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유(譬喩)

의마심원(意馬心猿)

근와(槿瓦) 2017. 11. 29. 02:22

의마심원(意馬心猿)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우리들의 마음은 늘 번뇌에 의해 亂動되어 있는 것을 말과 원숭이에 비유하는 말. 心地觀經 八에 의하면 마음이 원숭이와 같아서 5의 나무에 놀면서 잠시도 쉬지 않는다라고 하였고, 趙州錄 遺表에는 마음의 원숭이(心猿)는 뛰기를 그치고, 意馬는 날뛰는 것을 쉬어라고 하였다.

 

참고

의마(意馬) : 인간의 마음은 外境을 쫓아 가므로 일정한 곳에 安住하지 못함이 마치 날뛰는 말과 같음을 비유한 말. .....외경(外境)바깥 경계. .....안주(安住)1. 더 나아지고자 하지 않고 현재의 상태나 처지에 만족함. 2. 어떤 곳에 자리잡고 편안히 삶.(다음,한국어)

 

심원(心猿) : 마음이 분주하게 움직이는 것을 원숭이에 비유하여 心猿이라 함.

 

번뇌(煩惱) : 범어 klesa의 번역. 吉隷捨로 음역하고, 이라고도 번역한다. 중생의 몸이나 마음을 번거롭게 하고 괴롭히고 어지럽히고 미혹하게 하여 더럽히게 하는 정신작용의 총칭. 그 성질은 不善 有覆無記이다. 중생은 번뇌에 의해서 업을 일으키고, 괴로움의 를 받아 미혹의 세계(生死)에 매어 있게 된다. 이것을 惑業苦三道라 한다. 그래서 불교는 번뇌를 끊고 열반의 깨달음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번뇌는 그 작용에 따라 여러 가지 다른 이름을 갖는다. 隨眠 · (이치에 어둡고 現象의 세계에 대해 미혹하여 알지 못하는 것) · · · 結使 · · · · · 暴流 · · · · 使 · · 株杌 · 燒害 · · 稠林(번뇌의 수가 많은 것을 무성한 삼림에 비유한 것) · 塵勞 · 塵垢 · 客塵 · 諍根(다툼의 근본)이라고도 하고, 또 번뇌의 그것을 正使(다만 使라고도 한다), 를 멸해도 역시 남아있는 관습의 기운을 習氣라고 한다. 모든 번뇌는 因力(아직 번뇌가 끊기지 않은 것) · 境界力(욕심 등에 순응하는 대상이 나타나는 것) · 加行力(대상에 대해서 非理· 作意를 일으키는 것)에 의해서 일어난다고 한다.俱舍論 卷二十혹은 境界力에 의해서만 일어나는 것도 있다고도 한다.入阿毘達磨論 卷上.....

 

심지관경(心地觀經) : 大乘本生心地觀經의 약칭. 8. 나라의 般若가 번역함. 또는 本生心地觀經·心地觀經이라고도 한다. 출가하여 아란야처에 머물며, 心地하고 망상을 멸하며 불도를 성취할 것을 설한 것. 모두 13으로 되어 있음.

 

오욕(五欲) : · · · · 五境에 집착해서 일으키는 다섯가지 정욕. 色欲 내지 觸欲을 말함. 또 그것들은 사랑해야 할 5境 自體까지도 사람의 욕정을 일으키므로 5· 5妙欲 · 5欲德이라 부른다. 財欲 · 色欲 · 飮食欲 · 名欲(명예욕) · 睡眠欲의 다섯가지 욕망의 총칭.

 

조주(趙州) : (778~897) 중국 당나라 임제종 승려. 속성은 (). 이름은 從諗(). 당나라 曹州 사람. 趙州의 관음원에 있었으므로 조주라 함. 南泉普願의 법제자. 어려서 조주의 ()通院에서 출가하였으나 는 받지 않고 池陽에 가서 南泉을 찾으니, 마침 누워 있다가 어느 곳에서 왔는가?趙州 瑞像院에서 왔습니다.南泉 서상을 보았는가?」「서상은 보지 못하고 누워있는 부처를 보았습니다.」「네가 有主 사미냐, 無主 사미냐?」「有主 사미입니다.」「가 어데 있느냐?趙州 동짓달이 매우 춥사온데 체후 萬福하시나이까?南泉이 기특하게 생각하고 入室을 허락하였다. 嵩嶽(숭악)瑠璃壇에 가서 를 받고 南泉에게 돌아왔다. 뒤에 대중이 청하여 조주 관음원에 있게 하니, 이곳을 東院이라고도 하며, 교화가 크게 떨치다가 당나라 건녕 4120세에 入寂하다. 시호는 眞際大師. (傳燈錄 十)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비유(譬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리(菩提)를 증득할 수 있는 방법(대보적경-2175-435)  (0) 2018.02.16
삼초이목(三草二木)  (0) 2018.01.27
불수사유(佛壽四喩)   (0) 2017.10.28
선화륜(旋火輪)  (0) 2017.06.11
궁자(窮子)  (0) 2017.05.09