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자상(壽者相)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四相의 하나. 오래 살고 싶어하는 생각. 또 태어나면서부터 일정한 목숨을 가지고 있다는 생각.
참고
사상(四相) : ① 有部의 說. 生 · 住 · 異 · 滅의 네 가지를 말한다. 또 生相 · 住相 · 異相 · 滅相이라고도 한다. 합쳐서 四相 · 四有爲相이라 하며 心不相應行法에 속한다. 일체의 有爲法은 모두 無常한 존재로서 미래의 位로부터 인연의 힘으로 현재의 位에 생겨나지만 그 태어난 다음 순간에는 滅하여 과거의 位로 사라져 가 버린다. 이와 같이 과거의 位로 사라져 가는 것을 落謝 또는 謝滅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有爲法은 無常하며, 미래 · 현재 · 과거의 三世에 흘러가지만, 그때 미래의 位에서 현재의 位로 태어나는 것을 生이라고 하고 生相이라고도 한다. 이와 같이 有爲法으로서 현재의 位에서 머물게 하는 것을 住 또는 住相. 현재의 자리에서 變異케 하는 것을 異 또는 異相, 현재의 位에서 과거의 位로 滅하는 것을 滅 혹은 滅相이라고 한다. 이 四相은 자체가 有爲法이므로 이것을 生住異滅시키는 法이 있지 않으면 안 된다. 이것을 生生 · 住住 · 異異 · 滅滅이라고 하고 隨相 또는 小相이라고 부른다. 이에 대해 生 · 住 · 異 · 滅을 本相 또는 大相이라고 한다. 따라서 모든 유위법을 나타나게 하는 것은 九法(근본의 법과 四本相과 四隨相)이 동시에 태어나지만 그 가운데 四本相은 각 8법(本法과 그 자신을 제외한 다른 三本相과 四隨相)에 작용을 미처 四隨相은 각 1법(각각의 本相)에만 작용을 미친다. 이것을 八一有能 또는 八一功能이라고 한다.
② 生 · 住 · 異 · 滅의 네 가지를 인간의 생애로 비유하여 生相 · 住相 · 老相 · 死相이라고 불러 이것을 一期相續의 有爲相, 麤의 有爲相이라고 한다. 阿含經에 의하면 이 중에서 住相을 뺀 그 외의 3有爲相을 든다. 또 生 · 老 · 病 · 死의 4苦를 1期의 四相 · 麤四相이라고도 한다. ①에서 말한 四相을 찰나의 有爲相, 細四相이라고도 한다.
③ 我相 · 人相 · 衆生相 · 壽者相의 넷. 중생이 그 心身의 개체에 대해 잘못 인식하고 집착하는 四相이다.
장수(長壽) : 목숨이 긺. 오래 삶.(국어사전)
수(壽) : 범어 ayus의 번역. 命 · 命根이라는 말과 같고 또 壽命이라고도 한다(단, 壽와 命을 구별하는 說도 있다). 곧 과거에 한 행위 곧 業의 힘에 의해서, 이 세상에 태어나 죽음에 이를 때까지의 기간을 지속하고, 우리들의 신체의 체온(煖)과 識(곧 心識)을 執持(굳게 고집하여 움직이지 않는 것)하고 견디어 나가는 기능을 가진 것. 俱舍宗이나 唯識宗에서는 이(命根)를 不相應行法[心과 相應치 않는 行蘊(五蘊의 하나로서 色을 제외한 受 · 想 · 行 · 識의 네 가지와 그밖의 有爲法을 가리킴)이란 뜻]의 하나로 삼는다. 이와 같이 壽는 煖 · 識을 執持하고 煖 · 識은 또 다시 壽를 執持하여, 양자는 서로 의지하는 관계에 있고, 죽음에 다다라서는 이 壽 · 煖 · 識의 3이 최후에 육체로부터 떠난다고 한다. 이 壽는 三界 六道 등의 구별에 의해서 定量이 있고 이것을 壽量이라고 한다.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ᄉ~ㅇ(시옷~이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위해탈(有爲解脫) (0) | 2018.08.11 |
---|---|
사성언(四聖言) (0) | 2018.08.11 |
세계해(世界海) (0) | 2018.08.10 |
설식(舌識) (0) | 2018.08.10 |
실상인(實相印) (0) | 2018.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