ᄉ~ㅇ(시옷~이응)

상승선(上乘禪)

근와(槿瓦) 2018. 4. 23. 03:03

상승선(上乘禪)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傳燈錄에 깊고 얕은 단계가 있다. 我空 · 偏眞의 이치를 깨친 수행자는 大乘禪이고, 자기 마음이 본래 청정함을 頓悟하여 원래 번뇌와 無漏智가 없고 본래부터 스스로 구족하면 그 마음이 곧 부처라는 것에 의하여 닦는 사람은 上乘禪이며, 小乘下禪이 된다.하였음.

 

참고

전등록(傳燈錄) : 景德傳燈錄의 준말. 30. 송나라의 眞宗景德 元年에 오나라의 사문 道彦釋迦이래 祖祖法脈을 체계화하고 法語를 기록한 것. 후에 이것을 본받아 갖가지의 燈錄이 있었는데 이것이 그 효시임.

 

() : 범어 dhyana音略. 禪那 · 馱衍那(타연나) 持阿那 등이라 음역하고, 靜慮 · 思惟修習 · 棄惡 · 功德總林 등으로 번역한다. 마음을 하나의 대상에 專注해서 자세히 思惟하는 것을 말하고, 均等한 것을 말한다. 大乘 · 小乘 · 外道 · 凡夫의 전체에 걸쳐서 닦게 되는데 그 목적이나 思惟의 대상은 각기 다르다. 및 기타 을 넓은 의미로 禪定이라고 하고, 혹은 1종이기 때문에 을 닦아서 沈思하는 것을 禪思라고 한다.

아함이나 部派불교 등에서 · · · 등의 有無에 의해서 4종으로 나누어 四禪이라 한다.

色界四禪天四禪을 닦는 자가 나는 곳이라고 하고, 사선천에 나기 위하여 닦는 四禪定靜慮, 태어나서 선천적으로 四禪을 얻는 것을 生靜慮라고 한다. 또 유루와 무루의 정려를 섞어서 닦는 것을 雜修靜慮라 하고, 구사론 권이십사에는, 아라한 또는 不還果의 성자에 한해서 닦는다고 한다.

大乘에서는 六波羅蜜 혹은 바라밀의 하나로 禪波羅蜜(선정바라밀 靜慮바라밀)을 들고, 보살이 반야의 實智를 얻어 또 신통을 얻기 위해서 닦는다고 한다. 보살 地持經 이나 유가론 권43 등에는 禪波羅蜜에는,

(1) 自性禪. 自性靜慮라고 하고, 정려의 자성, 곧 마음을 하나의 대상에 멈추게 하는 바의 心一境性을 말함. 또 마음의 자성을 하는 것에 의해서 얻어지는 .

(2) 一切禪. 一切靜慮라고도 하고, 自行化他의 모든 법을 다 攝收하는 의 뜻.

(3) 難禪. 難行靜慮라고도 하고, 닦기 어려운 의 뜻으로, 중생을 위한 좋은 계략과 혜택을 주기 위해서 선정의 즐거움을 버리고 욕계에 태어나고 또한 이 에 의해서 가지가지의 삼매를 불러 일으켜, 無上菩提를 깨닫는다.

(4) 一切門禪. 一切門靜慮라고도 하고, 이라 함은 출입의 뜻으로, 모든 선정이 이 四禪으로 하여 여기에서 나가고, 여기에 들어오는 것을 말한다.

(5) 善人禪. 善士靜慮라고도 하고, 선정의 즐거움에 애착하지 않고, 사무량심과 같이 일으키는 . 뛰어난 善根의 중생이 닦기 때문에 이렇게 이름.

(6) 一切行禪. 一切種靜慮라고도 하고, 대승의 모든 행을 攝收하고 있기 때문에 一切行이라 한다. 여기에 善禪 · 無記化化禪 · 止分禪 · 觀分禪 · 自他利禪 · 正念禪 · 出生神通力功德禪 · 名緣禪 · 義緣禪 · 止相緣禪 ·  擧相緣禪 · 捨相緣禪 · 現法樂住第一義禪13종이 있다.

(7) 除煩惱禪. 遂求靜慮라고도 하고, 중생의 여러 가지 고뇌를 없애는 .

(8) 次世他世樂禪. 次世他世樂靜慮라고도 하고, 중생으로 하여금 현재 · 미래의 모든 즐거움을 얻게 하는 .

(9) 淸淨淨禪(청정정려라고도 하고, 모든 · 을 다 끊고, 大菩提를 얻기 때문에 淸淨이라 하고, 이것을 世間淸淨不味不染汚禪, 내지 煩惱智障斷淸淨10종으로 나눈다)9종의 이 있다고 하며, 이것은 보살만이 닦는 훌륭한 이기 때문에 9大禪이라 한다. 법화현의 권四 上에는 世間禪 · 出世間禪 · 出世間上上禪3을 설하고, 그 가운데 출세간상상선을 9종으로 나눈 것을 9大禪이라 하고, 여기에 대해서 출세간선을 觀禪境하는 으로 九想 ) · 練禪(유루의 鍛鍊해서 청정하게 하는 바의 무루선으로 九次第定을 말함) · 熏禪(모든 熏熟해서 다 通達無 轉變自在하게 하는 師子奮迅三昧를 말함) · 修禪(順逆自在超入超出하는 超越三昧를 말하는 것으로 頂禪이라고도 한다)4(해서 觀練熏修라고 한다)으로 나누어서 뒤에 것 만큼 우수하다고 한다. 또 같은 곳에 根本舊禪 · 練禪 · 熏禪 · 修禪 · 九大禪또는 醍醐五味에 비유하여, 四禪 · 四無量 · 四無色3종의 禪定12門禪이라 한다). 12門禪世間禪 중의 根本味禪으로서, 여기에 대해서 천태종에서는 六妙門 · 16特勝 · 通明禪(通明觀, 通明觀禪이라고도 하고, · · 의 셋을 通觀하여 明淨하게 되며, 六通三明을 얻는 바의 四禪 · 四無色 · 滅盡定9)世間根本淨禪이라고 한다. 大乘入楞伽經 에는, ,

(1) 聲聞人無我의 이치를 알아서 닦는 愚夫所行禪,

(2) 보살이 法無我의 이치까지도 알아 그 의미를 생각하는 觀察義禪,

(3) 思慮나 분별을 넘어, 마음의 작용을 일으키지 않고 곧바로 있는 그대로 진여를 깨닫는 攀緣眞如禪,

(4) 여래의 깨달음에 들어가서 중생을 위하여 不思議한 작용을 나타내는 諸如來禪四種禪으로 나누고, 宗密禪源諸詮集都序 에는 外道禪 · 凡夫禪 · 小乘禪 · 大乘禪 · 最上上禪5종으로 나눈다.

중국에서는, 各宗이 각각의 교리에 바탕하여 禪定을 닦았는데, 이것과는 별도로 菩提達磨가 전한 이 행해졌다. 楞伽經등의 사상에 의하여 發源한 것 같은데, 敎外別傳 不立文字 經典이외에 석존이래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해진 법이라고 하여, 경전의 문자에 얽매이지 않고 오로지 坐禪이나 · () 등의 방법을 써서 중생의 본래의 면목을 깨닫게 하는 것이다. 唐代에는 牛頭禪 · 北宗禪 · 南宗禪 등의 流派가 있었고, 뒤에는 남종선만 성하고 臨濟 · 曹洞 등의 이 각기 독자적인 宗風을 가졌는데, 宗密唐代禪宗을 셋으로 나누어,

(1) 息妄修心宗(밖의 대상과 안의 마음을 나누어, 대상을 등지고 마음을 하여 妄念을 없애려고 하는 ),

(2) 泯絶無寄宗(범부 등의 모든 법은 夢幻과 같고, 하는 지혜도 不可得이기 때문에, 마음에 붙일 곳이 없고 本來無라고 體達하는 ),

(3) 直顯心性宗(모든 현상적인 도 다 眞如本性不外하다고 體得하는 ) 이라 했다. 宗密, 敎禪一致의 입장에서 菩提達磨最上上禪, 혹은 如來淸淨禪이라고 하였는데, 이에 대해서 교외별전의 입장을 力說하는 사람들의 사이에서, 달마가 전한 如來禪이라고 하는 것은 적당하지 않다는 이 나돌아 中唐이후 달마가 전한 祖師에서 祖師로 전한 이라고 하는 뜻으로 祖師禪, 純粹이라고 하는 뜻으로, 一味禪이라고도 부르고, 宗密의 입장을 깎아서 如來禪 · 五味禪이라 했다. 더욱이 祖師禪의 무리는 諸善萬行을 다 有相이라고 물리쳤는데, 反動으로 하여 事理雙修 禪淨共行의 입장이 생겨 과 같이 淨土敎의 염불을 닦는 사람도 나왔다.

禪宗에서는 서로 그 宗風을 비평하는 수가 있고, 臨濟大慧宗杲曹洞天童宏智禪風을 평하여 黙念不動으로 固著해서 潑刺하고도 날카로운 기능을 黙照禪이라고 하고, 거꾸로 宏智宗杲禪風을 평하여 公案工夫에 머무르는 看話禪이라고 하였다. 宋末에는 깨달음을 기대해서 좌선하는 待悟禪이 유행하였는데, 宏智道元은 이 풍습을 경계하여, 坐禪 그 자체가 佛行이며, 第一義라고 하였다. 또 말뚝(木杭)과 같이 부질없이 을 탐하여 坐禪하는 것을 癡禪, 癡室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에는, 禪定을 닦는 때에 靜止를 편안하게 하고, 腹部를 차지 않게 하기 위하여 허리에 감는 禪帶나 졸음을 쫓기 위하여 나무 조각을 끈으로 묶어서 이마에 매어두는 禪鎭 등의 규정이 있다.

 

아공(我空) : 人空 · 生空이라고도 한다. 實我가 없는 것. 일반으로 우리가 라 하는 것은 五蘊和合한 것으로 참다운 라 할 것이 없고 空無한 것임을 말한다.

 

편진(偏眞) : 소승교에서 주장하는 진리는 의 한쪽에만 치우쳐 있으므로 偏空 · 偏眞 · 單空 또는 偏眞空理라고 한다. 대승교의 진리인 도 역시 이라 有無 어느 도 집착하지 않는 것에 대한 말을 가리킨다.

 

대승선(大乘禪) : 대승불교의 . 당나라의 宗密을 외도선·범부선·소승선·대승선·최상승선의 5종으로 분류하였음.

 

자심시불(自心是佛) : 본래부터 스스로 갖춘 心性이 곧 佛性이므로 本來佛이라는 뜻.

 

돈오(頓悟) : 대번에 뛰어서 究極의 깨달음에 이르는 것을 頓悟, 점점 순서와 차례를 거쳐서 깨달음의 길로 나아가는 것을 漸悟라 한다. 法相宗에서는 菩薩定性의 근기가, 聲聞이나 緣覺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곧바로 보살의 자리에 들어가는 것을 頓悟의 보살(直往의 보살, 頓大의 보살이라고도 한다), 不定種性의 근기가 일단은 聲聞이나 緣覺의 과정을 반드시 밟고 그 뒤에 마음을 바꿔 보살도에 들어가는 것을 漸悟의 보살(廻心의 보살)이라고 한다. 중국에서는 南宗禪(南方으로 전해진 慧能系禪宗), 北宗禪(北方으로 전해진 神秀系禪宗)宗風敎義의 수단을 빌리느냐, 빌리지 않느냐 하는 차이에 따라 頓悟的, 漸悟的禪風으로 전개되었기 때문에 그것을 南頓北漸이라고 한다.

 

무루지(無漏智) : 眞理를 더욱 자라게 하고, 모든 번뇌의 허물을 여읜 淸淨한 지혜를 말함. 小乘에서는 四諦의 이치를 한 지혜라 하여 法智類智의 두 가지를 세우고, 大乘唯識에서는 無漏智根本智後得智의 두 가지를 세운다. 根本智唯識眞如의 이치를 證得無分別智를 말하고, 後得智는 그 根本智에서 나와 唯識, 因緣으로 일어난 모든 萬象을 아는 지혜이다.

 

소승(小乘) : 범어 hinayana. 은 싣고 운반하는 뜻. 일체 중생이 모두 부처가 되기에는 너무나 작고 보잘 것 없는 수레라는 뜻. 대승의 . 이 교법 중에서 ···가 모두 深遠 광대하고, 따라서 수행하는 사람도 大器利根機類를 요하는 것을 대승이라 하고, 이와는 달리 아라한과와 벽지불과를 구하는 것을 소승이라 한다. 소승에는 성문승과 연각승이 있다.

(1) 聲聞乘. 四諦의 이치를 관하여 성문의 四果를 증득하여 열반에 이르는 것을 교리로 한다.

(2) 緣覺乘. 12인연을 하여 辟支佛果에 이르는 것을 敎體로 한다. 이것은 모두 몸을 태우고 를 멸하여 空寂 열반의 깨달음으로 돌아가는 것을 최후 목적으로 생각한다. 부처님이 열반하신 후 100년에 上座部大衆部로 분열하였고, 이 대중부는 또 다시 9부로, 上座11부로 나뉘어져 결국 도합 20부가 되었다. 스승이나 지역 관계가 분열의 원인이 되었는데, 이와 같은 분열은 한편으로 교세의 확장을 의미하기도 한다. 각 부의 敎義는 서로 영향을 받았으며, 거기다가 이상적 질서를 부여한 것은 중국의 敎判으로, 窺基八宗判, 法藏十宗判 등이다. 이 이름은 대승이 有部煩瑣 연구를 소승이라고 낮추어 부른 데서 비롯한다. 대표적인 부파는 有部·經量部·正量部·大衆部 등이다. 인도의 상좌부·대중부 등의 20분파와 東土의 구사종·성실종·율종 등이다.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ᄉ~ㅇ(시옷~이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世界)  (0) 2018.04.24
육진(六塵)  (0) 2018.04.23
오안(五眼)  (0) 2018.04.23
사원(寺院)  (0) 2018.04.23
육번뇌(六煩惱)  (0) 2018.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