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견(常見)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인간은 죽지만 自我는 없어지지 않으며, 5蘊은 과거나 미래에 항상 머물러 불변하여 끊어지는 일이 없다고 고집하는 그릇된 見解.
참고
자아(自我) : 범어 atman. ① 자기 자신. 타인에 대한 나. 자기 자신에 대한 의식이나 관념. 나. 자기. ② 인식, 의욕, 행동의 주체가 자기를 外界나 타인과 구별하여 일컬음.
오온(五蘊) : 五陰이라고도 한다. 蘊은 범어 skandha의 번역. 塞建陀라 音譯하며 모인다는 뜻. 가지가지의 종류를 일괄해서 聚說한다는 뜻. 五蘊이라 함은 色蘊(물질) · 受蘊(印象感覺) · 想蘊(知覺 · 表象) · 行蘊(意志 기타의 마음 작용 등) · 識蘊(心)의 총칭. 受 · 想 · 行은 대체로 마음의 작용을 나타내기 때문에, 五蘊은 물질계와 정신계의 양면에 걸치는 일체의 有爲法(인연에 의해서 생긴 것)을 가리킨다. 그러나 五蘊이 有情의 個體를 형성하는 面을 강조한 말로 보면, 五蘊은 心身環境을 가리킨다.
육신은 구체적인 하나하나의 事物이 모두 인연(온갖 조건)에 의해서 五蘊이 잠정적으로 모여서 이루어진 것에 지나지 않는다. 이것을 五蘊假和合이라 하고, 특히 有情의 개체에 대해서 말한다면 나라고 하여 집착할 實體가 없는 것을 나타낸다.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ᄉ~ㅇ(시옷~이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의경(了義經) (0) | 2018.02.16 |
---|---|
사문(沙門) (0) | 2018.02.15 |
생멸멸이(生滅滅已) (0) | 2018.02.14 |
유가(瑜伽) (0) | 2018.02.14 |
설법오덕(說法五德) (0) | 2018.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