 같이 일어나고 동시에 轉起한다고 한다. 이것을 八識俱轉하여 小乘에서는 2識이 동시에 같이 일어나는 것을 용납하지 않는 것과 다르다.
③ 眞諦를 祖로 하는 攝論宗에서는 八識에 다시 제 9阿摩羅識을 세워 9識說을 주장한다. 阿摩羅識은 無垢識 · 眞如識 · 眞識이라고 불리우는 淨識이라 한다. 이 입장에서 볼 때, 제 8阿賴耶識은 妄識 또는 眞妄和合識이라고 풀이할 수 있다. 地論宗 · 天台宗 가운데서도 이 주장을 취하는 사람이 많다.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ᄉ~ㅇ(시옷~이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자상(壽者相) (0) | 2018.08.11 |
---|---|
세계해(世界海) (0) | 2018.08.10 |
실상인(實相印) (0) | 2018.08.10 |
성자(聖者) (0) | 2018.08.09 |
신식(神識)에 관하여-4(대보적경-3130-626) (0) | 2018.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