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사외도(六師外道)-2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고대 인도 불타시대의 여러 가지 철학·종교 사상들을 원시불교 경전에서는 62종의 견해로서 분류하였는데, 그 중에서 가장 유력하였던 사상가는 육사외도와 불교사상이다. 육사외도는 모두 베다의 권위를 부인하고 바라문교에 반항하였다. 그들은 신흥 도시의 왕후·귀족·부호들의 정치적, 경제적 원조 밑에서 활약하였다.
(1) 아지타 케사캄발리. 아지타는 斷滅論的인 유물론자였다. 혹은 順世派·사탕발림파라고도 한다. 사람의 일생은 지·수·화·풍 四大의 집합과 흩어짐에 불과하며, 죽어서 화장하면 사대는 모두 본래대로 돌아가고 영적인 것은 아무것도 남는 것이 없기 때문에 죽기 전에 잘 먹고 잘 노는 현실적 쾌락 밖에는 인생의 목적은 없다고 한다. 제사·기도·교육·종교·도덕 등 일체의 윤리적 엄숙주의를 반대한다.
(2) 파쿠다 카쨔야나. 파쿠다는 일종의 常住論者다. 그의 사상은 기계적 불멸론이라고 할 수 있으며 절대부동 불변하는 7요소 즉 지·수·화·풍·苦·樂·생명의 집합과 흩어짐이요, 죽은 뒤에는 7요소 자체는 불변불멸이기 때문에 인생의 결정적 단멸은 없다고 한다. 칼로 목을 잘라도 결국 칼날은 요소들 사이의 공간을 지나 갔을 뿐 생명이 없어지지는 않았다고도 한다.
(3) 푸라나카 싸파. 푸라나의 설은 도덕부정론이다. 그는 독단적인 윤리적 회의론자이며, 선악은 사회적 관습에 의한 임시적인 것이며 사람이 선행을 하든 악행을 하든 거기에 필연적인 인과응보는 있을 수 없다고 한다.
(4) 마칼리 고살라. 그는 극단적인 운명론자였다. 邪命外道라고도 한다. 모든 생물은 지·수·화·풍· 虛空·得·失·苦·樂·生·死·영혼의 12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우리들의 행동이나 운명은 모두 자연적 법칙에 의하여 이미 숙명적으로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우리들의 몸이나 마음의 힘으로는 바꿀 수 없고 이미 결정된 윤회전생을 무수히 반복하다가 보면 마침내는 해탈하는 날이 온다고 한다.
(5) 산쟈야 벨라티풋타. 산쟈야는 일종의 회의론자이다. 그를 不可知論 혹은 氣分派라고도 할 수 있으며 특히 형이상학적 문제들에 대하여서는 일체의 판단을 중지하던가 혹은 그때 그때의 경우에 따라 제각기 제대로의 소신대로 말하면 그것이 곧 진리라고 한다.
(6) 니간타 나타풋타. 니간타는 본명이 바르다마나였으나 깨달은 후에 마하비라라고 불려진 자이나교의 교조이다. 그는 극단적 고행과 불살생을 주장하는 윤리적 엄숙주의이며 불교와 인연이 깊은 사상가이다. 마하비라는 부처님 보다 먼저 태어났으며, 존재론적으로는 크게 命과 非命의 二元論이며 인식론적으로는 不定主義·相對主義이다.
참고
(22) 변출외도(遍出外道) : 출가 외도의 일파. 遍이라 함은 세속을 떠났다는 뜻. .....출가외도(出家外道)→출가한 외도.
(23) 벌차외도(筏蹉外道) : 독자부의 시조를 벌차라 함에서 비롯된 유파. ....벌차(筏蹉)→범어 Vatsa. 跋私라고도 쓴다. 소승 독자부의 시조. 석존 당시의 외도로서 뒤에 부처님께 귀의하여 승려가 된 사람이다.
(24) 무참외도(無慚外道) : 일체의 罪福은 大自在天이 좌우하는 것으로 인간이 관여할 바가 아니다. 그러므로 大自在天이 즐거워 하면 중생은 安樂하고 화를 내면 중생은 苦生한다. 인간의 罪福은 大自在天의 뜻에 따르는 것으로 전 책임을 大自在天에 전가시켜 죄를 짓고도 참회하지 않아도 惡道에 떨어지지 않고 참회하면 지옥에 간다고 주장하는 迦羅鳩駄迦旃延의 제자 등을 가리킨다.
무참(無慚) : 범어 ahrikata의 번역. 惡을 犯하고도 부끄러운 마음을 내지 않는 것. 心所의 이름.
(25) 무인외도(無因外道) : 萬有의 諸法은 원인이 없이 자연히 생긴다고 주장하는 外道의 偶然論. (外道小乘涅槃論 三藏法數 46)
(26) 마노사외도(摩奴闍外道) : 30종 외도 가운데 제23 외도. 마노사는 번역하여 사람이라 한다. 사람은 사람으로 인하여 출생한다고 생각하는 것.
(27) 마납바외도(摩納婆外道) : 30종 외도 중 제24 외도. 마납바는 번역하여 勝我라고 한다. 我는 몸과 마음 가운데 가장 勝妙하다고 생각하는 것.
(28) 도회외도(塗灰外道) : 온몸에 재를 칠하고 고행으로써 하늘에 태어나는 것을 구하는 大自在天外道의 일파.
(29) 대자재천외도(大自在天外道) : 대자재천을 奉祀하는 외도. 이 외도는 대자재천을 창조신으로 믿고 몸에 재(灰)를 바르는 까닭에 塗灰外道라고도 부른다.
대자재천(大自在天) : 범어 Mahesvara의 번역으로 摩醯首羅 · 摩醯濕伐羅라 음역하며 줄여서 自在天이라고도 한다. 이 天王은 세 눈과 여덟 팔을 가졌으며 天冠을 쓰고 흰 소를 탔으며, 흰 拂子를 든 위덕을 가진 神의 이름. 원래 인도 바라문교의 神으로 만물 창조의 최고 神임. 외도들은 이 신을 세계의 본체, 창조주라 하며 이 신이 즐거워하면 중생이 편안하고, 화를 내면 중생이 고달프며, 온갖 물건이 죽어 없어지면 모두 이 신에게로 돌아간다고 한다. 이 신을 毘遮舍라 부르기도 하고 初禪天의 天王이라고도 하고 伊舍那 혹은 제六天主라고도 한다.
(30) 단견외도(斷見外道) : 16종외도의 하나. 사람이 죽으면 재나 흙이 되어 마음과 몸이 아주 없어져 斷滅한다고 주장하는 외도.
외도십륙종(外道十六宗) : 16異論이라고도 한다. 95종의 외도를 그 주장하는 내용에 따라 16종으로 분류한 것.
(1) 인중유과종(因中有果宗). 雨衆 외도의 설.
(2) 종연현료종(從緣顯了宗). 수론 · 성론의 설.
(3) 去來實有宗. 승론 · 計時 외도의 설.
(4) 계아실유종(計我實有宗). 獸主 등 일체 외도의 설.
(5) 제법개상종(諸法皆常宗). 伊師迦 외도의 설.
(6) 제인숙작종(諸因宿作宗). 離繫외도의 설.
(7) 자재등인종(自在等因宗). 不平等因論者의 설.
(8) 해위정법종(害爲正法宗). 일류의 바라문의 설.
(9) 변무변등종(邊無邊等宗). 일류 논자의 설.
(10) 불사교란종(不死矯亂宗). 不死矯亂 외도의 설.
(11) 제법무인종(諸法無因宗). 無因 외도의 설.
(12) 칠사단멸종(七事斷滅宗). 斷見 외도의 설.
(13) 인과개공종(因果皆空宗). 空見 외도의 설.
(14) 망계최승종(妄計最勝宗). 일류 바라문의 설.
(15) 망계청정종(妄計淸淨宗). 現法열반 외도 등의 설.
(16) 망계길상종(妄計吉祥宗). 曆算 외도의 설.
(31) 논력외도(論力外道) : 論議하는 힘이 가장 세다고 자부하는 외도.
(32) 외도십일종(外道十一宗) : 95종의 외도를 11종으로 나눈 것.
(1) 數論師. 冥諦生이라 함. 즉, 명제로부터 生한다고 함. 數에 의해 論을 일으키므로 數論이라 한다. 冥諦生이란 百論에서는 冥으로부터 神我에 이르기까지 모두 25諦가 있다고 한다.
(2) 衛世師. 六句에서 生한다 함. 범어 衛世는 無勝이다. 이 사람은 佛보다 8백년 전에 태어나 낮에는 聲色을 피하고 밤에는 視聽을 끊고 外方에 나가 걸식하는 것이 鵂鶹鳥(휴류조)와 같으므로 사람들이 鵂鶹仙人이라 하였다. 5통을 얻었고 10만 偈를 논설하고 보리를 깨달았다. 六句生은 1.實, 모든 법체가 實하여 德業의 의지하는 곳이 됨. 2.德, 곧 도덕, 3.業, 곧 작용, 4.大有, 實·德·業이 같아 一有가 됨. 5.同異, 地에서 地를 바라는 것은 同이고 물을 바라는 것은 異다. 水·火·風 등도 또한 같다. 6.和合, 諸法의 화합을 말함.
(3) 塗灰. 自在天이 만물을 生한다고 함.
(4) 圍陀論師. 那羅延천이 4姓을 일으킨다고 한다. 범어 圍陀는 智論이며, 那羅延은 鉤鎻力士이다.
(5) 安茶論師. 本際에서 生한다고 생각하는 것. 이 외도는 세간의 최초에는 大水가 있었는데 그 때 大安茶가 출생하여 형체가 계란 같더니, 뒤에 둘로 갈라져서 위는 하늘이 되고 아래는 땅이 되었다. 중간에 하나의 범천이 생겨서 다시 일체의 有命과 無命한 물건을 만들었으므로 범천은 만물을 만드는 主가 된다고 한다.
(6) 時散外道. 物이 때에 따라서 만들어진다고 생각하는 것. 이 외도는 스스로 초목 등의 물체를 보고 때로는 꽃이 피고, 때로는 열매를 맺으며, 때로는 작용하여 혹은 폈다가 거두어서 때에 따라 시들고 피며, 비록 미세하여 볼 수 없는 것도 있다고 한다.
(7) 方論師. 方이 사람을 生하고 사람이 천지를 生한다고 생각하는 것. 方은 곧 4方임. 이 외도는 滅한 뒤에는 도로 方으로 들어간다고 한다.
(8) 路伽耶. 色心法이 모든 極微함을 만든다고 하는 것. 범어 路伽耶는 順世라 함. 이 외도는 色心法이 四大의 극미에 따라 塵色을 만들고, 이 극미는 그 체가 實有하여 세간의 塵物은 무상하나 극미의 因은 파괴되지 않는다고 한다.
(9) 口力論師. 이 외도는 空에 따라 風이 생기고, 風에 따라 火가 생기고, 火에 따라 煖이 생기고, 煖이 水를 生하고, 水가 얼음을 生하여 堅地가 되며 땅이 오곡을 만들고, 오곡이 命을 생하며, 命을 생하면 허공에 귀환한다고 한다.
(10) 宿作論師. 이 외도는 일체 중생이 고락의 과보를 받는 것이 모두 宿世本業의 所作을 따라서 받는 것이라 한다.
(11) 無因論師. 자연히 생한다고 하는 것.
(33) 외도십륙종(外道十六宗) : 16異論이라고도 한다. 95종의 외도를 그 주장하는 내용에 따라 16종으로 분류한 것.
(1) 인중유과종(因中有果宗). 雨衆 외도의 설.
(2) 종연현료종(從緣顯了宗). 수론 · 성론의 설.
(3) 去來實有宗. 승론 · 計時 외도의 설.
(4) 계아실유종(計我實有宗). 獸主 등 일체 외도의 설.
(5) 제법개상종(諸法皆常宗). 伊師迦 외도의 설.
(6) 제인숙작종(諸因宿作宗). 離繫외도의 설.
(7) 자재등인종(自在等因宗). 不平等因論者의 설.
(8) 해위정법종(害爲正法宗). 일류의 바라문의 설.
(9) 변무변등종(邊無邊等宗). 일류 논자의 설.
(10) 불사교란종(不死矯亂宗). 不死矯亂 외도의 설.
(11) 제법무인종(諸法無因宗). 無因 외도의 설.
(12) 칠사단멸종(七事斷滅宗). 斷見 외도의 설.
(13) 인과개공종(因果皆空宗). 空見 외도의 설.
(14) 망계최승종(妄計最勝宗). 일류 바라문의 설.
(15) 망계청정종(妄計淸淨宗). 現法열반 외도 등의 설.
(16) 망계길상종(妄計吉祥宗). 曆算 외도의 설.
(34) 외도사집(外道四執,1133) : ① 外道四計·外道四見·外道四宗·四種外道라고도 한다. 외도를 분류하여 4執見으로 한 것.
(1)「一」을 고집하는 것. 일체 만법은 因과 果이니, 불과 뜨거운 것과 같이 因을 여의고 果가 없으며 果를 여의고 因이 없어서, 차별할 수 없으므로「一」이라 주장한다(수론 외도의 주장).
(2)「異」를 고집하는 것. 일체 만법은 因은 因이고 果는 果이므로 다르다고 주장하는 것(승론 외도의 주장).
(3) 赤一赤果를 고집하는 것. 일체법의 因果는 因이 없으면 果가 없고 因이 있으면 果가 있으므로 「一」 이라 할 수 있고, 또 因은 因, 果는 果이어서 다른 것이므로「異」라 할 수 있다고 말한다. 마치 등이 없으면 밝음이 없고, 등이 있으면 밝음이 있으므로「一」이라 할 수 있고, 등과 밝음과는 같은 곳을 점령한 것이 아니므로「異」라 할 수 있다함과 같은 것(니건자 외도의 주장).
(4) 非一非異를 고집하는 것. 일체법의 因 · 果가 만일 因을 여의고서 果가 없을진댄 因이 없어지는 동시에 果도 없어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因은 없어지고도 果는 있으므로「非一」이고 또 因과 果가 다르다면 因은 있으나 果가 있을 수 없을 것이며, 果는 있으나 因은 있을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그렇지 못한터인즉「非異」라고 주장한다(야제자 외도의 주장).
② 일체의 외도를 邪因邪果·無因有果·有因無果·無因無果의 4執見으로 분류.
(1) 邪因邪果. 만물의 일어남이 모두 大自在天의 능력이라 하여, 만물이 생기는 것이 대자재천의 하는 것인즉 중생의 苦樂도 역시 대자재천의 기뻐하고 노함으로 오는 것이라 주장.
(2) 無因有果. 만물이 발생하는 연원은 멀고 깊어서 그 本際를 알 수 없으므로 無因이고, 그러나 현재의 현상은 분명하여 무시할 수 없으므로 有果라 한다.
(3) 有因無果. 현재의 현상은 분명하여 무시할 수 없으므로 有因이고, 내세는 묘연하여 어찌 될 것임을 알 수 없으므로 無果라 한다.
(4) 無因無果. 前世에 현재를 위한 因이 없고, 또 後世에 果가 없으며, 善惡의 現果와 善惡 黑白의 業은 오직 현재 1세에 국한하고 과거·미래의 관계가 없다고 한다.
(35) 피발외도(被髮外道) : 몸을 흩트리고 있는 외도.
(36) 포다외도(餔多外道) : 범어 Bhutika. 인도에 외도의 일종. 塗灰外道이다. 慈恩寺傳 4에 「포다의 무지는 재를 몸에 발라 수도하며 전신을 쑥으로 떠서 굴뚝 속에서 자는 고양이나 살괭이 같다」하였다.
(37) 투연외도(投淵外道) : 6고행을 하는 외도의 하나. 추울 때 몸을 깊은 못에 던져서 고행을 하면 천상에 태어날 수 있는 因이 된다고 한다.
육종고행외도(六種苦行外道) : 六苦行外道라고도 하며, 6종의 外道의 고행을 일컫는 말. 곧
(1) 自餓外道(斷食으로 도를 삼는 고행).
(2) 投淵外道(겨울에 연못에 들어가 추위를 참는 것. 또는 연못에 빠져 죽는 것).
(3) 赴火外道(몸을 불에 태우는 고행).
(4) 自座外道(裸體로 맨땅에 앉아서 寒暑를 참는 고행).
(5) 寂黙外道(무덤 가운데 있으면서 잠자코 말하지 않는 고행).
(6) 牛狗苦行(소 · 개의 흉내를 내며 곧 牛戒狗戒를 가지고 天上에 나려하는 고행)가 그것.
(38) 천마외도(天魔外道) : 천마와 외도를 가리키며 모두 佛道를 해하는 것. 梵網經上에 「천마외도도 서로 보기를 부모와 같이 한다」하였다. 行事抄下一에 「천마외도도 오히려 술 · 고기를 먹지 않는다」하였다.
(39) 죽장외도(竹杖外道) : 執杖梵志와 같음. .....집장범지(執杖梵志)→人名으로 손에 든 지팡이가 사람머리와 비슷한 것. 이 범지가 목련존자를 살해하였음. (鼻奈耶 二) .....범지(梵志)→범어 Brahmacarin. 梵士라고도 쓴다. 淨裔(예)·淨行이라 번역. 바라문의 생활 가운데 4期가 있다. 이것은 그 제1기로 스승에게 가서 수학하는 동안을 말함. 이 시기는 8세부터 16세까지, 혹 11세부터 22세까지, 種性에 따라 제각기 다르다. 이 기간에는 스승에게 가서 熏食을 피하고 사치를 금하고, 모든 정욕을 멀리하며, 매일 아침에 나가 밥을 빌어다 스승에게 바치고, 스승이 먹고 난 뒤에 자기가 먹는다. 나무하고, 물 긷고 스승의 이부자리를 펴고 개는 등 여러 가지 고생을 하면서 한 마음 한 뜻으로 聖智에 이르기 위하여 정진. 이 기간을 마치고는 집에 가서 결혼하여 살다가 뒤에 다시 숲속에 가서 공부하면서 여러 곳으로 다니며 교화사업을 하다.
(40) 죽림외도(竹林外道) : 執杖梵志라고도 한다. 이 外道들은 釋尊 在世時에 佛陀十大弟子의 한 분인 목건련존자를 죽이고 그들도 목건련존자의 제자인 馬宿·滿宿에게 죽음을 당한 바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외도(外道) : 범어 tirthaka. 인도에 있어서 불교이외의 敎. 불교를 內道라고 하는데 대한 對稱. 外敎 · 外法 · 外學이라고도 하고, 後世에는 邪法 · 邪義의 의미를 갖는 貶稱으로 쓰인다. 인도의 外道로 알려지고 있는 것에 六師外道, 六派哲學派(數論 · 瑜伽 · 勝論 · 正理 · 聲論 · 吠檀多)가 있는데, 이 밖에 다음과 같은 분류가 있다.
[1] 外道四執. 또 外道四見 · 外道四計 · 外道四宗 · 四種外道라고도 한다. ①(1) 一切法은 同一하다고 하는 說(數論外道). (2) 一切法은 別異하다고 하는 說(勝論外道). (3) 一切法은 同一하고도 또 別異하다고 하는 說(尼犍子外道). (4) 一切法은 同一하지도 않고 別異하지도 않다고 하는 說(若提子外道, 또는 邪名外道)[外道小乘四宗論] · ②(1) 世間은 항상하다는 說. (2) 世間은 無常하다는 說. (3) 世間은 常하고 또 無常하다고 하는 說. (4) 世間은 常도 아니고 無常도 아니라고 하는 說(智度論 卷七) · ③(1) 邪因邪果(大自在天外道). (2) 無因有果(常見外道). (3) 有因無果(斷見外道). (4) 無因無果(因果의 도리를 否定하는 外道).[三論玄義 卷上]. ④ 기타. 瑜伽論 권65에는 我와 蘊의 卽離라고 하는 점에서 또 中觀論疏 卷七에는 苦의 自作 · 他作 등의 점에서 四執을 나누고 있다.
[2] 六苦行外道. 自餓外道 · 投淵外道 · 赴火外道 · 自坐外道 · 寂黙外道 · 牛狗外道(소나 개의 흉내를 냄으로 生天을 원하는 외도)[涅槃經 卷十六].
[3] 外道十六宗. 또 十六異論 · 十六外道 · 十六計라고도 한다.
곧 因中有果宗(雨衆外道라고도 雨際外道라고도 일컬어지는 數論의 說) ·
從緣顯了宗(聲論 · 數論一派의 說) ·
去來實有宗(勝論 · 時論外道의 說) ·
計我實有宗(數論 · 勝論 · 離繫 등의 일체의 外道 및 小乘犢子部의 說) ·
諸法皆常宗(數論外道 등의 說) ·
諸因宿作宗(宿作外道라고도 宿作因論師라고도 하는 離繫外道 곧 耆那敎의 說) ·
自在等因宗(大自在天外道의 說) ·
害爲正法宗(肉食하기 때문에 殺生까지도 正法이라고 하는 說) ·
邊無邊等宗(세계의 有限 · 無限 등을 주장하는 說) ·
不死矯亂宗(Sanjaya의 詭辯論) ·
諸法無因宗(無因外道) ·
七事斷滅宗(斷見外道) ·
因果皆空宗(空見外道 · 邪見外道) ·
妄計最勝宗(婆羅門은 最勝이라는 說) ·
妄計淸淨宗(現法涅槃外道 등의 說) ·
妄計吉祥宗(日月星宿 등 祭祀하는 것을 吉祥이라고 하는 曆算外道의 說)[義林章 권一, 瑜伽論 권六 · 七의 說].
[4] 二十外道. 外道小乘涅槃論의 說로 이중에는 小乘불교도 포함된다. 小乘外道論師 · 方論師 · 風論師 · 韋陀論師 · 伊賖那論師 · 裸形外道論師 · 毘世師論師 · 苦行論師 · 女人眷屬論師 · 行苦行論師 · 淨眼論師 · 摩陀羅論師 · 尼犍子論師 · 僧佉論師 · 摩醯首羅論師 · 無因論師 · 時論師 · 服水論師 · 口力論師 · 本生安茶論師.
[5] 30종外道. 時 · 地等變化 · 瑜伽我 · 建立淨 · 不建立無淨 · 自在天 · 流出 · 尊貴 · 自然 · 內我 · 人量 · 遍嚴 · 壽 · 補特伽羅 · 識 · 아賴耶 · 智者 · 見者 · 能執 · 所執 · 內知 · 外知 · 社怛梵 · 意生 · 儒童 · 常定生 · 聲顯 · 聲生 · 非聲 및 總我의 各外道(大日經 권一의 說).
[6] 기타. 順世外道 · 出家外道(出家한 外道를 말함. 在俗外道의 對稱) · 塗灰外道(獸主外道) · 附佛法外道(불교에 依託하여 있으면서 邪義를 주장하는 자) · 迦婆離(結鬘)外道 등이 있다.
[7] 六十二見. 梵網經의 說에서는 다음과 같은 外道의 邪見이 있는 것으로 說하고 있다.
過去에 관한 說(本劫本見) 18종
自我와 세계의 常住論 4종
自我와 세계의 一分常住論 4종
世界의 邊 · 無邊論 4종
詭辯論(異問異答論) 4종
自我와 세계의 無因論 2종
未來에 관한 說(末劫末見) 44종
死後有想論 16종
死後無想論 8종
死後非有想非無想論 8종
斷滅論 7종
現在生涅槃論 5종
他에 大品般若經의 說, 涅槃經의 說, 法華文句記의 說 등 數種의 세는 방법이 있다.
[8] 95종 外道. 96종 外道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六師外道에 각 15인의 제자가 있기 때문에 90인이 되고, 여기에 六師를 보태어 96종으로 하는 등, 그 셈하는 방법에 異說이 많다.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ᄉ~ㅇ(시옷~이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제(三諦) (0) | 2018.05.10 |
---|---|
일념삼천(一念三千) (0) | 2018.05.10 |
신심(信心) (0) | 2018.05.09 |
사집(邪執) (0) | 2018.05.09 |
여실공(如實空) (0) | 2018.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