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별의 지혜로는 헤아릴 수 없다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부처님은 깨달음의 경지에 들어간 왕의 마음을 아시고 다시 몸을 나타내셨다. 왕은 매우 기뻐하면서 부처님께 여쭈었다.
『부처님께서는 항상 말씀하시기를 「법도 버려야 할 것인데 하물며 법이 아닌 것이랴」하셨습니다. 어째서 법과 비법(非法)을 버려야 하며, 또 법과 비법은 무엇을 가리킨 것입니까?」
부처님이 말씀하셨다.
「비유를 들어 말하면, 병은 깨어지는 것이므로 그 실체가 없는 것이오. 그런데 사람들은 병의 실체가 있는 줄로 압니다. 이와 같이 보는 법을 버리지 않으면 안 되오. 안으로 자기 마음의 본성을 보면 밖으로 집착할 것이 없소. 이와 같은 바른 견해로 법을 보는 것이 곧 법을 버리는 것이오. 비법이라고 하는 것은 토끼뿔이라든지 돌계집(石女)의 자식처럼 사실이 없는 것을 가리키오. 이처럼 집착할 것이 못 되기 때문에 버려야 합니다.
여래의 법은 모든 분별과 쓸데없는 논란을 떠나서 있소. 진실한 지혜만이 이것을 증득합니다. 중생들을 편안하게 하기 위해 법을 설하고 차별을 떠난 지혜를 여래라고 합니다. 여래는 진실한 지혜와 하나이기 때문에 분별의 지혜로는 헤아릴 수 없소. 왜냐하면 중생의 마음은 그 대상에 따라 빛깔과 형상을 인식하지만, 여래는 분별을 떠났기 때문에 헤아릴 수가 없는 것이오.
벽에 걸린 그림 속 사람에게 감각이 없듯이, 중생들도 꼭두각시와 같아 업(業)도 없고 과보(果報)도 없는 것이오. 이와 같이 보는 것을 바른 견해라 하고, 이와 같이 달리 보는 것을 분별의 소견이라 합니다.
분별에 의하기 때문에 법과 비법에 집착하는 것이오. 이를테면 어떤 사람이 물에 비치는 자기 얼굴을 보고 혹은 등불이나 달빛에 비친 자기 그림자를 보고 분별을 일으켜 집착하는 것과 같은 것이오. 법이라든가 비법이라고 하는 것도 사실은 분별에 지나지 않소. 분별에 의지하기 때문에 버리지 못하고 허망한 것에 팔려 열반을 얻지 못하는 것이오.
열반이란 여래의 장(藏)이오. 그러므로 스스로 지혜의 세계에 들어가 깨달음의 선정(禪定)을 얻어야 합니다.』
참고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성전(楞嚴經 羅婆那 勸請品)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분별(分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별을 떠나야 부처를 본다(불교성전,389페) (0) | 2020.09.07 |
---|---|
제 성품을 더럽히지 말라 (0) | 2018.05.29 |
중생이 앓으니 보살도 앓는다 (0) | 2018.04.20 |
공공적적(空空寂寂) (0) | 2016.02.18 |
분별(分別) (0) | 2016.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