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례다(薜荔多)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Preta. 閉黎多·閉麗多·閉戾多·鞞禮多·卑帝黎라고도 함. 새롭게는 彌荔多·俾禮多로 범어는 Pitr라 한다. 祖父라 번역. 아귀의 총칭.
참고
아귀(餓鬼) : 범어 preta의 번역. 薜荔(벽려)多라 음역하고 鬼라고도 번역한다. 三塗·五趣(五道)·六趣(六道)의 하나. 전생에 惡業을 짓고, 탐욕을 부린 자가 아귀로 태어나, 항상 飢渴에 괴로워 한다.
順正理論 권三十一에 3종의 아귀를 설함.
(1) 無財餓鬼. 전연 아무 것도 먹을 수가 없는 아귀.
(2) 少財餓鬼. 膿·血 등을 먹는 아귀.
(3) 多財餓鬼. 사람이 남긴 물건이나 사람이 주는 것만 먹을 수가 있는 아귀. 하늘과 같은 富樂을 받는 아귀도 이 중에 포함된다. 이 3종 중 뒤의 2를 有財餓鬼라고도 한다.
아귀의 本住所는 閻魔王界이고 閻魔王이 그 주인이다. 無威德鬼는 아귀로 불리우며 飢渴에 괴로워 하는데, 有威德鬼는 하늘과 같아서, 많은 福樂을 받는다고 한다.
智度論 권三十에서는 앞에 것을 餓鬼, 뒤에 것을 弊鬼라고 했다.
팔부귀중(八部鬼㣡) : ① 사천왕에 속하는 여덟 가지 鬼衆. 乾闥婆 · 毘舍闍 · 鳩槃茶 · 薛荔多 · 諸龍衆 · 富單那 · 夜叉 · 羅刹. ② 부처님의 가르침을 수호하는 神들. (1) 天 (2) 龍 · 龍神 · 龍王 (3) 夜叉 (4) 乾闥婆 (5) 阿修羅 (6) 迦樓羅(金翅鳥) (7) 緊那羅. 人非人이라 번역하고 半人半獸. (8) 摩候羅迦. 大履行이라 번역하고 蛇神을 말함.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ᄇ(비읍)'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 (0) | 2018.03.23 |
---|---|
법화문구(法華文句) (0) | 2018.03.23 |
바라제목차(波羅提木叉) (0) | 2018.03.21 |
비택멸(非擇滅) (0) | 2018.03.20 |
변재(辯才) (0) | 2018.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