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식(轉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唯識論에서 말한 8識의 하나. 제 8아뢰야식을 本識이라 하는데 대해 제 8아뢰야식을 제외한 眼 · 耳 · 鼻 · 舌 · 身 · 意의 6識과 제7末那識이다. 제八識으로부터 轉生變現하는 識이므로 이렇게 말한 것. 곧 七轉識이 그것.
② 起信論에서 說하는 五識의 하나. 거울에 형상을 비치는 작용이 있는 것처럼 무명으로부터 생긴 業識을 다시 轉하여 能見의 작용을 일으키고 여러 가지 경계에 대하여 반영하려는 작용을 나타내므로 轉識.
③ 有漏의 8識을 轉하여 無漏의 四智를 얻는 것을 말하는 경우도 있다. (轉識得智)
참고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점안(點眼) (0) | 2018.03.02 |
---|---|
정진바라밀(精進波羅蜜) (0) | 2018.03.02 |
점돈(漸頓) (0) | 2018.03.01 |
정법(正法) (0) | 2018.03.01 |
조어장부(調御丈夫) (0) | 2018.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