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원(寺院)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상을 安置하고, 僧尼가 사는 곳.
寺刹·佛寺·僧寺·精舍·道場·佛刹·梵刹·蘭若·淨住舍·法同舍·出世間舍·淸淨無極園·遠離惡處· 親近善處·叢林·栴檀林·檀林·紺園 등 여러 가지 다른 이름이 있다.
寺院에 해당하는 범어로 vihara와 samgharama가 있으니, 앞의 것은 毘訶羅라 음역하고 住處·遊行處라 번역하며, 뒤의 것은 僧伽藍摩·伽藍이라 音譯하고 衆園이라 번역하는데, 어떤 것이나 흔히 精舍라고 번역한다.
精舍는 수행을 精練하는 자가 있는 집을 의미한다. 漢語의 寺는 공공기관이란 뜻이니, 외국인의 접대를 맡은 鴻臚寺에 처음으로 西域에서 스님이 왔을 때에, 묵었기 때문에, 뒤에는 중이 머무는 곳을 모두 寺라고 부르게 되었으며, 우리의「절」이란 말은 절(chyol 禮拜)에서, 日本語의「데라」라는 말도 우리말의 절(禮拜) 또는 刹(범어 laksata)의 訛傳이라고도, 혹은 巴利語의 데라 thera(長老)에서 왔다고도 하나 분명하지는 않다. 漢語로 院이라고 하는 것은 원래 주위에 둘러친 담을 말하고, 변하여 周垣 또는 回廊이 있는 건물을 의미했으며, 官舍의 이름에도 쓰여졌다. 唐代에 勅命에 의해서 大慈恩寺 등에 翻經院을 세운 것이, 불교에 관한 건물에 院라고 이름붙이게 된 효시인 것 같다. 唐末에는 院이라고 불리우는 佛寺가 많았고, 宋代에는 官立의 大寺에 院號가 붙게 되었다. 蘭若는 阿蘭若의 略語로, 阿練若·練若라고도 하고, 범어 ara=nya의 音譯이다. 無諍·空閑處라 번역하고, 村落(동네)에서 떨어진, 조용한 수행에 알맞은 장소라는 것이 원래의 의미였는데, 후세에는 寺院에 寺號, 院號외에 山號가 붙여지기도 했다. 이것은 원래 寺院이 山중에 세워졌을 때, 山名과 寺名을 아울러서 부른 것이 처음으로, 평지에 세워진 寺院에도 山號를 붙여서 寺院의 別稱으로서 쓰여지는 수가 있었다. 寺院을 坊이라고도 하는데, 坊이란 區劃·區院의 뜻으로, 많은 僧房이 있는 구역을 의미하기 때문에 毘訶羅의 譯語로서 인용하게 됨으로 寶坊·僧坊 등으로 쓰였다. 원래 房은 조그마한 屋의 뜻으로, 僧侶가 평소 起居하는 방을 가리키고, 律에는 넓이나 건축방식이 정해져 있다. 뒤에는 널리 殿舍樓閣들도 房이라고 했다. 隋·唐의 寺院건축양식으로는 東西北의 세 방면에 僧侶가 머무는 寮舍를 두었었기 때문에 이것을 三面僧房이라고 한다.
또 寺院을 刹이라고 하는 것은 刹은 범어 laksata의 訛傳으로 幡竿을 의미하며, 일반으로 佛堂의 앞에 刹을 세우는 전통에 의해 붙여진 이름이다. 禪宗에서는 寺院을 叢林·禪林·禪閣 등으로도 부른다. 林은 衆僧이 모여서 相磨琢鍊하며 화합하여 修道를 잘 하는 것을 숲속의 나무가 곧게 잘 자라는 것에 비유한 말이다. 叢林 중 그 스승으로부터 法을 전해받은 弟子가 住持하는 것을 法門叢林(度弟院·徒弟院)의 뜻. 자기가 제도한 弟子를 住持로 시킨 寺院). 넓은 천하의 덕높은 고승을 불러서 住持케 하고 徒弟의 掛塔을 시키지 않는 것을 十方叢林(十方刹)이라고 한다. 祖師의 法을 전하는 根本寺院을 本寺, 本山 그 관할하의 院을 末寺·末山. 大寺院의 境內에 있어서 그 寺院에 속하는 小寺를 子院·支院·枝院· 寺中·寺內·塔頭라 한다. 塔頭라 함은 본래는 祖師의 塔이 있는 곳을 일컫는 말이니, 祖師를 奉祀하기 위해 설립한 小院의 廟處이기 때문에 후세에 寺域내의 支院을 塔頭라고 부르게 되었고 塔中이라고도 하게 되었다. 寺院의 大小·高下·創立의 由緖 등에 의해서 그 격식등급을 정한 것을 寺格, 寺班이라 하는데, 중국에서는 이것이 제도화 되었다. 寺院을 주관하는 宗團 등을 기준으로 분류하기도 했으니, 宋代에는 禪院(禪宗)·敎院(天台·華嚴등의 諸宗)·律院(律宗)이라 하고, 明代에는 禪寺(禪宗)·講寺(經論)의 硏究所)·敎寺(세속의 敎化所)라 했다. 다음에 절의 설립자에 의해서도 구분한다. 官府에 의해서 건립된 것을 官寺, 개인에 의해서 造營되는 것을 私寺라 하고 公刹(宗團所有)·私刹(개인소유)의 명칭이 있는가 하면, 주거하는 대중의 남녀의 구별에 따라 僧寺와 尼寺로 분류한다. 僧尼의 2寺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떨어져서 세우도록 되어 있다. 寺院의 住職을 住持·院主라고 하며, 또 큰 절에서는 住持 외에 절의 대중을 비롯한 4부대중 전체의 정신적 歸依處로서 祖室·方丈을 추대하는 경우도 있다.
참고
정사(精舍) : 寺院의 異名. 精廬라고도 한다. 精行者 곧 修行人이 머무는 집.
범찰(梵刹) : 淨刹·寶刹·盛刹이라고도 한다. 梵은 깨끗하다는 뜻이고, 刹은 旛杆이란 뜻이다. 곧 부처님을 모신 寺刹을 말함.
총림(叢林) : 범어 vindhyavana의 번역으로 貧陀婆那라 음역하며 檀林이라고도 한다. 僧俗이 화합하여 一處에 住함이 마치 수목이 우거진 숲과 같다고 하여 이렇게 이름함. 특히 禪刹의 경우 이름으로 功德叢林이라고도 한다. 智度論 三에 「僧伽는 衆의 뜻이니 많은 비구가 한 곳에 화합하여 머무는 것을 僧伽라 한다. 마치 큰 나무들이 숲을 이룬 것을 林이라 함과 같으니, 僧聚가 모여 사는 곳이므로 叢林이라 이름한다」고 했다. 곧 지금의 禪院·禪林·僧堂·專門道場 등 다수의 승려대중이 모여 수행하는 곳을 총칭하여 叢林이라 한다.
가람(伽藍) : 범어 samgharama의 音略으로 僧伽藍도 그 음역임. 衆園이라 번역하며 僧園·僧院이라고도 한다. 본래는 僧衆이 住하는 園林을 일컫는 말이었는데, 뒤에는 僧侶들이 사는 寺院·堂舍의 용어로도 되었다. 후세에 한 伽藍에 7종의 건물을 갖추지 않으면 안되게 되어 이것을 七堂伽藍이라 하기도 했다. 七堂의 명칭과 배치는 시대와 宗派에 따라서 일정하지 않았다. 南向으로 세우는 것이 통상이고, 學問을 중심으로 하는 寺院(講院)에서는 塔(佛舍利를 安置함)·金堂(佛殿이라고도 하며, 本尊佛을 安置하여 塔과 더불어 伽藍의 중심을 이루는 건물)·講堂(經法을 講說하는 곳)·鍾樓(鍾閣, 梵鍾을 달아 두는 곳)·經閣(經藏·經堂이라고도 하며 一切經을 두는 堂)·僧房(僧坊이라고도 하며 僧衆이 常住하는 곳. 講堂의 東西北 三面에 있는 것을 三面僧房이라 함)·食堂(齋堂이라고 하며 食事를 하는 堂) 등으로 구성된다. 禪宗에서는 佛殿·法堂(法을 說하는 堂으로 講堂에 상당하며 佛殿 後方에 둔다)·僧堂(禪堂·雲堂·選佛場이라고도 하며 僧侶가 坐禪하고 居處하는 곳. 중앙에 文殊菩薩像을 安置한다)·庫院(庫裡·廚房·庖廚·食廚라고도 하며 식사를 조리하는 곳)·山門(三門이라고도 하며 세 개의 門扉가 있는 樓門. 空·無相·無願의 三解脫門을 표한다)·西淨(東司·淨房이라고도 하며 便所를 가리킴)·浴室(溫浴을 하므로 溫室이라고 한다) [이 가운데 僧堂·西淨·浴室은 談話를 금하는 곳이므로 三黙堂이라고도 함]을 七堂이라 한다. 伽藍을 守護하는 神을 護伽藍神·伽藍神이라 하며 伽藍神에 祭祀하는 堂을 伽藍堂·土地堂·鎭守堂이라고도 한다. 伽藍은 곧 절의 통칭이다.
절(寺) : 佛像을 安置하고 僧尼가 머물며 修道하는 곳을 일컫는다. 범어 vihara는 곧 修行하는 道場이란 뜻으로 毗訶羅 · 鼻訶羅 등으로 음역하고 住處 · 遊行處 등으로 번역하며, 또 범어 samgharama는 僧伽藍摩 · 伽藍이라 음역하고 衆園이라 번역하며, 위의 두 경우 다 精舍라고 번역한다. 이 밖에 절(寺) 에 해당하는 범어는 아직 발견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래 寺는 官舍를 의미하는 "마을사"자로 불교의 사찰의 이름은 아니다. 중국에서 寺는 외국사신을 접대하는 곳이었으며 西域에서 迦葉摩騰 · 竺法蘭의 승이 옴에 우선 鴻臚寺에 머물게 했고 뒤에 洛陽에 精舍를 세우고 이름을 白馬寺라 한데서 불교의 精舍를 寺라고 부르게 되었다. 우리 나라에서 精舍를 "절"이라고 한 것은 "절"에서 절을 많이 하기 때문에 그렇게 이름했다고 하는데 불교의 절이 들어 오기 전부터 기도처에서는 절을 많이 했고 그곳을 "절"이라고 했을 수 있으며, 일본에서 절을 "데라"라고 하는 말도 우리 나라의 절에서 건너갔다고 한다.
선찰(禪刹) : 禪宗의 사찰. 禪寺. 참선을 주장으로 하는 절.
선원(禪院) : 禪宗의 사원. 禪을 닦는 방.
공덕총림(功德叢林) : 禪林 또는 禪院.
번경원(翻經院) : 佛經을 漢譯하는 기관으로, 唐의 貞觀 22(648)년에 太宗이 玄奘의 번역장소로 건립한 것 등이 있다.
아란야(阿蘭若) : 阿練若 · 阿蘭拏라고도 쓰고, 약하여 蘭若 · 練若라고도 한다. 山林 혹은 荒野라고 번역하고, 比丘가 居住하며 수행하는데 적당한 마을에서 떨어진 조용한 장소를 의미한다. 漢譯에서는 遠離處 · 寂靜處 · 空閑處 · 意樂處 · 無諍處라고 한다. 거기에 살아야 할 것 혹은 사는 이를 阿蘭若迦, 이 말은 아란야와 같은 뜻으로도 쓰이고 있다. 아란야에 3종이 있어서 이것을 三處阿蘭若라고 일컫는다. (1) 達磨阿蘭若. 곧 깨달음을 구하기 위한 도량. (2) 摩登伽阿蘭若. 곧 塚間處로 흙을 조그맣게 쌓아 올린 묘(塚). (3) 檀陀伽阿蘭若. 沙磧處 곧 人氣가 없는 沙原(慧苑音義 卷上).
승방(僧坊) : 또는 僧房이라고도 함. 스님네들이 거주하는 坊舍. 승방이라는 이름은 비록 일반에 통하나 계율을 전문으로 하는 도량을 승방이라고 한다. 그 제도는 다른 사원들과는 다른 점이 있음. 또는 우리나라 속어로 비구니가 있는 절을 승방이라 함.
찰(刹) : ① 범어 ksetra의 音略으로 紇差呾羅(흘차달라)·差多羅라 音譯하고 刹摩라고도 쓰며 土田·土·國·處 등으로 번역한다. 곧 國土의 뜻인데 梵漢倂稱으로 刹土라 하기도 한다. 또 佛刹 등의 熟語도 있다. ② 범어 laksata의 音略으로 擦(찰)이라고도 쓰고, 자세히는 刺瑟胝(자슬지)라 音譯하며 標幟·기치의 뜻으로 쓰인다. 깃대, 혹은 塔의 心柱를 가리키기도 한다. 寺院을 寺刹·梵刹·金刹이라 하며 혹은 名刹이라 하는 것도 佛堂 앞에 刹, 곧 幢竿(당간)을 세우는 풍습이 있는데서 온 것이다.
주지(住持) : 寺院의 주관자. 禪宗의 용어. 前任 主職인 住持를 前住, 現任의 住持를 現住, 後任의 그것을 後住라고 한다. 禪宗에서는 前住를 東堂이라고도 한다. 達磨로부터 八傳하여 百丈 때에 이르러 禪宗이 크게 번성함에 대중이 많아짐을 따라 師法의 위엄이 서지 않게 됨에 이에 대중이 師僧을 住持로 받들어 존중했다고 한다.
조실(祖室) : 祖師의 室內란 뜻. 禪寺의 師家를 말함.
방장(方丈) : 사방이 1丈(十尺, 3미터)의 방이란 뜻으로 方丈室 또는 丈室이라고도 한다. 禪寺에 있어서의 주지의 거실. 또는 客殿. 函丈·正堂堂頭라고도 한다. 維摩의 禪室이 사방 1丈이었다고 하는 설에 유래한다. 이에서 와전이 되어 주지를 方丈·丈室이라 한다.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